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애니메이션 기업의 사례 연구로 본 비즈니스 구조와 마케팅전략의 필요성

        박동렬 ( Park Dong Rhyul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4

        애니메이션이란 그림이나 인형 등의 정지 화상을 연속적인 영상으로 하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영상을 말한다. 한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은 하나의 산업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금후에도 많은 성장에 더불어 여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을 것이다. 그런 가운데 기존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연구는 애니메이션 작품이나 기술, 영상, 미술, 만화 등이 중점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경영론, 콘텐츠 산업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산업의 비즈니스 구조 분석을 위한 이론으로서, 애니메이션 소프트 파워론의 의의와 중요성을 논하면서 브랜드 전략, 표준화 전략, 인재 육성 전략 등의 필요성을 거론하였다. 아울러 이들을 이론적 근거로 한 실무적 문제점 파악을 위하여 일본 애니메이션의 발전구조와 한일 양국의 사례연구를 통한 시사점 돌출을 시도하였다. 상기한 시사점을 토대로, 본 논문의 목적인 경영전략 수립과 마케팅 능력 함양으로 인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소프트 파워론에 입각한 애니메이션 기업들의 경영자원 능력과 마케팅 능력을 높이는 정책적 배려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둘째, 애니메이션 산업 관련 기업들의 인재 확보와 육성을 위한 자구책이 필요하다. 셋째, 관련 기업들은 국가의 정책과 지원에 좌우되지 않고, 자사 고유의 자생력을 키워 경쟁력 확보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An animation is a technical video that makes a static image of a picture or doll look like it is moving by making it appear as if it is moving in a sequence. Animation industries in South Korea and Japan are becoming one of the industries and will continue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ther industries in the years ahea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aper is animation power-theory, brand strategy, standard strategy, and talent development strategy. Under these backgrounds,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develop the animation industry by enhancing marketing capabilities, based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of Japanese anim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ase studies between Korea and Japan. First, we discussed the need for policy consideration to enhance the business resource and marketing capabilities of animation companies based on soft power theory. Second, there is a need for the self-procession strategies for securing and nurturing the talent of animation industry related animation companies. Third, the related companies should not be swayed by the policies and support of the state, but seek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developing their own natural strength.

      • KCI등재후보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요인으로 분석한 한류산업의 형성과 발전 연구

        박동렬(Park, Dong Rhy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 KCI우수등재
      • 중산층과 타 계층과의 소비문화수준 및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이은우(Eun Woo Lee),박동렬(Dong Rhyul Par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1 한국문화산업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6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onsumption level and satisfaction of living between middle class and the other classes in Korea, by using 11th-year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This study, among various ways of defining middle class, defined middle class as households whose income ranges 50~150% of the median level. Firstly, class determination function was estimated through multinomial logit model. Secondly, by analyzing the amount of expenditures of consumption items per household, the paper showed the amount of consumptions on all items increases with classes, but the ratio of each consumption item to total amount of consumption differs among classe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by estimating consumption function of each class. Finally, the paper analyzed differences of satisfaction of living among classes based on 7 satisfaction of living related items in data, and found satisfaction level increases with classes in all items. The satisfaction determination functions of 7 items were estimated via the ordered probit model.

      • 多國籍企業의 輸出에 對한 現地國의 租稅 및 補助金 政策에 關한 一考察

        朴東烈 울산대학교 1982 연구논문집 Vol.13 No.2

        旣存經濟理論의 見地에서 輸出稅 賦課는 富의 國內移轉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本 硏究의 1, 2장에서는 多國籍企業의 輸出商品에 對해 現地國이 課稅(또는 補助金支給)함으로써 經濟厚生의 上昇이 可能하며 몇가지 假定下에 輸出稅는 利潤稅率의 決定에 따라 변하다고 論하고 있다. 3, 4장에는 旣存假定의 緩和에 다른 現象을 간단히 살폈고, 5장에서는 多國籍企業의 輸出商品에 對한 利潤稅와 輸出稅는 물론 輸出補助金을 통한 輸出增進은 現地國의 經濟厚生水準을 上昇시킨다고 結論지었다. During recent years multi-national firms (MNF)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exprots of manufactures from some under-developed countries. These fims, being familiar with consumers tastes in developed countries markets and having the technical knowledge required to produce the goods that those consumers want, often have an advantage in the exports compared to the local firms i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this article is researched about the role of exports taxes/subsidies and examined whether these policies can increase the economic welfare of the host country. The article may be looked upon as an extension of the standard theory of the optimum exports taxes/subsidies. SectionⅡ shows that the optimum rate of exports tax will depend on the rate at which the host country may tax the profits of the MNF. SectionⅢ extends the analysis to incorporated the influence of the firms transfer price. SectionⅣ briefly considers some further extensions of the analysis. SectionⅤ summarises the main findings. The text of the paper relies on a gemetric exposition; an appendix give algebraic proofs of the main propositions.

      • 日本 中小企業의 海外直接投資 構造變化에 關한 分析

        朴東烈 울산대학교 2000 경영학연구논문집 Vol.7 No.2

        本 硏究에서는 日本 政府의 中小企業 支援政策을 時代別로 區分하여 論한 다음 日本 中小企業의 海外直接投資의 特徵과 問題點 등을 分析하였다. 時代別 區分을 통한 分析을 통하여 日本 中小企業의 國際競爭力 形成過程을 把握하였고, 海外直接投資가 일어난 原因과 背景을 論하였다. 日本 中小企業廳의 「企業間關係實態調査」를 비롯한 諸般 資料를 再分析한 뒤, 이를 土臺로 日本 중소기업의 海外直接投資의 問題點과 課題 및 우리의 對應策에 관하여 論하였다. 또한 諸般 事項을 논하는 過程에서 事例調査에서 나타난 現況을 實證的으로 敍述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subsidiary policies for medium and small companies in Japan with respect to time-period, and then analyzes property and problem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Japanese medium and small companies. We find out the global competition progress of Japanese medium and small companies through the time-period analysis and discuss the causes and background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Based on 「Positive Analysis of Inter Enterprises by Japan Medium and Small Companies Board, we discuss problems and future task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Japanese medium and small companies and also present our responses We describe the circumstance of explanatory examples based on the actual data.

      • 金融國際化와 資本市場 開放에 對한 韓國 金融産業의 對應戰略-市中銀行을 中心으로-

        朴東烈 울산대학교 1995 경영학연구논문집 Vol.2 No.1

        韓國經濟는 基本的으로 對外指向的 成長前略을 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經濟의 開放化, 國際化에 隨伴된 資本市場의 開放 및 金融國際化에 따르는 經濟的 效果의 分析이 最近에 急進展되고 있다. 특히 韓國經濟體制가 官主導에서 民間主導로 變化됨에 따라 市中銀行의 金融國際化에 따르는 問題點 導出과 效率的인 政策樹立은 先進金融 具現의 第1課題일 것이다. 본 硏究에서는 非通貨金融機關을 除外한 預金銀行을 中心으로, 資本市場 開放과 金融國際化 趨勢의 現況 및 그 問題點을 分析하고, 바람직한 金融國際化 推進方向을 摸索하였다. It is basically inevitable for the Korean economy to adopt foreign-oriented growth strategy because of the scarcity of natural resources. Therefore, there exists an increasing ne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liberalization of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dustry according to the liber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economy. Especially, as the Korean government gradually turned over her power to initiate the economy to the private sector, the most important task of the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industry is to derive the problems of the liberalization of the commercial banking industry and to prepare an appropriate policy to solve them.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end of the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financing in the commercial banking industry except non-monetary financial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paper derives important problems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s desirable directions to pursue internationalization of financ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