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시민교육의 쟁점과 발전 과제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3

        지방교육자치제 도입 30주년을 맞이해서 더욱 긴요해진 교육민주주의 회복과 교육자치 강화를 위해서는 시민(권)교육의 제도적 활성화 방안과 선진화된 접근에 대한 체계적 탐구와 심층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도 적극적으로 개진될 필요성이 있다. 지방교육자치의 핵심인 분권화 토대 정립과 자치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치의 출발점인 주체적 시민의 참여의지와 협의역량 및 정치적 문해력 등이 총괄적으로 가용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시민(권)교육의 활성화에 의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민(권)교육의 제도적 안착과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민관학의 상호협력 연계노력에도 불구하고 시민(권)교육의 개념과 목표 및 정치철학적 기반, 관련 쟁점, 단위학교 추진 방향과 실행 방안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교육현장 이해당사자의 혼란과 이견이 도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시민(권)교육과 관련된 쟁점(제반 정의 및 유형, 학교교육과 민주교육 및 시민(권) 교육의 연계성, 민주학교의 특성, 쟁점기반 토론 교육의 난점 등)과 발전 과제를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분석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시민(권)교육의 정치철학 기반이자 교육 지향점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핵심 주장을 상호 비교적 관점에서 개관하여 그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In order to restore educational democracy and strengthen educational autonomy, which has become more important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nactment of the local education self-government system, systematic inquiry and in-depth discussion on the institutional revitalization plan for citizen education and advanced approaches need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than ever before. However, despite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efforts to establish the institutional settle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revitalize related research, the concept and goal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philosophical basis, related issues, and the implementation pla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are still not shared by stakehold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olitics. Given that main problem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educational autonomy need to be solved urgently, the paper focuses on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critically examining main issues related to citizenship education(specific definitions and types, connections among school education, democratic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nature of democratic schools), Also, the main argumentations of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exerting strong influence as the basis of the political philosophy of citizenship education are identified in a detailed manner.

      • KCI등재

        예비교원의 창의성 교육 방안 논의를 위한 사범계, 비사범계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비교

        박선형(Park, Sun Hyung),이경화(Lee, Kyung Hwa)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학교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육성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필요성과 예비 교원들에게 창의성 교육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즉,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연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교사 자신의 교수학습방법이 고착되었을 경우에는 전환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지역적으로 연수를 통해 교사교육을 실시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교사가 되기 전에 대학에서 미리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창의성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면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사범계 학생들과 창의성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비사범계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t-test를 통해 비교해보았다. 즉 사범대학이 설치된 D대학과 사범대학이 없는 S대학 학생 259을 대상으로 통합창의성 검사(이경화, 2014)와 창의적 리더십 검사(이경화, 박춘성, 2014)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있어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차이도 유의미하였다(p<.05). 그러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하 위요인과 창의적 리더십의 차원별 차이에 있어서는 다양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미래에 중등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실시해야 할 예비교원을 육성해야 할 사범대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을 더욱 함양시켜야 필요성이 고려되었으며, 대처 방안으로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창의성 관련 강좌의 개설이 필요함과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방법에 관해 논의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with creative education competency is most needed in this uncertain and complex global world for the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competitive power of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how to implement creativity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prospective students has been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comparative study of a teachers college (named D) and a general college(termed S)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was conducted. 259 students from the both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surveys consisting of a integrative creative test and a creative leadership test, each developed and validated in Korean contexts.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 test by SPSS win 12.0 Program.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in the areas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a gener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college groups (p<.05). On the other hand, some diversiti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sub-factors regarding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and dimensions of creative leadership, These results would suggest that in near future creative teaching and creative leadership enhancement programs for pre-service prospective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박선형(Park Sun H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1

        본 논문은 지식의 공유적 생성과 분산을 촉진하는 학습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의 주요 주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학습과 공동체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검토하고, 분산 인지적 관점에서 지식의 다면적인 차원을 논의한다. 이어서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전략으로서 조직학습이론과 실행공동체이론, 네트워크 이론의 핵심적 내용을 검토한다. 또한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하여 현실적으로 우선시되어야 할 사회적ㆍ학문적ㆍ제도적인 정책적 노력을 시론적으로 제언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main ideas of learning communities, which have been lately noted in the field a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restructuring educational organizations needed for knowledge based society and life-long education 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feature of learning communities, various notions of learning and communities dealt in related literature are examined. It is contended that there needs to be a radical expansion of a traditional view of knowledge, named explicit knowledge(or propositional knowledge), which includes implicit/group knowledge and knowing as knowledge in action. And for multiple aspects of knowledge, the four forms of knowledge are analysed.<br/> It is maintained that the main ideas of some theoretical views, such as organizational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network theory, seem to be the most important means available in the field to date to create learning communities in terms of distributing individual/local knowledge into the whole orga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mmunities, it is argued, conceptual approache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need to accomodate notions of learning in practice and situated aspects of knowledge. Then it would enable educational organizations to stretch from the level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learning to the level of the overarching organizational learning, multiple communities of practice, for knowledge sharing in organization.

      • KCI등재

        창의성교육과 창의적 교사: 핵심개념과 인식분석

        박선형(Park Sun H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제도적 노력과 실천적 정책의제를 다루고 있는 국ㆍ내외 관련 선행 연구물 등은 창의교육정책의 교육현장 착근성과 단위학교 실행성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교육개혁안으로서 교사의 창의성 수업역량 신장과 창의성교육에 대한 인식제고가 선도적으로 확립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의 신념체계와 창의교육역량이 선행 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한 단위학교수준에서 창의적 교수학습활동은 가능하지 않으며, 학생의 창의성 역시 성공적으로 계발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창의성 교육 실행에 필요한 핵심개념(창의성과 인성의 상호관계, 창의적 교사의 핵심역량, 창의성교 육의 지향점 등)을 분석하여 창의성기반 교원교육체제 운영에 필요한 이론적 기제와 미래적 실천방향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교육연수에 참가한 교사대상 설문문항(창의성 오 개념, 창의성계발가능성, 창의적 교사의 정의와 역할 등)을 활용하여 창의성교육에 대한 교사 의 신념체계와 암묵적 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향후 교원양성교육과 현직교원 교육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적 아이디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Creativity is a fundamental mental activity by which humans have utiliz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civilizations through innovation. As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with creative competency is most needed for the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competitive power of countries facing an uncertain and complex world these days, nurturing creativity at schools becomes one of the major goals to be attained in educational policy agenda. This paper aimed at explor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debating issu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vision of creative education, that need to be clarified for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education. It also examined the internal characters and roles of creative teachers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analysis of 306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reativity training program sponsored by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It has been found that a number of teachers surveyed in this study appear to have had wrong personal conceptions of creativity and that the characters of creative teachers largely consist of humane aspects including passion, caring and love for students. And,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roles that creative teachers are expected to perform are to encourage mainly humanistic aspects of teaching such as soci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promoting enthusiasm and motivating learning. Given that teachers are largely responsible for preparing young students to become competent citizens required in creative economy. more appropriate systematic approaches that can be adopted in develop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to develop.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상 교합자와 adenoid가 과식증된 부정교합자의 악골 형태의 비교

        박선형(Sun-Hyung Park),유형석(Hyung-Seog Yu)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1

        과증식도니 아데노이드가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대답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일부에서는 구호흡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좁은 안면 폭경, 돌출된 치아, 언정시 입술의 이개, 전안면고경의 증가, 큰 수평피개와 감소된 수직피개를 보이는 아데노이드 안모(adenoid face)라는 특징적인 안모형태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일부에서는 과증식한 아데노이드를 지닌 환자 중 적은 수에서만이 이러한 소견을 나타내면서 아데노이드와 두개악안면 성장과의 관련성을 부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구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도니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구호흡을 하며 아데노이드가 과증식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여, 골 연령(bone age)별로 비교함으로써 각 시기마다 구호흡과 악골 형태간의 연관성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골의 형태에 있어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차는 남자에서는 CVMI 3과 CVMI 4(사춘기 전후)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CVMI 1 부터 유의차를 보였다. 2. 실험군 하악골이 남자는 CVMI 4부터, 여자는 CVMI 5부터 하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3. 남자는 CVMI 3부터, 여자는 CVMI 1부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큰 전안면고경을 보였으며, 이는 주로 전하아면고경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었다. 4. 아데노이드는 대조군 남자에서 CVMI 2(10.58 ± 1.07세, 사춘기 성장 직전)에 최대크기를 보였고, 대조군 여자에서는 CVMI 1(6.92 ± 0.53세)부터 아데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ypertrophy of adenoid and jaw morphology during growth, this paper was bas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adenoids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6 subjects at each bone group)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antrol group (male-15 subjects at each bon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done at each growth stage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VMI) of Hass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s in craniofacial morpholg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ppeared from CVMI 3 and CVMI 4 (aroud adolescent period) in males, and from CVMI 1 in females. 2. The mandibuular 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nferior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ppeared at adolescent period(male : at CVMI 4, female : at CVMI 5). 3. Experimental group had greater anterior facial height than control group. This difference seemaed a relation wi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The difference appears at CVMI 3(11.94 ± 1.38 years old, at adolescent period) in male and at CVMI 1 in female. 4. The adenoid size of control male group was increased until CVMI 2(10.58 ± 1.07 years old, just before adolescent grwth peak) and then decreased, but in female tne adenoid size was decreased from CVMI 1(6.92 ± 0.53 years old).

      • KCI등재

        정치교육(과 시민교육)의 쟁점과 발전 과제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정치교육은 근본적으로 가치배분(또는 배제)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관련 이해당사자의 이념적 스펙트럼과 정치철학적 관점에 따라 지속적인 논쟁과 뜨거운 쟁점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정치공동체에 대한 상이한 철학적 관점은 민주주의 운영형태, 사회문화 가치체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개인의 존재양식 등에 대한 다양한 세계관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정치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민주주의와 정치철학의 주요 관점, 정치교육과 시민교육 및 교육정치의 관계)을 확인하면서 정치교육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핵심개념(민주주의, 정치교육)과 유사 동의개념(시민성, 시민교육, 시민참여, 교육정치 등)을 중심으로 국내외 선행연구물과 관련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개념 숙지, 상이한 정치철학적 관점에 대한 포괄적 이해, 시민교육과 유사개념의 비교 분석, 시민성의 개념 확인, 시민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의 필요성, 다학문적 시각에서의 정치(시민)교육 연구 등이 정치교육의 발전적 확산을 위한 예비적 아이디어로 확인되었다. Since political education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issue of value distribution (or exclusion), it is highly likely to be the subject of constant debate and issues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spectrum and political philosophy of the related stakeholders. Because the differe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political community provide a variety of worldviews on the mode of operation of democracy,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his paper attempted to present a preliminary discussion for revitalizing political education while analysing various issues related to political education(the main viewpoints of democracy and political philosophy,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ystematic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eg: democracy, political educ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 and similar concepts(citizenship education, civic education, civic engagement, educational politics, etc.). Some ideas including familiarity with various concepts of democrac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fferent poli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s, comparative analysis of civic education and similar concepts,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citizenship and necessity of developing civic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교육정치학: 이론화와 과학철학 및 연구방법론 쟁점 분석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1

        이론화과정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 연구결과의 집적은 개별 학문의 위상과 지위를 결정하는 필요충분조건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차대한 필요성과 당위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ㆍ외를 막론하고 교육정치학 분야 내에서의 이론화과정에 대한 활발한 학문 담론이나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통상, 이론화과정은 출발 단계로서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기능 정립, 과정 단계로서 이론 생성 구축 방안 탐구와 연구전략 및 방법론 설계, 종착 단계로서 이론의 개선ㆍ발달 촉진을 위한 환류평가의 문제로 귀착된다.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시작점인 이론의 정의와 유형 및 역할, 실행 단계인 이론 구축 방안 등에 논의의 주안점을 둔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은 이론화과정의 참조기제의 역할을 담당하는 과학철학과 연구방법론 관련 쟁점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사회학, 경영학, 조직이론, 교육학, 심리학, 과학철학, 연구방법론 분야 등에서 전개된 다양한 이론화 관련 논의를 차용한다. Successful execution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accumulation of related research results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status and position of individual disciplines. However, despite this critical necessity and justifiable importance, there is barely any proactive academic discourse or related research on theorizing proc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olitics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sing the definition, type and role of the theory,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orizing proces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heory, which is the stage of implementation. Also,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debating issues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which play the main role of a reference framework in the theorizing process. To this end, this thesis borrows various theorization-related discussions developed in the fields of sociology, administration, organizational theory,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of science, and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AI와 Big Data 쟁점 분석 및 교육정치학의 발전 과제

        박선형(Park, Sun-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3

        교육정치학은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규정하는 권력ㆍ가치 배분의 문제를 학문 탐구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데이터 주도 경제시대에 있어서 Big Data와 이를 처리하는 AI 기술은 그 자체로 권력관계를 반영한다. 따라서 Big Data와 AI의 교육활용성과 적용가능성의 장점과 한계점 및 제도적 촉진ㆍ제어 방안 등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심층적 탐구는 교육정치학의 학문적 외연 확장과 내용체계 강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신생 연구 분야로 간주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Big Data와 AI(& AIED)의 유사 개념(학습분석학, 정밀교육 등)을 확인하고 제반 정의와 쟁점 및 연구 방향을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정치학의 발전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시론적 제언으로서 네 가지 영역(Big Data와 AI 및 AIED의 법적ㆍ제도 정비, 교육 데이터 정치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 수행, 다학문적 협동연구 실행, 이론기반 Big Data 과학적 연구방법론 탐구)에 따른 세부적 논의와 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Educational politics takes the issue of power and value distribution that defines “who can get what, when, and how” as the starting point for academic research. In the era of data-driven economy, Big Data and AI technology reflect the power relationship itself. Therefore, systematic analysis and in-depth investigation dealing with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usage and applicability of Big Data and AI, and institutional promotion and control methods need to b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new research field for expanding the academic scope of educational politics.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paper critically analysed similar concepts (learning analysis, precision education, etc.) between Big Data and AI (& AIED), and systematically examined definition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s. In addition, as suggestive ideas and related issues for deriving the future tasks of educational politics, four areas (big data, AI and AIED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 critical research on educational data politics,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research, theory-based Big Data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ere explained in a detailed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