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더덕(沙蔘)의 年根別 化學性分에 關한 硏究 - 第2報 : 脂質分劃의 分離

        박부덕(Boo-Duck Park),박용곤(Yong-Gone Park),최광수(Kwang-So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4 No.3

        栽培더덕과 野生더덕의 脂質成分을 調査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anol(2:1, v/v), 혼합 용매로 추출한 재배더덕(5年根)과 야생더덕(8年根)의 脂質을 silicic acid column,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分離, 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br/> 재배더덕과 야생더덕의 지질中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분획이 中性 지질이었고 그 다음 인지질, 당지질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성지질의 구성비율이 비교적 적고 인지질의 그것이 많은 것이 특이하였으며, 재배더덕에는 지질의 41.30%, 야생더덕에는 29.34%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지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분획은 triglyceride로써 재배더덕에서 39.49%, 야생더덕에서 32.88%,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등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야생더덕에는 유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sterol ester 및 monoglyceride 함량이 각각 중성지질의 27.74%와 5.11%로써 대단히 높았다.<br/> 더덕 지질의 가수분해물의 지방산 조성중 total lipid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재배더덕이 25.45% : 74.37%였다. 더덕의 total lipid의 지방산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이 linoleic acid로써 재배더덕이 44.18%, 야생더덕이 40.04% 였으며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함유되어 주된 지방산을 구성하였다.<br/> 더덕 지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auric acid였으며 재배더덕의 중성지질 중에는 11.13%의 높은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더덕의 glycolipid와 phospholipid에는 각각 11.06 및 9.34%의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Lipid fractions of the roots of cultured (five years old) and wild (eight years old) Codonopsis lanceolala were analyzed. The most abundant fraction of the lipids extracted from cultured and wild roots of C. lanceolata was neutral lipid and the next came phospholipid and glycolipid in descending order. The percentage, however, of the neutral lipid in total lipid was comparatively low, while that of phospholipid, particularly high; 41.30% and 29.34,% in that of cultured and wild one respectively. The richest fraction of neutral lipid was triglyceride; 39.49% and 32.88% in the cultured and the wild respectively, and followed by sterol esters and free acid. Noticed amounts of sterol esters and monogl-ycerides which is able to be used as an emulsifiers, were contained in the neutral lipid of roots; 27.74% and 5.11% respectively. The unsaturated fatty acid fraction of the total lipid hydrolyzate contained in cultured and wild C. lanceolata roots was 72.87%and 74.37% respectively. The main fatty acid contained in the total lipid hydrolyzate was linoleic acid, and followed by linolenic acid palmitic acid.<br/> The main saturated fatty acid was palmitic acid and lauric acid.

      • SCOPUSKCI등재

        더덕(沙蔘)의 年根別 化學成分에 關한 硏究 - 第1報 : 一般成分, 無機質 및 蛋白質 分劃

        박부덕(Boo-Duck Park),박용곤(Yong-Gone Park),최광수(Kwang-So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4 No.3

        年根別에 따른 더덕의 一般成分, 無機質 및 蛋白質 成分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 및 disc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分析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br/> 一般成分은 재배더덕이나 야생더덕에 관계 없이 총당(건물중)이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이고 1년근이 68.76%, 5년근이 66.54%로써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회분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조섬유를 재외하고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 보다 그 성분함량이 다소 높았고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함량이 높아졌으나 조섬유는 별로 증가가 없었다.<br/>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208.7~327.9ppm으로 가장 높았고 Mg, Ca가 그 다음으로 비슷한 함량을 보여 주었고 전반적으로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무기질 함량이 높았으며 Fe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재배 年根의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무기성분 함량이 높아졌다. 그리고 重金屬인 Pb와 Cd의 함량은 허용기준량보다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P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함량이 3배 정도 높았다.<br/> 더덕의 단백질 분획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재배와 야생더덕에 상관 없이 albumin이 었고 재배년령이 높아질 수록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globulin, prolamin 및 glutelin의 순서로 함유되었고 대체로 年根의 년령이 높아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prolamin함량이 19.74~22.90%로 비교적 함량이 높았다. 더덕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4에서 최소, pH 10에서 최대를 나타냈으며 disc gel 전기영동 패턴은 재배년령이나 재배와 야생더덕에 관계 없이 band의 형태와 수에 별 차이를 인지할 수 없었고 7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主蛋白質의 分子量은 약 90,000이었다.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s and protein fractions of the roots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of different age groups were examined as the basic research for the study of their source of processed foods. The most abundant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roots of C. lanceolata was observed to be total sugars and next come crude protein, crude fiber, crude fat and ash in descending order irrespective of cultured and wild ones. The richest mineral contained in the roots was noticed to be K and followed by Mg and Ca. Generally increased tendency of crude protein, fat, ash, K, Mg, Ca, Mn, Zn, Cu and P contents were observed with older roots, however, decreased total sugars and Fe content. Lead and cadmium content was far bellow the authorized tolerance limits. The quantitative fractionation of the protein of the roots ranked albumin the highest content, followed by globuin, prolamin and glutelin. Decreased albumin content was observed with the older age roots, while increased globulin, prolamin and glutelin content. The minimum solubility of the soluble protein of the roots was found to be at pH 4.0 and maximum, at pH 10.0. Disc gel electrophoresis of the soluble protein of C. lanceolata roots showed almost similar patterns and numbers of bands. The molecular weight for main band protein was estimated to be about 90,000.

      • 대두의 수침시간 (水浸時間)에 따른 조직의 미세구조 단백질특성 및 두부수율의 변화

        최광수,박부덕,박용곤 한국콩연구회 1985 韓國콩硏究會誌 Vol.2 No.2

        본 연구는 두부제조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대두 조직의 미세구조와 초원심침강법에 의한 두유, 두부 단백질 fraction의 특성 및 이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수침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은 각각 45.93%, 50%, 55.4%로 증가하였고, 고형분추출율, 응고율 역시 증가하였다. 2. 두유, 두부의 disc-gel 전기 영동에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band는 증가했고, 주 band의 두께는 더 굵었다. 그리고 두유의 고분자의 band가 두부로 많이 이행하였다. 3. 두유, 두부의 crude 7S protein과 crude 11S protein은 전기 영동에서 두유의 7S는 5개, 11S는 9개의 band가 나타났고, 두부의 7S는 4개, 11S는 8개의 band가 나타났는데 두유의 band 중 주로 11S 성분들이 두부로 많이 이행하였다. 4. 대두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rotein body는 그 크기가 상당히 팽창했고 protein body 사이에 산재해 있던 spherosomes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soybean curd yiel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soaking time during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To investigate those changes systematicall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disc-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The soybean curd yield was increased from 45.0% to 50.5% and 55.4% respectively as soaking time is extended from 5 hours to 10 and 24 hours. The solid extraction and soybean milk coagulation were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soaking time. From disc-gel electrophoresis patterns of soybean milk protein and soybean curd protein, numbers of band were increased and major band thickened by exending the soaking time. Most of high molecular bands of soybean milk protein were transfered to soybean curd. Crude 7S porteins of soybean milk and soybean curd in dis-gel electrophoresis were appeared to be 4 and 5 bands respectively, and crude 11S proteins of soybean milk and soybean curd were appeared to be 9 and 8 bands respectively. Of soybean milk bands, most of 11S component transfered to soybean curd. Transmission electron photomicrographs revealed that the dimension of each protein body became larger and the numbers of spherosome around the protein bodies in unit area fewer by extending the soaking time of soybean.

      • SCOPUSKCI등재

        大豆의 水浸時間에 따른 組織의 微細構造, 蛋白質 特性 및 豆腐收率의 變化

        박용곤(Yong-Gone Park),박부덕(Boo-Duck Park),최광수(Kwang-Soo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두부제조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이 증가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대두 조직의 미세구조와 초원심침강법에 의한 두유, 두부단백질 fraction의 특성 및 이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1. 대두의 수침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부수율은 각각 45.93%, 50%, 55.4%로 증가하였고, 고형분추출율, 응고율, 역시 증가하였다.<br/> 2. 두유, 두부의 disc-gel전기영동에서 수침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band수는 증가했고, 主band의 두께는 더 굵었다. 그리고 두유의 고분자의 band가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br/> 3. 두유, 두부의 crude 7S protein과 crude 11S protein은 전기영동에서 두유의 7S는 5개, 11S는 9개의 band가 나타났고, 두부의 7S는 4개, 11S는 8개의 band가 나타났는데 두유의 band중 주로 11S 성분들이 두부로 많이 이행 하였다.<br/> 4. 대두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rotein body는 그 크기가 상당히 팽창했고 protein body사이에 산재해 있던 spherosomes의 수는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soybean curd yiel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soaking time during manufacturing of soybean curd. To investigate those changes systematicall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disc-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The soybean curd yield was increased from 45.0% to 50.5% and 55.4% respectively as soaking time is extended from 5 hours to 10 and 24 hours. The solid extraction and soybean milk coagulation were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soaking time. From disc-gel electrophoresis patterns of soybean milk protein and soybean curd protein, numbers of band were increased and major band thickened by exending the soaking time. Most of high molecular bands of soybean milk protein were transfered to soybean curd. Crude 7S porteins of soybean milk and soybean curd in dis-gel electrophoresis were appeared to be 4 and 5 bands respctively, and crude 11S proteins of soybean milk and soybean curd were appeared to be 9 and 8 bands respectively. Of soybean milk bands, most of 11S component transfered to soybean curd. Transmission electron photomicrographs revealed that the dimension of each protein body became larger and the numbers of spherosome around the protein bodies in unit area fewer by extending the soaking time of soybean.

      • KCI등재

        지방세포 특이적 전사인자 조절을 통한 울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이성애,주형진,박민준,박부덕,김교남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2

        Purpose: Curcuma longa L. (CL)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cinal herb and spice. Although several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L have been reported, its anti-adipogenic effects as a nutri-cosmetic material are relatively unclea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CL extracts (CLE) in 3T3-L1 adipocytes. Methods: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CLE was tested.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a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CLE were estimated using Oil Red O (ORO) staining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number and size of lipid droplets were determined by photomicrograph analysi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s in CLE-treated 3T3-L1 adipocytes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Up to 10 mg/mL concentration of CLE effectively scavenged DPPH radicals. Treatment with up to 800 μg/mL concentration of CLE for 24 h did not affect 3T3-L1 adipocytes viability. Thus, we chose up to 800 μg/mL CLE for further experiments. Treatment with CLE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decreased number and size of lipid droplets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down-regulat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β (CEBPB),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A), fatty acid synthase (FASN), and lipoprotein lipase (LPL) expression levels were observed in CLE treated 3T3-L1 cell.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LE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nutri-cosmetic material that exhibits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목적: 울금(Curcuma longa L.)은 항산화, 항암, 그리고 항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미용관련 기능성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진도산 울금 추출물(Curcuma longa L. extracts, CLE)의 항산화 및 3T3-L1에서의항비만 활성 평가를 통해 미용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LE의 항산화 활성은 2,2-diphenyl- 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세포독성은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이용하였다. 또한 CLE의 지방 축적 억제활성은 3T3-L1를 day –2에서 day 6까지 총 8일 동안 분화시키면서 CLE를 처리하고 Oil Red O (ORO) 염색법을 통해 정량분석 하였다. 또한 현미경 관찰 및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방구의 수 및 크기의 변화를 정성분석 하였다. CLE가 3T3-L1 세포의 지방세포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들의 mRNA 발현수준은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CLE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을 소거하였다. 3T3-L1 전지방세포에 CLE 를 24 h 동안 처리하였을 때, 8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후 실험에서 800 μg/mL 이하의 농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CLE가 처리된 3T3-L1 세포의 지방 축적 함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구의 크기 및 수도 감소되었다. 또한 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주요 전사인자 및 유전자가 CL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CLE가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진 화장품 및 미용식품 소재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 KCI등재

        울금 추출물의 피부미용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 평가

        주형진,이성애,김령현,박부덕,김교남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2

        Purpose: To test whether water extracts of Curcuma longa L. (CLE) have the potential as beauty food materials, the inhibitory effects of CLE on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cells and regulatory effects of CLE on the skin fibril-related genes in human skin fibroblasts (HSF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Methods: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LE in B16F10 or HSFs. Inhibitory effects of CLE on the melanin accumulation were evaluated by B16F10-eluted melanin content and image analysis. The expressions of skin fibril-related genes such as procollagen1α1, procollagen1α2, and elastin in HSFs were evaluat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cytotoxicity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CLE were confirmed under 400 μg/mL in both B16F10 and HSFs. The cytotoxicity of B16F10 cells with CLE for 24 h was confirmed and CLE up to 400 μg/mL were used. The CLE from 50 to 400 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cells. The HSFs treated with CLE showed up-regulated skin fibril-related genes. Conclusion: Those results show that CLE has benefits with skin-whitening and up-regulation of skin fibril-related genes, which means it could be used as an ingredient in beauty foods and/or cosmetic materials. 목적: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울금(Curcuma longa L.)에 대한 항산화 및 항암 등의 연구가 비교적 다수 수행되었으나, 피부건강과 관련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진도산 울금 물 추출물(water extracts of Curcuma longa L., CLE)의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및 human skin fibroblasts (HSFs)에서 피부 섬유구조관련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울금 추출물의 미용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B16F10, HSFs에서 CLE의 세포독성은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로 평가하였다. B16F10 세포에서CLE의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은 세포의 배지에 용출된 멜라닌의 정량과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CLE가 HSFs 세포의 피부 섬유구조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분석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MTT assay를 통해 CLE의 농도는 B16F10 및 HSFs 세포에서 400 μg/mL 이하로 결정하였다. B16F10 세포에서 50, 100, 200, 400 μg/mL의 CLE 처리는 유의적으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HSFs에서 10, 100, 200, 400 μg/mL의 농도로CLE를 처리한 결과 procollagen1α1, procollagen1α2, elastin의 mRNA 발현수준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CLE를이용하여 미백 및 피부섬유관련 유전자의 상향조절로 인한 피부탄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미용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