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민수희,정윤희,주우영,장효진,Min, Su Hui,Jeung, Yoon Hee,Joo, Woo Yeong,Jang, Hyo J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MLIR official guidelines and the 100 MLIR reports submit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rom 2011 to 2013.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take into account stakeholder opinions and to determine the first priorities to be improved upon in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MLIR system. The results of the IPA in evaluating the MLIR system showed that the components in the MLIR system that should be primarily improved are mountainous landscape resource inventory, objective and quantitative selection of viewpoints, and a checklist for examining the damage expected in mountainous lands. To Revitalize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 system,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stakeholders should be enhanced by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MLIR system over the short-term, whil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MLIR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of the MLIR system with similar institutions, and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and properties of mountainous landscapes over the long-term.

      • KCI등재

        경남 산청군 남사예담촌 원형경관 보전기본계획

        강영은 ( Young Eun Kang ),민수희 ( Su Hui Min ),홍성희 ( Sung Hee Hong ),김상법 ( Snag Bum Kim ),임승빈 ( Seung Bin 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4

        This study is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 restoration of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analyzing the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Namsa-Yedamchon proudly presents ancient traditions and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several development plan and projects associated with historic resources of this site are in progress.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to make master plan of Namsa-Yedamchon for preserving various prototype landscape. To achieve this, literature search, field survey, local residents` interview and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ere carried out.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past data was collected like past picture, antique books, articles and so on.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in this site. In addition, the progress of landscape change in this site was analyzed through local residents` interview. The estimation of value on each prototype landscap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important prototype landscape among them.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conservation zone, restoration·maintenance zone and renovation·utilization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preservation scope, surroundings and so on.

      • KCI등재

        전통마을 원형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 경기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선비마을을 중심으로 -

        강영은 ( Kang Young Eun ),이보람 ( Lee Bo Ram ),민수희 ( Min Su Hee ),조우현 ( Cho Woo Hyun ),김상범 ( Kim Sang Bum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 위치한 선비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마을의 특성을 파악하고, 마을 내 원형경관을 조사·분석하여 관리가 양호하지 못한 원형경관을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선비마을은 해주 오씨가 모여 살던 집성촌으로서 관련 문화, 역사 자원을 비롯하여 자연 생태 자원 및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마을주민들은 유교에 대한 가르침과 옛 문화를 보전·유지하고 외부인들에게 홍보함으로써 예부터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풍습을 이어나가는 시도를 하며,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수행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선비마을 내 산재하고 있는 다양한 원형경관을 조사·발굴하고, 이의 변천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구역별 기본 계획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타당성 있는 기본 계획안 도출을 위해 문헌 조사, 현장조사, 주민인터뷰, 원형경관별 가치평가가 수행되었다. 문헌 조사에서는 원형경관 활용과 전통마을 보전 방법론과 관련된 기존 연구 분석과 함께 기존의 지형도를 토대로 선비마을의 과거 경관과 이의 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는 조사대상지 구역별 원형경관 보전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주민인터뷰를 병행함으로써 마을 경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과거 경관의 변화 흐름에 대하여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의 과정을 바탕으로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선비마을 보전 기본 구상 및 기본 계획안이 도출되었으며, 구역 내 원형경관 요소, 주변 환경 및 여건 등에 따라 보전, 복원, 활용의 3가지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구역별로 융통성 있는 보전 및 활용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마을의 지속적인 보전 및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본 연구에서 적용된 보전 방향 및 기법은 타지역의 전통마을 보전 기본 계획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make the preservation plan for sustainable preservation·restoration of Sunbimaeul, Deokbong-ri, Anseong-si, Gyeonggi-do through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prototype landscape of that site. Sunbimaeul is the village where the family of haejuoh have lived. There are various historic resources and traditions including ecologic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ere are many projects and enterprises to adorn a village for introduc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eachings of the Confucia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drew a master plan to make the best use of various prototype landscape which was dotted around village and manage it consistently. And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search and the field survey, expert evaluating and the interview of local resents were used to deduct a valid master plan. In literature search, it was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and collected past picture, antique book, articles and so on to estimate prototype landscape of that site. In field survey, i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prototype landscape on preservation. In addition, we could get more informations about village's landscape and landscape change progress through interviewing with local residents. The estimation of prototype's value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ppropriate preservation directions and preservation scope through selecting more valuable prototype landscape. Through these steps, the master plan of Sunbimaeul was deducted and it was divided into 3 type; preservation zone, restoration zone and utilization zone according to landscape components, scope, surroundings and so on. Consequentially there are growing concerns for preservation of traditional rural landscape in Korea and the approach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traditional villages.

      • KCI등재

        농촌 원형경관의 문화재적 가치 속성 및 중요도 연구

        임승빈 ( Seung Bin Im ),김상범 ( Sang Bum Kim ),홍성희 ( Sung Hee Hong ),최동욱 ( Dong Wook Choi ),강영은 ( Young Eun Kang ),민수희 ( Su Hui Mi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0 농촌계획 Vol.16 No.4

        This study is to make value estimating system to valuate prototype landscape of rural and to derive itemized importance to select priority preservable o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examined value estimating standard by analyzing prototype landscape related previous study, law and order. Also, It is derived conclusive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by doing attribute assessment of preserving objects while surveying the site and interviewing professionals. Value estimating system is classified into five items of physical value which are integration, harmony, diversity, symbolism and aesthetics. The historical·cultural valu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are religious value, originality, historicity and scarcity. The communal valu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sociality, continuing and regional locality and also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rarity, primitiveness and diversity as the ecological value. Relative priority of prototype landscape value estimating system result is derived as historical·cultural value as the superior position and physical value, communal value and ecological value as the priority order. In the subordinate, historical categories are derived to be the most valuable and originality, symbolism, integration, regional locality, continuing, harmony, aesthetics, religious value, primitiveness, diversity of physical values and diversity of ecological value in order of the priority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he meaning of practical use in prior selection and preservation plan of preserving prototype landscape as practical alternative plan for systematical preservation of damaging prototype landscape.

      • KCI등재

        한국 농촌 원형경관 보전 현황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강영은 ( Kang Young Eun ),최동욱 ( Choi Dong Wook ),홍성희 ( Hong Sung Hee ),민수희 ( Min Su Hee ),김상범 ( Kim Sang Beom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0 한국경관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훼손되어 가고 있는 농촌 원형경관 보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의 보전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보존 가치가 있는 경관 자원(문화재 및 특징경관)이 많이 산재되어 있는 자연발생마을, 집성촌 등의 전국 농촌마을 40개 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 내용을 기초로 농촌 원형경관 보전 현황 및 문제점을 마을 유형별, 경관 요소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을 유형별 문제점을 살펴보았을 때, 근교형 마을에서는 점차 현대화되어감에 따른 원형 요소 소실과 현대경관과 전통경관의 혼재가 문제시 되고 있고, 원교형 마을은 지원 부족과 개발 혜택이 적어 발생하는 이농 현상이 발생되어 보전 및 복원 자체에 심각한 어려움이 있었다. 보전형 마을은 실생활과 보전과의 마찰과 보전 방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농촌관광형 마을은 관광객 유입에 따른 사생활 침해, 경관 훼손 등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경관 유형별 문제점을 살펴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전체 경관에 대한 보전이 거의 고려되지 않으며, 주거경관에서는 지속적인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방치되거나 현대식으로의 이전 및 변경 문제, 생산경관은 생산작물 변화와 노동력 부족에 따른 휴경답 증가, 녹지경관은 주변경관의 현대화와 관리 소홀, 수변경관은 원형 복원과 관리상의 어려움에 따른 훼손, 가로경관은 원형 복원 시 발생하는 수법과 내용의 문제, 상징 및 신앙경관은 지속적 관리상 어려움에 따른 원형 훼손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최종적으로 원형경관 보전의 문제점에 따른 대안 도출을 위하여 지역 주민 인터뷰 및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원형경관 보전을 위한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경제적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농촌 원형경관 보전 및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진단과 이의 개선 방향 도출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of preserving rural prototype landscape for giving solution of gradually damaged rural prototype landscape. For analyzation, preservable landscape resource like historical property and distinguishing landscape have been scattered at forty sites which have formed as autogenesis village, conglomerated village and etc.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issues by studying documentation and site survey. The result has derived present status and issues of common pattern and physical element at each village. The issue concern with village pattern are vanishing prototype element and mixed landscape of modernization with tradition at modernization of suburban type village, abandoning farm and difficulties with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generated by insufficiency of support and short of development benefit at remote type village and finally, preservation type villages have some issues with confliction between real life, preservation method. Rural tour type village is concerned with trespassing and damaging landscape by inflow of tourists. Prototype landscape damages were derived as not considering whole rural landscape in physical element issues, leaving residence landscape unsettled because of constant management difficulties, difficulties with alteration of productive crops and insufficiency of labor in productive landscape, modernization and management carelessness of environ in green landscape, prototype restoration and management difficulties in waterside landscape, prototype and convenience conflict also generated problem while restoring prototype in street landscape, and constant management difficulties in symbol and religious landscape. Conclusively, interviewing local resident and surveying professions to present methods for preserving prototype landscape by phys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economical reformation for preserving prototype landscape. Accordingly, the study will be practically used as base data for diagnosing issues and presenting improvement of rural prototype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