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중세 일본 비구니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고찰

        민명숙(벽공)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9 No.-

        본 논문은 일본 고대와 중세 비구니의 위상과 역할을 국가와 비구 교단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 본 것이다. 일본불교 교단은 전래 당시 최초의 출가자가 여성이었으며, 비구는 비구니에 의해서 처음으로 탄생되었다. 왕실과 친밀했던 초기불교는 교단의 규율과 활동이 승니에 의해 자율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나라 시대에는 국가에서 ‘승니령’이라는 조칙을 내려 불교 교단을 통제하였다. 물론 득도에 대한 형식도 모두 국가에서 관활하였지만 이 조치는 비구 비구니에게 비교적 평등하게 적용되었다. 나라 말기에 칸무천황은 불교 내부의 문제 등을 이유로 헤이안으로 천도를 하였다. 이 시대의 비구니는 국가와 비구교단으로부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니승은 국가법회 등의 공식적인 행사에서 제외되기 시작하였으며, 여성에게는 점차 관니로 득도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았다. 또한 국가는 중국에서 유입된 유교의 윤리적 사상을 받아들였으며, 여성과 더불어 비구니는 더 많은 불평등을 겪게 되었다. 그나마 황실에서 출가한 순화원의 양조 비구니의 역할이 당시 니승들의 힘이 되어 주었다. 불교 내부적으로는 교세가 커진 천태, 일련종이 국가로부터 ‘연분도제’에 대한 득도 권한을 특권 받는다. 이들은 니승에 대해 많은 제재를 가했으며, 여성은 교단내에서도 공식적으로 득도하기가 어려워졌다. 또한 ‘여인금제’라는 규칙을 만들어 비구니의 입산 수행을 금하였다. 여성의 출가는 차츰 줄었으며, 더구나 어려서의 출가는 오히려 금기시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반면 남편의 임종이나 노년, 병이 든 기혼 여성의 출가가 증가하였다. 이들의 득도는 니계단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공식보다는 사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삭발의 형태도 관니와는 다른 형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중세의 가마쿠라 시대에도 기혼 여성의 출가는 증가하는데, 전 대와는 달리 전란에 의해 남편을 잃은 일반 여성과 귀족출신의 여성들이었다. 이들의 출가목적은 남편의 왕생을 기도하는 것이었으며, 귀족 여성들은 가문의 영령들을 위하여 보리사를 창건하여 왕생을 발원하기도 하였다. 이 시대에 창건된 비구니 사찰은 그 역할이 이와 같았으므로 1代가 지난 후에는 폐사가 되거나 비구 사찰로 변하였다. 중세 후기에 이르면 비구니의 위상이 향상되는데, 각 종파에 따라 활발하게 활동하는 비구니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율종의 비구니는 비구와 함께 개인이 아닌 국가의 안녕을 위해 기도하였으며, 그를 위한 사찰이 성립되었다. 또한 권선을 하여 사찰을 건립하기도 하였다. 조동종의 도원선사 문하에는 발심에 의해 출가한 비구니가 비구니 법맥을 이었다. 임제종의 비구니는 선수행을 하여 선지식으로 존경받기도 하였다. 또한 임제종의 위상이 격상되면서 비구니에게도 그 혜택이 주어진다. 국가에서 비구니 五山制度를 설치하여 비구니들이 자율적인 활동과 역할을 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tige and role of buddhist nuns in ancient period and the Middle Ages of Jap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community of monks.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consisted of women as the first mendicants at that time of introducing Buddhism. Buddhist monks in Japan appeared through the help of buddhist nuns. In the early buddhism familiar with the royal family, the displine and activity of buddhist communities was done by monks and nuns themselves. However, in the Nara period the Buddhist community was controlled by the imperial government through the law the rule for monks and nuns. On the other hand, also the formation of ordination to be mendicant was completely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But this treatment was applied to monks and nuns comparatively equally.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the capital was moved to Heian, present day Kyōtō by the emperor Kanmu because of buddhist internal problems etc. Buddhist nuns at that time had very various difficultie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of monks. Nuns have started to be excluded in the formal ceremony like as the national Dharma-talk and the right to be ordained as national nuns selected by the government has not been given to women step by step. Also the government received the ethical ideas of Confucianism from China and nuns as well as women had a difficulty more than before. Yangzo, the nun of Sunhawon went forth from royal family played a great role and gave energy to nuns at that t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ner part of Buddhism, from the government two schools called the Tendai and Nichiren acquired the right for the limitation on th number of person to be ordained annually. They restrained the number of nuns, Therefore woman could not be ordained in buddhist communities officially. In addition, the law Prohibition of woman was enacted and nuns were prohibited to practice buddha's teaching in a mountain. The going forth of woman has been decreased, moreover the going forth of children was abolished. However the going forth of married women whose husband was died and who was old aged and ill. They were ordained not officially but individually because of no holding of nuns' ordination ceremony. So the form of the shaving their head is different from that of national nuns. Also in the Kamakura period(AD 1185-1333), The going forth of married woman has been increased and they were normal women and noble women whose husbands had been killed in a war. The purpose of their going forth was to pray for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after having found the temple Borisa, noble women wished for the rebirth of the family ancestorin the Pure Land. But this temple was destroyed or changed into monk's temple after passing one generation. In the later Middle Ages increased the nun's authority and it could be seen that nuns were lively active according to schools. Nuns in the school of Vinaya sect prayed not for individual happiness but for national bliss. As a result, the temple for this was founded or the temple was founded through collecting money from believers. Under the monk Dogen in the Sōtō School there was a nun who went forth by arising his mind to be a buddha and she succeeded to nun's Dharma generation. Nuns in the Rinzai school practiced Zen meditation and were honoured as a Zen master by people. And the authority of the Rinzai school was grown up and nuns could have profit in a community.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ystem of nun's five mountain and in there nuns could control themselves and play a role by themselves. Japanese nun, nun's monastery, the community of nuns, the law the rule for monks and nuns, the limitation on th number of person to be ordained annually.

      • KCI등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불교사적 의의

        민명숙(벽공) ( Min Myung - Soo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1 No.-

        본 논문은 세종이 저작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성립과 그 내용의 특징 등을 불교적 입장에서 살펴본 글이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가 승하한 후 그의 아들인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기반삼아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요약·압축해 찬술된 것으로, 상·중·하 3권이 있다. 『월인천강지곡』은 석존의 일대기를 다룬 장편의 찬가로서, 형식은 저본인 『석보상절』의 구조를 따라서 팔상의 구조를 기본바탕으로 편찬되었다. 전체적인 구조는 서사 ②전생 ③탄생 ④궁중생활 ⑤출가 ⑥수도 ⑦성불 ⑧전법교화 ⑨열반 ⑩아육왕의 불교홍포 ⑪결사의 순서로 전개되었다. 상권의 내용은 첫째는 석존, 즉 불교의 위대함, 둘째는 교화를 통한 갈등 해소, 셋째는 불사의 필요성과 타당성 강조, 넷째는 인륜도덕적인 삶을 지향, 다섯째는 진정한 효의 의미에 대한 강조, 여섯째는 출가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해석 등이다. 『월인천강지곡』에서 석존은 지극히 윤리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의 덕행 중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효행이다. 석존의 성불은 그대로 대효도에 해당되며, 보시, 인욕, 사욕(捨慾)은 중생들에게 모범이 되는 윤리적인 삶의 모습인 것이다. 그리고 아들 라운의 출가를 통하여 출가수행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불교를 믿지 않았던 많은 부류에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들을 이해시키고 불교에 귀의하게 한다. 세종은 이와 같은 석존의 모습을 정치 이념으로 삼았으며, 『월인천강지곡』을 통하여 승려들에게는 수행자의 모습을, 백성들에게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치고자 했다. 세종은 『월인천강지곡』의 서사와 결사에서 노래하는 것처럼 석존의 가르침은 유교와 불교가 갈등이나 대립의 상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친불교적인 세종의 입장을 나타내준다. 이 같은 검토에 의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종의 『월인천강지곡』 저작과 간행 그리고 세조로 이어지는 유통의 과정이 지닌 불교사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월인천강지곡』 자체가 『용비어천가』와 짝하는 군왕의 통치에 있어서 정당성, 곧 왕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작업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숭유억불의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불교적 분위기를 부정하기에 쉽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월인천강지곡』은 직접적으로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을 반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상 실제로는 유학자들의 불교 비판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첫째와 둘째의 결론을 고려할 때, 『월인천강지곡』은 단순히 석존 전기의 훈민정음에 의한 간행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세종이 지향한 유불 관계의 새로운 정립 시도라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동시에 그것이 성리학 관료계층이 아닌 백성을 직접적 대상으로 삼는다는 관점에 입각한다면, 유불에 통하면서 동시에 불교적 군주로서의 세종 자신을 부각시킴으로써 신권의 제약과 왕권의 강화를 의도했던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lincheongangjigok an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olincheongangjigok is comprised of a set of three volumes and is an abridged version of Seokbosangjeol written by the Prince Suyang after the death of the queen Soheon, the wife of King Sejong. Wolincheongangjigok is a long piece of epic dealing with the Buddha`s life, the form of which basically is eight events(八相) following that of Seokbosangjeol. The development of this book are ①preface, ②previous life, ③birth, ④life at the palace, ⑤renunciation, ⑥practice, ⑦enlightenment, ⑧transmission and edification, ⑨nirvana, ⑩spreading Buddhism by Ashoka, and ⑪conclud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volume are - first Buddha, namely the greatness of Buddhism, second the disentanglement through the edification, third the emphasis of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things for Buddhism, fourth the morality-oriented life, fifth the true filial piety, sixth the interpretation of true renunciation meaning and so forth. Buddha in Wolincheongangjigok appears to be an extremely moral being. The filial piety is the most emphasized one of his virtues in it. Buddha`s enlightenment itself is the very great filial piety. And His life of charity, endurance and relinquishment of all desires can be a role model for human beings. It shows also us the true meaning of renunci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story of Rahula, Buddha`s son. He made many sorts of people who didn`t believe in Buddhism understand and convert to Buddhism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hus King Sejong regarded Buddha as a political ideology and wanted to present the monks the true priesthood and taught his subjects to live a moral life through Wolincheongangjigok. As it appeared in the preface and conclusion of Wolincheongangjigok, the teachings of Buddha showed us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not confronted or opposed to each other. It indicates his pro - buddhist stance. The Buddhistic meaning of Wolincheongangjigok, showing in the process of its compilation by King Sejong and its distribution by King Se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ilation of Wolincheongangjigok like Yongbieocheonga was a part of claiming the governing legitimacy,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It seems that it was not easy for them to deny the Buddhism which had lasted from Korea Dynasty in spite of the political basis of oppressing Buddhism for confucianism. Second, Wolincheongangjigok show that it retains the character of responding the criticism of confucians, even if it did not directly act against it. Considering the first and second assertions, Wolincheongangjigok is not simply a book of Buddha`s life story written in Hunminjeongeum. But it show that King Sejong tried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from an angle of Wolincheongangjigok aiming at the subjects not the government officials as the readers, the purpose of compiling Wolincheongangjigok was intensifying the royal authority and undermining the rights of the courtiers through stressing Sejong as pro - buddhist 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