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지식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특성 분석

        박병태 ( Byoung Tai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명(남 7명, 여 7명)을 대상으로 과학지식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발성사고법을 적용하여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로 나누어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하는 경우가 실패하는 경우에 비해 적은 시간을 사용했다. 그 중 이해단계, 풀이단계, 검토 단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5). 문제를 성공하는 경우, 학생들은 기억에 의한 계획 유형과 문두와 답지의 내용을 모두 확실히 아는 풀이 유형 및 답지 중 확실히 알고 있는 유형으로 문제를 푸는 경향이 높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문제를 실패하는 경우, 잘못된 기억으로 해결하다 실패를 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지식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시사하고 있다.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coming out in the process of solving questions about scientific knowledge targeting the 14 6t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7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s with the application of "Think-aloud method" by ividing them into the case of failure or success on gender.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it took for the students, who made a success in solving questions, less time than the others who didn`t. Th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the stage of understanding, solution and review(p<.05). In case of making a success in solving questions,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to solve questions in relation to memory-based planning pattern, question headings and contents of an answer paper using the pattern they are precisely familiar with among the precisely familiar pattern and answer paper.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solve questions using a variety of methods than male students. In case of making a failure in solving questions, students tended to make a failure while immediately trying to solve questions while finding an answer in a stat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r by wrong memory. Such a result suggests that what should be made up for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children.

      • KCI등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권치순 ( Chi Soon Kwon ),박병태 ( Byoung Tai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해 새로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 의 인식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3, 4학년 담임 및 과학 전담교사 188명이며 설문지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각론에 대한 이해보다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학 및 과학교육의 본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과학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 작성의 원리와 기법을 익히는 데 보다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소양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각론 및 활용 실태는 종전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 즉, 성별, 경력, 전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등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경력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지도서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과학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알맞게 교사용 지도서를 개선하는 노력뿐만 아니라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아 효능감, 즉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actual teachers are using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at has been revised and updated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188 third and fourth-grade teachers working within downtown Seoul. An analysis of thes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and the particular sections of the guide and their usage of it showed that the most problematic area was their recognition of the general outline of the guide.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the teachers use the guide, by grouping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i.e., gender, teaching experience, specialty, and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self-perceived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how they used the guid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teaching self-confidence the teachers feel, the better the usage of the guide they make. This finding implies that helping elementary-school teachers improve their sense of science teaching self-confidence could help improve their perceptions and usage of the science teaching guide.

      • KCI등재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권치순 ( Chi Soon Kwon ),박병태 ( Byoung Tai Park ),유주선 ( Ju Sun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총 594명(일반아 480명, 부진아 114명)을 대상으로 과학학습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배경에서 부모 생존여부와 부모의 학력은 부진아와 일반아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요인에서는 과학 흥미도, 과학실험 참여도, 과학평가 문항유형에 있어서 일반아와 부진아의 차이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셋째, 학교 밖 과학관련 요인에서는 과학관련 기관 방문, 과학매체 선호도, 과학관련 도서, 실험도구의 선물이 일반아와 부진아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과학관련 자아감은 동료와의 우월성, 과학관련 장래희망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과학학습 부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진아들에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교사의 특별지도,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담 등의 종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students and students who chronically fail in the subject of science at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this study involv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a total of 594 students (480 of which are ordinary students and 114 of which are chronically failing) in Grades 4, 5 and 6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mily background, the student`s ow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subject, the student`s experience with science outside school, and the student`s estimation of his own confidence in learning sciences are the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student`s success or failure in sc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provide not only scientific programs and teaching, but also some sort of psychological and counselling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bad at science in school.

      • KCI등재후보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 분석

        고민석(Min-Seok Ko),박병태(Byoung-Tai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2

        본 연구는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학급에서 학생들을 추천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현장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력과 성별, 영재교육경험에 차이가 있는 8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크게 영재판별의 어려움,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 교사의 소신대로 추천하기 어려움의 3가지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영재판별의 어려움으로는 담임교사마다 영재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고, 영재성에 대한 이해 부족을 들 수 있었다. 학부모 관계에 대한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학부모의 높은 기대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는 학부모 추천을 불신하거나 또는 학부모 추천결과를 그대로 수용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소신대로 추천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는데 이로 인해 담임교사는 객관적인 자료에 더 의존하고 모범적인 학생을 영재로 추천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소외된 영재가 배제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담을 통해 영재관찰 추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교사들은 영재성에 대한 이해와 확신,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한 분위기 형성, 동료추천 활용, 영재행동체크리트의 구체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In order to identify and analyze what difficultie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experience in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based on interviews, of eight teachers’ experience with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 effect of the lengths of their careers, genders, and differences in their experience with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ir teaching. This study identified and analyzed three categories of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 in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namely, the difficulties at discerning gifts, the difficulties in relations with parents, and the difficulties to make nominations based on the teacher’s own observation and conviction. The difficulties stems from the fact that each teacher has a different notion or conception of what a gifted student is and that he or she may not possess adequate knowledge or understanding of students’ gifts. The difficulties concerning relations with parents shows that the system of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acts as a burden on teachers with respect to their dealings with parents, given the high interest and enthusiasm of Korean society for education in general. Teachers, in other words, either did not trust parents’ nominations of their own children or completely accepted parents’ nominations without further questions. Given the difficulties for teachers to nominate based on their own observation and conviction, they tended to nominate exemplar students as gifted students, trusting how objectively well they academically perform. This had an effect of leaving excluded actually gifted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also used to explore what better alternatives could be used to discern and nominate gifted children. The interviewed teachers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certain guarantees of children’s gifts, for a trustworthy and fair atmosphere for the related processes, for peers’ nominations,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for gifted children’s behavior or 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