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중 제대길이와 만기임신시 제대합병증

        민기홍(KH Min),김영탁(YT Kim),이국(K Lee),조동제(DJ Cho),송찬호(CH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3

        1. 12예의 임신 22-32주와 462예의 임신 33-44주의 제대길이는 각각 36.6+-7.1cm 53.6+-11.1cm로 두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잇었고 (p<0.05), 임신 33주후에는 임신주수에 따 른 제대길이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만기임신시 평균제대길이는 52.1+-10.0cm이었고 정상범위는 39-74cm이었다. 3. 만기임신시 제대길이는 태반이 무거울수록 의미잇게 길었고 임신중독증시 합병증이 ㅇ벗 는 경우 보다 의미잇게 짧았고 산모의 ABO혈액형, 태아의 성별 및 체중, 태위는 제대길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만기임신시 경부제대의 빈도는 짧은 제대군, 정상군, 긴제대군에서 각각 5.4%, 23.4%, 54.3%로 제대길이가 길면 길수록 경부제대의 빈도는 의미있게 높앗고 총 발생빈도는 23.2% 로 1회시 20.2%, 2회시 2.6%, 3회시 0.4%였다. 5. 만기임신시 경부제대가 잇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의미있게 태변의 빈도가 높았다. 6. 만기임신시 태변, 태아곤란, 5이하의 Apgar 점수는 제대길이군 간에 관련이 없었다. 7. 만기임신중 사산1예, 신생아사망 3예가 있었는데 제대합병증과는 관계가 없었다. 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ord lengths between 22-32nd week of gestation and 33-44th week of gestation but was no difference in cord lengths according the gestational weeks after 33weeks of gestation 2. The mean cord length was 52.1+-10.0cm with the range between 30 and 95 cm at term 3. None of the following factore (maternal ABO blood group , fetal sex and weight presentation) seemed to affect the lengths of the cord except for the placental weight and preeclampsia at term 4. A long umbilical cord was more frequency associated with nuchal cord than a normal and short cord at term (p<0.001) the overall incindence of nuchal cord was 23.2%, one nuchal cord to be 20.2% two nuchal cords to be 2.6% and three nuchal cords to be 0.4%. 5.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nuchal cords and meconium (p<0.01). 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econium, fetal distress and low Apgar score and umbilical cord lengths. 7. There were one case of stillbirth and three cases of neonatal deaths but no correlation between perinatal death and umbilical cord lengths was found.

      • KCI등재

        불임환자에 있어서 chlamydia trachomatis 감염의 의의

        유명숙(MS Yoo),민기홍(KH Min),조동제(DJ Cho),송찬호(CH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9

        1985년 12월1일부터 1987년 6월30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영동 세브란스병원에 내 원한 불임환자 133명을 대상으로 ELISA법을 이용한 chlamydia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133예의 불임환자중 chlamydia trachomatis 양성인 경우는 14예로 이환율은 10.5%(14/133) 였다. 2. chlamydia trachomatis 감염군의 평균연령은 28.6세 비감염군은 29.6세엿다. 3. 결혼 및 불임기간은 감염군은 결혼기간 34개월, 불임기간 32개월이엇고, 비감염군은 결혼 기간 69.4개월, 불임기간 60.8개월로 감염군에서 그 기간이 의의잇게 짧앗다. 4. 기왕임신력은 감염과 관계가 없었다. 5. 과거 피임방법사용력은 감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앗다. 6. 난관조영술 및 복강경 소견상 난관병태는 감염군에서 92.7% 비감염군에서 51.1%로 양군 가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엿다. 7. 감염군의 난관병태중 난관수종이 42.8%로 가장많앗다. chlamydia trachomatis was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etiologic organisms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in women resulting pelvic peritioneal and tubal pathology or female infert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ncindence of chlamydia trachomatis in infertile wome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lamydia infected infertile patients . 1. The incindence of chlamydial infection in infertile women, tested by ELISA method, was 10.52%(14/133) 2. The duration of marital life and infertility in positive chlamydid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negateive test group (P<0.005)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bstetric history and previous contraceptive method were noted between two group . 4. Pathologic findings were more frequency seen in positive chlamydia test group (P<0.01), and the most frequent tubal pathologic finding was hydrosal-inx(4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