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속 공감 관련 내용 분석

        박가나(Park, Ga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Recently, empath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bility that citizens should have as well as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understand others. Empat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eliminating inequality, and realizing social justice. From this point of view, empathy needs to be presented as an important goal and cont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much empathy occupies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mpathy-related content that appears in the curriculum documents through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mention of empath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Most empathy references were stated at a comprehensive and superficial level. In the future,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empathy needs to be presented with greater importance. And it needs to be presented specifically. 최근 들어 공감은 개인으로서 자신과 다른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을 넘어서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가져야하는 능력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차이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갈등과 반목을 넘어 불평등을 해소하여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데 공감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공감은 사회과 교육에서도 중요한 목표이자 내용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는데, 실제로는 공감이 사회과 교육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개정된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8-162호)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문서에 등장하는 공감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문서 전체가 분석 대상이 되었으며, 총 3회에 걸쳐 문서 전체를 대상으로 ‘공감’ 단어를 검색하여 공감이 발견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중·고 교육과정 모두에서 공감에 대한 언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과 내용영역 간 차이도 큰 편이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용과 연계하여 제시되기보다 포괄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에서 언급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앞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공감 관련 내용이 보다 비중 있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사회과 주제선택 활동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박주희(JuHee Park),박가나(GaNa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2023년 ◇◇중학교 1학년 1학기 자유학기제 수업 중 ‘지역사회인권모니터링’ 주제선택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과 이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의 수업 경험을 확인하고 이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현장인 ◇◇중학교 주제선택활동 ‘지역사회인권모니터링’ 수업 중 4~5차시 수업을 참관하여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모습을 관찰하였고, 수업 참관 후. 교사 1명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반복 확인 과정을 통해서 교사와 학생 각각이 수업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교사는 주제선택활동을 자신의 가치관을 보다 자유롭게 드러내며 수업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동체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었다. 이러한 수업은 주제선택활동이 학생과 교사 모두 평가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구조였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주제선택활동은 자신의 생각을 키우고 나누고 확장시킬 수 있는 시간이었다. 별다른 관심없이 시작한 수업이었지만 다양한 활동 가운데 자신의 가치관을 확인하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더불어 교사의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성장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과 주제선택활동에서 실제로 교사와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앞으로의 주제선택활동이 본래의 취지와 같이 교사와 학생 모두 보다 자유로운 가운데 다양한 활동과 시도를 해보고 교과에 대한 심화된 학습이나 진로에 대한 탐색 과정으로서의 의미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take the theme selection activity of “Community Human Rights Monitoring”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semester of ◇◇ Middle School in 2023, and teachers who run the clas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twice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ree times after class with one teacher and six student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social studies subject selection classes. Before attending the class, in an interview with a teacher,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class in general through data such as the activity log of the subject selection class and the recorded version of the class in 2021.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eachers felt that topic selection activities were classes that reminded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ompetency, an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were creating together without the burden of evaluation. It is also said that it is a class that can enhance both teachers and students' civic behavioral capabilities, which are their identity as citizens. Students felt that their communication skills grew through classes that created their values, classes that made them interested in society, and teacher feedback.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what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operated in future classes by grasping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s in social studies subject selection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Teachers continue to interact during class to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uman rights that they usually considered important as social studies teachers and to be interested in society.

      • KCI등재

        수업 경험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성장의 의미

        길현주(Gil, HyunJu),박가나(Park, GaNa),이효인(Lee, HyoIn),이해영(Lee, H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해 수업에서 교사 성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샛별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김교사를 선정하여 총 8차례의 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외에도 수업과 면담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교사의 개인사적 측면과 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 등에 대해서는 교사생애사 일기로 확인하였다. 샛별중학교의 김교사는 힘든 수업을 경험하면서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는 수평적인 관계, 민주적인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수업과 교사의 일상을 분리하지 않고 학생들을 만나고 있었다. 또한 수업의 목표와 오늘 배워야 하는 차시 내용은 계 획하지만 그 배움에 다다르는 과정은 교사와 학생이 수업에서 함께 만들어가고 있었다. 수업을 철저하게 계획하기보다는 느슨하게 설계하고 있었고, 이러한 여백은 오롯이 학생의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김교사는 수업의 고민을 학교 내 동료 교사들과 함께 해결해가고 있었다.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이 왜 어려운지 이야기를 공유하면서혼자만의 수업 고민은 고민으로 끝내지 않고 동료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요컨대, 김교사의 성장은 자기 고민을 통해, 동료교사들과 함께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This paper aimed to survey the meaning of teacher’s development in classroom. One teacher who majored in sc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11 to May 29 in 2014. We investigated her class 8times and interviewed with her about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he did not separate her class from life and treated students fairly because Kim teacher thought that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should be democratic. Kim teacher planed the lesson goal and contents of teaching in her class but she made the lesson plan loosely, not throughly so there were the empty spaces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for themselves in class. Meanwhile, Kim teacher solved her worries of her class, sharing the worries with fellow teachers in learning community. She talked with the troubles and difficulties with them in class and try to solve them actively.

      • KCI등재

        학생의 성장에 있어 모둠활동이 가지는 의미

        길현주(Gil Hyunju),이해영(Lee Haeyoung),이효인(Lee Hyoin),박가나(Park Ga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모둠학습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이 학생의 성장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4월 11일부터 5월 29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네 학교에서 각각 한 학급씩, 총 4학급에 대한 수업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수업 참여 관찰을 하면서 작성한 연구 노트(필드 노트)를 중심으로 수업 참여 관찰 후, 매회 연구진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총 26차시의 수업 참여 관찰, 17회의 교사 면담, 10회의 학생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수업 관찰 기록과 학생 면담, 수업 일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관찰 결과, 학생들은 모둠활동을 통해 ‘이미’ 이해한 것과 ‘아직’ 이해하지 못한 것을 드러냄으로써, 각자 자신의 배움을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가고 있었다. 또한 모둠을 통해 ‘나의 이야기’와 ‘너의 이야기’가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서로의 같음과 다름이 드러났고, 서로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한편, 모둠 활동 중 다양한 오개념들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학생들은 모둠을 통해 비록 오개념일지라도 가감 없이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수정하고 재확인하면서 배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둠은 공부에 대한 의지가 약한 학생들이나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는 학생들에게 공부 친구를 만들어주고 있었다. 네 학급 모둠활동의 의미를 성장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학생의 성장은 관계에서 출발하여 배움의 주인으로 이어져 결국 존재를 풍요롭게 하는 성장으로 그 의미를 가졌다. 친구와 직접 대면하면서 친구의 생각을 이해하고 나의 생각을 알려주며 표현하고 서로 공 유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성장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모둠 속에서 여러 학생들과 자신의 생각, 의견, 지식을 드러내면서 배움을 온전히 자신에게로 가져오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학 생들은 같이 학습하지만 배움의 결과는 오롯이 스스로의 것이 되는 경험을 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xperiences students have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what implications those experiences have with regards to their growth. For this, I conducted class participating observations on four classes in four different school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1 and May 29, 2014. Researchers took notes in their research note while participating in classes and held a conference upon completion of class participation based on what they observed and took notes. We have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fter 26 class participating observations, 17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10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lass observation records, students interviews and class diaries etc. Observation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expressed what they understood and failed to do so through group Learning activities, making individual students further solidify their learning. In addition, i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naturally revealed their identicalness and difference and to understand one another. Meanwhile, a variety of misconceptions have been discovered while engaging in group activities, and students were experiencing learning while revising and reaffirming what they have learned by plainly expressing their own voices through group activities even if some present misconceptions. Last but not least, it helped students who do not know how to study or with less will power for studying find their study buddies. When it comes to the implications of group activities among students in four classes, the growth of students starts from relationships, leads to the owner of learning, and eventually enriches their existence.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a true meaning of growth that builds a new relationship as they engages in directly facing their friends, understanding their friend’s thought, expressing their own ideas and sharing throughout the process. In addition, students were enjoying experience of embedding their learning in themselves as they reveal their thoughts, opinions and knowledge within the group activities. All students engage in learning together but they were able to grow while experiencing that the result of learning is solely under their own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