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유효현(Hyo-Hyun Yoo),최리나(Ri-Na Choi),박병기(Byung-Gee Ba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사적 인식론에 대한 박병기ㆍ채선영(2006)의 재개념화를 근거로 하였다. 효과검증의 준거는 사적 인식론과 성취목표지향성이다. 사적인식론은 프로그램 효과성의 직접 준거이며, 성취목표지향성은 간접 준거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73명이었다. 실험집단은 35명, 비교집단은 38명으로서 동일학교의 2개 반을 무선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읽기자료, VTR시청, 개념도 그리기, 발명아이디어 제시하기, 조사와 찬반토론, 효율적인 학습방법 찾기, 교과서 분석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1회에 40분씩 총 8회에 걸쳐 4주 동안 실시되었다.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 직전(사전검사), 실시 직후(사후검사), 실시 3주 후(지연검사)로 총 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사전검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적이었다. 사적 인식론의 소박한 인식론은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세련된 인식론은 사후검사와 지연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수행회피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사적인식론이 가치있는 인간의 신념체계라는 점 외에도, 이 신념의 변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국내ㆍ외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는 매우 크다. 향후 사적 인식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의 측면에서 연구결과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sonal epistemology change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Bak & Chai(2006). The Criteria of effect testing included personal epistemolog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ubjects were 73 students from two 6th grade classes. Each clas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xperimental or comparison condition. The eight sessions of personal epistemolog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of 35 students) for 4 weeks. Two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three times: pre-test, post-test, and delayed-test.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Pre-test supported the homogeneity of two group of experimental and comparison condition. The Personal epistemology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general. This study is a valuable attempt in view of the situation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study for the personal epistemology enhancement is very hard to fi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박병기(Byung Gee Bak),정영주(Young Ju Ch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 목적은 박병기 채선영(2006)이 2 6 요인구조로 개념화하고 개발한 영역일반적 인식론적 신념 척도 SOPE를 수정하고 재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SOPE는 12개의 요인 중 일부분에서 신뢰도가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목적은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은 두 개의 과제를 포함하였다. 한 과제는 영역성 탐색의 선결조건으로서 영역특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역사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과제는 인식론적 신념이 영역일반적인지, 영역특수적인지, 아니면 영역복합적인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생 389명(남 189, 여 200)이었다. SOPE의 수정은 박병기 채선영(2006)에 제시된 12개 요인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모든 문항을 재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수정된 척도는 전문가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성을 검토 받은 후 재수정하였다. 과학과 역사의 두 가지 영역특수 척도는 재수정된 SOPE의 문항들에 과학과 역사의 학문적, 교과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은 상관행렬분석, 평균차이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세 가지 통계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SOPE-r은 신뢰도와 내용타당도에 있어서 양호한 척도로 인정받을 만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두 가지의 영역특수 척도 SOPE-hd와 SOPE-sd도 양호하였다. 영역성 탐색의 결과는 일률적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소박한 수준의 인식론적 신념에서는 영역복합성이 지지된 반면, 세련된 수준에서는 영역일반성이 지지되었기 때문이다. 말미에는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영역성 탐구의 향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modify the SOPE (Scale of Personal Epistemology), a domain-general scale of 2 6 structure developed by Bak & Chai(2006). The SOPE has 12 sub-scales, and low reliability problem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plor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purpose includes two kinds of task. One task was to develop, at least, two scales of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e other task was to judge whether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re domain-specific, domain-general, or domain- complex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were 389 highschool students in a city of Korea. The items of SOPE were thoroughly modifi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12 sub-scale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modified items were remodified after they were checked by 3 experts. Remodified scale was named SOPE-r. Science and history were chosen as specific domains. Two kinds of domain-specific scale, named SOPE-hd and SOPE-sd, were developed by adopting the 2 6 structure of SOP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the results of three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s of SOPE-r, SOPE-hd, and SOPE-sd had high reliability. Conclusions on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not clear. In the naive-level of epistemological beliefs, domain-complex was most appropriate. While in the sophisticated-level, domain-generality was highly appropriat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towar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박병기 ( Bak Byung 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