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난감이 없는 사찰에서 나타난 유아 놀이의 의미 탐색

        박부숙(Boosook Park),이지희(Jihui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유아 중심․놀이 중심을 강조하는 현 교육과정에 맞추어 유아의 진정한 놀이와 장난감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난감이 없는 환경에서 발현되는 놀이를 기반으로 유아의 진정한 놀이와 장난감에 대한 재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찰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노트 및 기타 관련 자료 수집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난감이 없는 사찰에서 유아는 스님놀이를 하고, 자연과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의 놀이는 무소유를 통한 절약, 절제의 행동을 실천하고 자연친화적인 태도를 함양하고 중중무진연기(공동체 지향교육)를 통한 유아의 친사회성이 함양되었다는 점에서 불교 철학적인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유아의 발달론적인 관점에서 유아의 놀이는 능동적으로 환경과 계속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구성하고, 창의성을 발현시키며, 놀이에 몰입하여 즐거워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난감이 없는 환경에서 유아는 충분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유아 주도적인 의미 있는 진짜 놀이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유아교육현장에서 장난감의 새로운 의미를 재조명하고, 유아의 놀이에 대한 경험을 연구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Objective: Following the current chil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true play and toys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children’s true play and toys based on their play in an environment without toys by observing their play in a temple without toys. Methods: During the project period, the children playing games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Subsequently, an onsite memo and other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In the temple without toys, it was found that children played various games including pretend play like monks, unstructured free play using nature and recycled product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cess of making children play independently with toys was meaningful from the viewpoints of Buddhism and developmental theor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f there is an environment without toys, children tend to engage in meaningful games in sufficient time and space. Therefore, future research must re-examine the new meaning of toy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tudy the experiences of children’s play.

      • KCI등재후보

        다문화 놀이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인식 탐색

        박부숙(Boosook Park)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3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놀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한 유아다문화 교육 수업을 마치고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개발한 다문화 놀이프로그램은 관광식 접근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놀이 경험이 되었다. 다문화 놀이프로그램은 놀이중심 누리과정을 반영하였고,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감소하였다. 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는 다문화영유아는 비다문화영유아와 다르지 않다고 인식 전환이 일어났으며, 다문화인에 대한 지나친 배려와 친절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음을 느꼈다. 다문화교육 수업을 마치고 오히려 다문화인 상대를 잘할 수 있을지 두려움을 느끼지만, 다문화적 역량은 미래에 요구하는 역량이므로 배운 것을 잘 활용하겠다고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문화 놀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2nd grad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G City developed a multicultural play program through PBL classes, and explored changes in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of study, the multicultural play program developed by students enabled a play-experientaial understading of diversity, moving beyond a tourism-oriented approach. This multicultural program reflected the play-oriented Nuri curriculum, and resulting in a reduction of biases towards multiculturalism. Student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changed as they realized that multicultural preschoolers were no different from their peers. They also recognized that excessive consideration and kindness towards multicultural individuals could lead to discomfort. Despite feeling anxious about how well they could interact with multicultural individuals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the future and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apply what they had learned. For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o utilize the compilation of play activities and analyze the outcomes to develop a practical and systematic multicultural program.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 경험 탐색

        박부숙(Boosook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실행하고,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G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블렌디드 수업 대상자 2학년 학생 14명으로 ‘놀이지도’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다. 연구결과 누리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기존 누리과정과 개정 누리과정 사이에서 갈등을 느꼈고, 유아가 되어 놀이에 참여한다는 것에 대한 신선함과 부담감이 존재하였으며, 발현적 교육과정을 통한 구성주의에서 지식 구성에 어려움을 느꼈다. 모의수업을 마치고 평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 교사 역할을 한 학생은 놀이할 줄 모르는 친구들로 인해 수업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놀이가 배움이 되는 순간을 포착하여 보람을 느꼈지만 놀이가 확장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릴 수 없었다. 모의수업 경험은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고민을 통한 성장의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모의수업에서 했던 활동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놀이와 차이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보고, 놀이지도 모의수업뿐만 아니라 타 교과목에서도 누리과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students of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e to implement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reflecting teacher’s role that is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practice young children’s play-center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sophomore students for blended learning in th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y felt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y also felt burden as well as freshness on participation in play by being young children, and difficultie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constructivism through emergent curriculum. Focused on evaluation, after finishing the mock class, the students who played teacher’s role revealed difficulties in class operation due to other students who did not know how to play. Although they felt rewarded by capturing the moment that play becomes learning, they had obsession that play should be expanded. It is found out that experience of mock class is a process of growth through understanding and agony on teacher’s role as a play supporter. 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mock class can be applied to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 that the differences from the pla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can b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o apply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o other courses in addition to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and to plan and practic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