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 가지 교수-학습 전략에 의한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 분석

        문희수(Heesu Mun),곽은창(Eunchang Kwak),한욱진(Wookjin Han),배민우(Minwoo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제시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나타나는 예비 체육교사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과 인식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는데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00대학교 2019-2학기 ‘체육지도이론과 실제’ 수업을 수강한 24명의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전략에 따라 ‘과제제시 부분지도형(A)’ 집단, ‘과제제시 전체지도형(B)’ 집단, ‘과제제시 학생주도형(C)’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과제제시 전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총 5번의 수업시연과 3번의 지도 및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영상, 수업계획서와 자기보고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집단 간의 과제제시 전개 능력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eparate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자기보고서와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A, B집단의 교사주도형 전략보다 C집단의 학생주도형 전략에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교사주도형 전략인 A, B집단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법’과 ‘동료들과 의견을 공유할 수 없었던 점’에서 아쉬움을 나타낸 반면, 학생주도형 전략인 C집단의 예비교사들은 ‘처음에는 다소 느리거나 과정이 매끄럽지는 않았지만 학생이 주체가 되어 토론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제시에 관한 교수행동을 학습할 때는 수업시연을 이용하여 학생중심적으로 탐색-실천-반성 과정을 거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re-service PE teache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n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ho took the ‘PE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class at K university in Y cit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eaching-learning conditions: (A) partia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B) overall teacher-centered task presentation; (C) student-centered task present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the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behaviors were videotaped and evaluated with QMTPS(Qualitative Measures of Teaching Performance Scale), and the learning guidance,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eparat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to compare the level of task presentation of the groups. The opinions of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through self-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group C was the most effective group than group A and B. Preservice teachers in groups C showed that despite slow start and awkward learning process at the beginning process students ha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Preservice teachers in group A and B indicated that lack of students’ interaction and sharing opinions was disappointing an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was not effective than they expected.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task presentation skill level can be enhanced the most through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strategy.

      • KCI등재

        교수단서의 양적 조건이 중학생의 하이클리어 기능수행과 정보기억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

        문희수(HeeSu Mun),곽은창(EunChang Kwa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별 교수단서의 양적 조건이 중학생의 운동수행과 정보기억량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H도시 B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에서 기본운동능력 검사를 통해 운동기능수행에 이상이 없는 100명의 학생(남: 41명, 여: 5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교수단서를 3개 제공한 (A)집단,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과 통제집단(D)으로 구성하였다. 각 집단별 학생들은 자신에게 배정된 과제제시를 제공받은 직후 배드민턴 하이클리어 동작을 10회 수행하고 정보기억량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간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Separate Kruskal Wallis 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씩 Mann Whitney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배드민턴의 하이클리어 학습에서 학생의 기능향상은 교수단서의 양과 상관없이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이 단서를 제공받지 못한 집단보다 효과적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수단서의 개수에 따라 학생들의 동작수행과 정보기억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작수행에 있어서는 교수단서를 5개 제공한 B집단이 가장 좋았으나, 정보기억량은 교수단서를 7개 제공한 C집단이 가장 좋았고, B집단이 다음으로 높은 정보기억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가장 효과적인 집단은 동작수행이 가장 높고, 정보기억량도 C집단과 근소한 차이인 B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절한 교수단서의 양을 5개로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동작수행능력과 정보기억량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추후 대상자 연령, 기능수준, 과제성격에 따른 차이는 여전히 명확히 밝혀진 바 없어 후속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numbers of cues on motor skill performance and cognitive information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one hundred(41 males and 59 females) third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ased on skill test at B middle school in H cit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 (a)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3 cues; (b)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5 cues; (c)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7 cues; (d) Control - no task presentation. Variables analyzed were the high clear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students remembered. After watching the assigned video tape, each subjects performed badminton high clear 10 times, and was interviewed afterwards. All performances were recorded by 2 video cameras installed at front and sid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video camera and a microphone to measure the amount of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skill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eparate Kruskal Wallis Tes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and the information memory ability of the group. In addition,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Mann Whitney Test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viding any types of cues was better than providing no information at all for students’ skill learning. The group B was the highest on skill performance, and the group C was the best and the group B showed the next highest on information memory inform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same verbal explanation with demonstrations and 5 cue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providing appropriate number of cues is an critical for students’ motor performance and information memory ability.

      • KCI등재

        중·고 체육수업의 ‘배움’과 ‘도움’에 대한 경험적 분석

        곽은창(Eunchang Kwak),배민우(Minwoo Bae),문희수(Heesu Mu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한 ‘배움’과 ‘도움’의 요소들을 사실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257명(남학생: 633명, 여학생: 624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Flanagan(1954)에 의해 고안된 주요사건기록(Critical Incident Report)을 본 연구에 맞게 ‘배움’과 ‘도움’에 대한 개방형 문항 각 1개씩과 성별을 물어보는 폐쇄형 문항(1개)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문항에 따라 성별로 나누어 공통되거나 비슷한 내용들을 서로 합쳐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후 대표할 수 있는 주제를 찾아 중영역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별로 분류하기 전 표본의 10%를 활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89%로 나타났다. 자료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으로는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순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체육수업에서 배운 것이 없다고 한 학생들도 11.71%(f=18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체육수업을 통한 도움에 대한 응답은 총 1,978개로 나타났으며, ‘심동적 측면에 도움’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기타’, ‘정의적 측면에 도움’, ‘인지적 측면에 도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한 응답(f=210, 10.62%)이 ‘인지적 측면에 도움’(f=195, 9.86%)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내용과 신체활동이 학생들에게 배움과 도움의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평생체육으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이 되는 ‘배움’과 평상시 삶으로 연결되는 실천의 장으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육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learning’ and ‘assistance’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grade students attending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1,257 students(boys: n=633, 50.4%; girls: n=624, 49.6%) were finally select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learning’, ‘assistance’(one open-ended question), and gender(one closed-type question). Data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small-domains by combining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The subjects that can be represented were found and classified into the middle-domain and finally the large-domain.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10% of the sample before classification by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tents learned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ppeared in the order of ‘psychomotor domain’, ‘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 domain’, and 11.71%(f=181) did not learn anything. And there were 1,978 responses that they received assistance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ssistance in the psychomotor domain’ takes the largest proportion. Next, ‘others’, ‘assistance in the affective domain’, and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 appeared in order, and the response that it was not helpful(f=210, 10.62%) was found to be more than that of ‘assistance in the cognitive domain’(f=195, 9.86%). It suggests that learning content and physical ac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give students an experience of learning and assistance. Therefore, based on the three goal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rovide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lifelong physical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