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형 직분식 디젤 엔진의 흡기포트 형상에 따른 유동 해석

        박상찬(Sangchan Park),류재덕(Jeaduk Ryu),이기형(Kihyung Lee) 대한기계학회 200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1 No.11

        Recently, the regulation of CO₂ emission from vehicles is more and more strengthened for the prevention of global warming and energy conservation. Therefore, the demand for the low fuel consuming power train is steadily increasing. Among many solutions, HSDI(High Speed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 is suggested for reducing the emission level of CO₂. Also, HSDI diesel engine is evaluated as one of most substantial solution because of its inherent good fuel econom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ylinder swirl flow generated by a 4-valve cylinder head of small size with a tangential and a helical intake port. The calculations of the in-cylinder velocity field have been conducted by CFD code and the flow coefficient(C<SUB>f</SUB>), swirl ratio(Rs), mass flow rate(m<SUB>s</SUB>) were measured in the steady flow test rig using ISM(impulse swirl meter). As the results from steady flow test, mass flow rate of a head for short distance between each independent port is increased about 13% than the another. But non-dimensional swirl ratio is decreased about 15%. From flow fields image acquired by laser sheet method and calculation, we found that the center position of swirl was eccentric.

      • KCI등재

        사용종료 비위생 매립지의 환경 안정성 평가

        박상찬(Park Sangchan),조병렬(Cho Byeongreal),정지혜(Jeong Jihye),이민희(Lee Minhee),김태영(Kim Taeyoung),종호(Park Jong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9 No.6

        사용 종료된 매립지의 환경적 영향에 따른 매립 후 변화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매립 폐기물의 성상 및 가스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성상분석의 유기성분이 29.72~63.84%이었고, 비닐ㆍ플라스틱류는 평균 32.88%로 가연성 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침출수의 성분 중 BOD?/CODcr 비가 0.18정도로 나타났다. TS의 62.71%중 VS는 30.37%, FS는 32.34%로 FS의 비중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매립폐기물의 C/N비는 21.8로 나타났다. 매립지 주변 지표수는 BOD 10.7㎎/g, SS의 경우 37.8㎎/g, 대장균 31.157(MPN/100㎖)로 나타났고, 지하수는 CODMn은 1.13-1.38㎎/g, NO₃-N은 1.025-4.075㎎/g로 나타났다. 침출수는 T-P 0.002-0.028㎎/g, NH₃-N 4.0-21.0㎎/g로 나타났으며, BOD/CODcr비가 평균 0.18로 나타났다. 토양은 토양오염우려기준에 하회하는 농도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매립가스의 CH₄와 CO₂가스는 각각 13.25%, 6.17%로 나타났고, H₂s나 CO가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표 가스는 CO₂, CH₄, H₂S, CO가스 농도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NH₃가스 농도는 평균 7.56ppm으로 분석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states of these open dumping landfills for managing, utilizing and stabilization of a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 in environmentally secure conditions. The result of the physical analysis of the landfill showed that it is composed of between 29.72-63.84% organic matter, 32.88% vinylㆍplastic.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landfill site confirmed that the landfill is at a maturation phase due to 0.18 of BOD?/CODcr of leachate. VS and FS of TS Was respectively 30.37%, 32.34% and C/N ratio was 21.8. Surface water around landfill was BOD 10.7 ㎎/g, SS 37.8 ㎎/g, E-Coli 31,157(MPN/100 ㎖) and Ground water was CODMn 1.13-1.38 ㎎/g, NO₃-N 1.025-4.075 ㎎/g. Leachat indicated T-P 0.002-0.028 ㎎/g, NH₃-N 4.0-21.0 ㎎/g. The soil contamination of around landfill didn’t appear as below of the regulation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Landfill Gas was CH₄ 13.25%, CO₂ 6.17%, H₂S and CO was not detected. Also Surface Water was not detected CO₂, CH₄, H₂S, CO.

      • KCI등재

        혁신지향 시장창출 및 기업가정신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 신규 시장범주에서 이해관계자 집단의 정치적 역동을 중심으로

        박상찬(Sangcha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거시조직이론의 관점에서 신규 시장범주의 출현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기반의 역할을 탐색한다. 혁신지향 창업에 관한 거시조직이론 분야의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창의적인 사업가의 사업기회 포착과 경제적 가치 제고를 촉진하는 시장 환경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신제도주의 관점에 따른 조직이론 연구는 기업가들이 창업과정에서 겪는 불확실성이 신규 시장범주의 출현과 성장에 중대한 장애로 작동하므로, 그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제도적 기반이 설계될 필요성을 지적한다. 이러한 기존 연구흐름과 달리 본 연구는 혁신지향 시장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가 불확실성을 낮춰야 한다는 당위적 주장이 항상 작동하지 않는 현실적 괴리가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괴리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신규 시장범주의 등장과 성장에 필요한 물적 자원의 본질적 속성 분석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둘째, 해당 자원의 사용을 두고 기존 및 신규시장 참여자들이 맺는 이해관계의 충돌과 이에서 비롯되는 정치적 영향력의 상대적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해당 자원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 자원의 활용을 규제하는 제도적 기반이 구성되는 과정과 결과를 분석한다. 이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신규 시장범주의 작동에 필수적인 자원을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인식하는 법-제도적 체계가 이해관계자들의 정치적 역동과 여러 맥락적 요인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며, 이는 창업 등 기업가정신의 발현을 통한 신규 시장범주의 출현과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의 이론적 근거는 법사회학, 제도주의 조직이론, 사회운동이론에서 도출하며, 이론적 타당성과 실증분석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지열발전) 시장범주를 탐색적 예시로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조직이론과 혁신시장 창출 및 기업가정신 연구에 기여하고, 기업전략 및 시장정책 수립과 평가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builds upon neo-institutional perspectives to explore the constitutive role of laws and regulations in affecting the legitimation of new market categories. Although institution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means to address the uncertainty inherent in new markets, little is known about the institutional sources of such uncertainty—a serious omission that prevents scholars from developing a nuanced theory of institutions and entrepreneurship. This study proposes that it can be useful to view innovation-oriented market creation as a sociopolitical process in which a number of stakeholders with varying interests in the use of scarce resources critical to entrepreneurial activities proactively intervene with regard to how the resources are formally classified and subjected to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process often invites political contestations between incumbents who wish to maintain the status quo of established markets and challengers who strive to create new opportunities in the market category. Depending 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two groups of stakeholders, the aforementioned process will result in a differing level of institutional uncertainty that constrains the legitimation of new market categories and its consequential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e study offers a set of theoretical propositions and explores the validity of its theoretical framework using an illustrative case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 KCI등재

        지식창출과 활용의 괴리: 녹색기술인증의 제도론적 분석

        박상찬 ( Sangchan Park ),차현진 ( Hyeonjin Cha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7 지식경영연구 Vol.18 No.1

        While prior work has not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creation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much less is understood about why firms do not actually use what they create. Building upon institutional approaches to organization studies, we offer a new framework to explain the gap between knowledge creation and utilization. We test our framework in an empirical context of sustainable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ies where idea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ave recently gained public popularity and shaped how interested audiences make evaluative assessments of firms. In such a context, firms are apt to perceive the social attention toward sustainability to be a normative pressure, which causes them to create new knowledge and develop technologies consistent with the social attention. Using data from the government-initiated certification system for green technologies, our study finds that firms do not always fully implement new environmental technologies they develop in response to the certification program, the situation we refer to as knowledge decoupling. We also examine a set of conditions under which knowledge decoupling becomes more or less amplified.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how how a firm`s knowledge creation and utilization may be shaped by its external institu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internal learning processes.

      • KCI등재

        질문한다, 조직학습

        김영규(Young-Kyu Kim),박상찬(Sangchan Park),배종훈(Jonghoon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4

        본고는 “조직학습이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이무원, 2015)에서 제시된 조직학습 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 세 가지, 즉 타 이론과의 통합을 통한 내적 확장, 조직학습이론 발전과정에 대한 성찰적 고찰, 새로운 방법론 및 인식론을 통한 조직학습이론의 재조명 등의 과제에 관해 살펴보고, 조직학습이론의 발전방향에 대한 질문과 제언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필드 간 확장 및 통합을 위한 이론의 발전에 관해서 연결망이론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통합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분야가 좁은 의미의 학습에 한정적이라는 점이 지적되었으며, 그럼에도 향후 두 이론간 소통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조직학습이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틀을 제시하기 위해 신제도주의이론 관점에서 이론이 ‘제도화’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 제기를 통한 성찰과 타 이론과의 개방적 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조직학습 본연의 가치, 즉 조직학습의 고유 메커니즘으로서 ‘조직다움’을 이론에서 회복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타 조직이론과 통합에 선행하는 타 학습이론과의 개방적 대화, 조직학습이론이 조직이론으로서 위상을 갖기 위해 이론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 문제로서 조직구조와 전략의 미시적 기초, 그리고 조직학습이 다루었다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다루지 못한 주제로서 학습과 권력에 대해 토론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학습이론이 더 완성도 있는 조직이론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and shares our feedback on the three directions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suggested b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Organizational Learning” (Rhee, 2015) – a theoretical elaboration by integrat-ing with other organization theories, introspective examination on theoretical development, and reillumination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using new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First, we examine the issue of theoretical development through an expansive integration with other theoretical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theorists. Although the issue of learning in a narrow sense has practically been the only subject that the network theory a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re integratively applied to, we also foresee good chances of fruitful integrative research efforts between the two theories. Second, employed from the new institutional theory, we suggest the need for open conversation with other theories by asking i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has been “institutionalized.” Third, to restore the original value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we discuss how to recover the theory’s “organizationality” as a unique mechanism in organizational learning. Based on these points, we discuss the necessities of more interactions with other learning theories, more considerations on organization structure and the micro-foundation of strategy, and some underdeveloped key concepts, such as learning and power. Through this paper, we aspire to help scholars take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o the next level.

      • KCI등재

        A Multidimensional Model of Institutional Embeddednes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by Conventional Hospitals

        이상묵(Sangmook Yi),박상찬(Sangcha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제도화된 환경에 배태된 조직이 어떠한 조건하에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가를 다룬다. 조직의 변화에 대한 제도이론적 시각의 연구들은 새로운 조직관행 및 구조의 채택이 경제적 효율성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가 당연시됨으로써 발생되는 제도적 압력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들은 조직이 이러한 제도적 환경에 배태된 정도에 따라, 새로운 변화에 노출되고 반응하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 제도이론을 따르는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제도환경에 대한 조직배태성을 각 조직이 필드 내에서 차지하는 중심과 주변이라는 이분화된 위치를 통해 그 영향력을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을 통해 제도적 압력에 따른 조직의 행동을 예측하는데에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새로운 제도변화를 수용하려는 의지와 그러한 제도변화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구분하여 본다면, 기존의 제도환경에서 중심부를 차지하는 조직은 새로운 제도변화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능력을 보유한 반면 새로운 제도를 채택할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다. 반대로 주변부에 있는 조직은 새로운 제도변화를 기회로 삼으려는 의도는 있으나, 이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흔히 배태성의 패러독스로 알려진 이러한 괴리는 기존의 제도환경에 대한 조직의 배태성이 중심 또는 주변이라는 단일한 지표를 통해 측정되었을 경우, 제도변화에 대한 영향력을 적절히 예측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려준다. 반면 이 연구는 조직의 배태성이 지니는 특성을 상반된 두 가지의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제도적 환경 속에 오직 하나의 제도적 정당성만이 존재할 수 있다고 파악하던 과거의 연구와는 달리, 최근의 제도주의 연구들은 조직필드 내에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제도적 논리와 그에 의해 지지되는 정당성이 각자의 분리된 영역에서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한 조직의 배태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하여, (1) 그 조직이 제도환경에 얼마나 강하게 속해있는가와 함께 (2) 다양하고 차별적인 정당성의 요소들을 얼마나 폭넓게 지니고 있는가를 분리하여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이러한 논리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배태성이 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독립적 인 두 가지의 다른 요인들을 통해 파악한다. 두 요인들 중 하나는 배태된 조직이 얼마나 다양한 종류의 제도적 정당성을 활용할 수 있는가를 표현하는 배태성의 범위(embeddedness scope)이다. 이는 서로 다른 제도적 논리에 근거한 파편화된 제도환경에서 조직의 정당성이 얼마나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조직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집단이 요구하는 제도적 정당성을 포괄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집단의 요구에 전적으로 행동을 제약 받을 필요가 없고 제도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조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조직은 새로운 관행 및 구조를 좀 더 적극적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요인들 중 다른 하나는 제도적 필드 내에서 조직이 어느 정도의 대표성을 지니는 구성원으로 자리잡고 있는가를 표현하는 배태성의 강도(embeddedness strength)이다. 이는 기존의 제도환경에서 당연시 되는 공통의 요소들에 해당 조직이 얼마나 강하게 밀착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배태성의 강도가 높은 조직은 기존 제도에서 널리 통용되는 공통적 요소에 고착되어 정당성을 얻고 있으므로, 기존 제도와 유리된 새로운 관행을 채택하는 데 상대적으로 소극적일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 의료산업을 실증연구의 맥락으로 삼고, 과학적으로 확립된 정통의학요법을 제공하던 병원들이 비정통적 대안치료요법을 공식적으로 추가 채택하는 현상을 통해 이론적으로 도출된 두 가지 배태성의 효과를 검증한다. 비정통적 대안치료요법이란 서양의학의 지배적인 치료방법과 의학적 체계와는 다른 원리에 근거한 대안적 치료법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침술, 마사지, 자연치유 요법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이 연구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뉴욕주 249개 병원들의 대안치료요법의 채택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태성의 범위가 넓은 병원이 대안치료를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배태성의 강도가 큰 병원은 대안치료를 채택할 가능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가 제시한 제도적 배태성의 두 가지 요인을 구분한 분석이 새로운 조직관행의 채택 및 그로 인한 제도적 변화에 대한 적절한 예측력을 지닌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도화된 환경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조직변화와 혁신활동을 다루는 향후 연구에 중요한 This study examines how organizations embedded in an institutional field initiate change. Prior research guided by institutional perspectives has generally focused on a dichotomous measure that recognizes an organization’s central or peripheral position in a field as a simple proxy for institutional embeddedness. In contrast, we argue that institutional influence on change decisions varies according to two distinct dimensions: embeddedness scope, or how widely the organization draws its legitimacy on diverse sources, and embeddedness strength, or how strongly the organization coheres around the best representation of what it means to be a typical member of the field. We examine our arguments in a study of the formal incorporation of unconventional medicine into conventional hospitals in the US health care system. Unconventional medicine includes a group of treatment therapies whose underlying principles rest uneasily with those of dominant medicine. Our findings suggest that hospitals with higher embeddedness scope are more likely to adopt unconventional therapie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is less likely when embeddedness strength is higher. We close by discuss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agency and institution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

        사용종료된 유사비위생 매립지들의 환경인자 분석

        이병찬(Lee Byungchan),이민희(Lee Minhee),박상찬(Park Sangchan),정선기(Jeong Seonki),한양수(Han Yangsu),연익준(Yeon Ikju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사용 종료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10년 경과 후를 중심으로 하여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특성, TS, 수분, C/N비, 용출실험, 원소분석을 하였으며, 매립지의 주변 토양을 분석하였다. 매립 폐기물의 유기성 물질은 7.2%∼23.5%를 차지하였으며, 무기성 물질의 대부분은 토사류로서 54.1%∼71.0%를 차지하고 있었다. TS는 51.5%∼68.1%, VS 23.6%∼56.1%, 수분은 32.0%∼48.4%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의 분석결과 수은, 6가 크롬, 시안, 유기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용출물질 중 Pb가 0.023∼0.092㎎/L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소분석 결과 C는 47.74%∼56.72%, N는 4.09%∼9.92%, C/N비는 5.76∼12.57이었고, 매립장 주변의 토양 분석 결과 Pb이 2.465㎎/㎏∼10.251㎎/㎏으로 가장 많았다. 사용종료 매립장 폐기물의 환경현황 분석을 통하여 매립장에 대한 시간에 따른 특성, 안정화도, 주변 토양의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매립지 특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t was analysed physical characteristics, TS, moisture, C/N ratio, leaching test, and element analysis in landfill wastes of 10 years old without landfill pretreatment. The Organic material content was 7.2%∼23.5% and soil was the main inorganic materials which it's rate was 54.1%∼71.0%, in landfill wastes. The results of TS, VS, and moisture were represented 51.5%∼68.1%, 23.6%∼56.1%, 32.0%∼48.4%,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s did not indicate Hg, Cr??, CN, Organic Phosphorus, TCE and PCE, however the Pb of leaching materials showed 0.023∼0.092 ㎎/L, which was the highest. As the result of the element analysis, C was 47.74%∼56.72%, N was 4.09%∼9.92%, the C/N ratio was 5.76∼12.57 and the result of soils around landfill was the highest heavy material, Pb, 2.465 ㎎/㎏∼10.251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states, stabilization of these closed landfills and to gain suitable data for post-closure care using some parameters through analysis of landfill environment.

      • KCI등재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수(Dongsoo Kim),차현진(Hyeonjin Cha),박상찬(Sangcha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지난 40여 년간 진행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 연구를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신제도주의는 대표적인 조직이론 패러다임으로 국내외 조직 연구에서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나, 새로운 이론 패러다임의 도출 및 검증이나 다른 패러다임 간 대화와 통합에 미치는 근본적인 기여 측면에서 학문적 입지에 걸맞은 영향력을 앞으로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은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가장 초기 시점부터 등장하여 최근까지 수많은 연구에 활용되기에 이러한 상황을 신제도론이 발달한 역사적 맥락에서 조망하는 데 유용하다. 본 논문은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이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하되, 관련 연구 동향을 단순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연구가 신제도론의 핵심주장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이론 패러다임의 확장에 기여했는지 근본적 수준에서 재고찰한다.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사회구성원이 바람직하고 당연하다고 여기는 가치와 규범을 반영하는 공식구조를 일률적으로 채택하도록 동형화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제도화된 구조는 개별 조직의 특이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일상적 조직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기술적 합리성 추구와 상충될 수 있다. 이처럼 의례적 규율로서 공식구조를 채택해야 하는 제도적 요구와 일상 업무의 기술적 요구가 서로 다른 경우 공식구조와 실제 운영 사이에 생겨나는 괴리 현상이 디커플링이다. 본 논문은 디커플링 개념이 처음 제시된 이후 연구자들이 이를 해석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개념적, 맥락적 범위가 상당히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그러한 확장이 신제도론의 발전에 끼친 긍정적 효과로서 제도론적 관점을 적용한 연구의 폭이 넓어지고 인접한 다른 이론 패러다임 간 학문적 대화와 통합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개념이 지나치게 확장되어 모호성이 증가하고 방법론적 엄밀성 제고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생겨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만한 중요한 쟁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critically examines whether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extension of neo-institutional approaches to organization studies. A general premise of neo-institutionalism is that organizations adopt formal policies, practices, and structures, not because there is stro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y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because they have become so-cially accepted as appropriate, desirable, or proper. However, scholars have noted that formal adop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ctual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two conflicting forces: the generalized institutional pressures to require formal adoption and the organization-specific technical demands to avoid operative inefficiency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In this paper, we review and critique recent studies guided by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show that it has great potential not only for promoting theoretical novelty but also for facilitating productive dialogue between neighboring para-digms in organization studies. We also point to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the diversity of such studies in terms of empirical contexts. Yet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has been over-extended in some studies, leading to theoretical ambiguity and misinterpretation. We conclude our review by examin-ing critical issues to resolve conceptual over-extension and providing sever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