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lanzapin과 Risperidone의 급성 및 만성 투여기가 흰쥐 전전두피질의 Dopam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문선근,정영철,은홍배,황익근,박태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1

        항정신병약물들이 전전두피질의 세포외 dopam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이 약물들의 음성 증상에 대한 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olanzapine과 risperidone을 흰쥐에 급성 및 만성 투여를 한 후, 이들 약물들이 전전두피질의 세포외 dopam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샘플은 생체 내 뇌 미세투석법(in vivo brain microdialysis)을 이용하여 얻었고 샘플내 dopamine의 농도는 전기화학적 검출법(electrochemical detection : ECD)을 사용하는 고압액체크로마토그라피(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 HPLC)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Olanzapine과 risperidone의 급성 투여는 전전두피질 부취의 세포외 dopamine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증가의 정도는 용량 의존적이었다. 2) Olanzapine과 risperidone의 급성 투여에 의해 전전두피질 부위에 나타난 세포외 dopamine 농도의 최고치는 두 약물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Olanzapine과 risperidone의 만성 투여는 전전두피질 부위의 세포외 dopamine 농도를 증가시켰으나 그 증가의 정도가 급성 투여에 비해 모두 감소하는 내성 현상이 보였다. 4) Olanzapine과 risperidone의 만성 투여에 의해 전전두피질 부위에 나타나는 세포외 dopamine 농도의 최고치는 olanzapine과 risperidone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Olanzapine과 risperidone의 음성 증상에 대한 임상적 효과가 이들 약물이 전전두피질의 세포외 dopamine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와 관견이 있음을 제시한다. Object : It i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antipsychotics on the extracellular dopamine levels in the prefrontal cortex is related to the their effect on the negative symptom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olanzapine and risperidone on the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of rat. Samples were obtained using in vivo brain microdialysis. Method : Dopamine levels in the samples were measur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Results : 1) Both the acute treatment of olanzapine and risperidone increased the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dose-dependently. 2)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ximal change of the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induced by the acute treatment of olanzapine and risperidone. 3) Both the chronic treatment of olanzapine and risperidone also increased the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but they showed the tolerance effect that the degree of increas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acute treatment. 4) As for the maximal changes of the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induced by the chronic treatment of planzapine and risperidone, the effect of the former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att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olanzapine and risperdone on the negative symptoms are related to the increased extracellular dopamine concent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induced by these dru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