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모희준(Mo, Hee-june)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5 No.-

        본 연구는 냉전시대 한국에서 발표된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냉전시대에 접어들면서 미·소 양 진영은 경쟁적으로 과학기술 및 우주개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념적 헤게모니 싸움의 도구로 핵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을 종전시킨 것은 핵무기였고,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의 위력이 알려지게 되면서 점차 핵무기를 통한 제3차 세계대전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 무렵 ‘종말’을 주제로 한 과학소설들이 등장하였다. 내적으로는 핵무기의 가공할 위력이 이 세계를 종말로 이끌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과, 외적으로는 우주개발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이 지구 밖 미지의 생명체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 과학소설이라는 장르를 빌려 나타나게 된 것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 한낙원에 의해 최초의 과학소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과학소설의 주 독자층은 아동 및 청소년들로 한정되어있었다. 그 이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과학소설이라 할 수 있는 문윤성의 『완전사회』가 등장하였다. 이 두 작가들의 작품에는 냉전시기라는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으면서도, 한국의 고유한 종말의식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냉전시기에 발표된 한낙원의 소설 『잃어버린 소년』과 『금성탐험대』, 그리고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통해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나는 종말의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observed in Korean creative science fiction works published during the Cold War era. Entering the Cold War, the U.S. and the U.S.S.R. raced against each other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space exploration, and nuclear power—the latter of which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tool in the struggle for ideological hegemony between the world powers. Nuclear weapons brought the Second World War to its end, and as their power become known throughout the world, fear of a Third World War gripped people’s hearts. Around that time, science fiction works containing “the End” themes began to emerge. Internally, the fear that the dreadful power of nuclear weapons would lead the world to its termination and, externally, people’s curiosity about unknown lives outside the earth stimulated by space development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science fiction. In Korea, Han Nak-won published the first science fiction story following the end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 story’s major readership was limi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Moon Yoon‐seong’s Perfect Society, a full‐fledged science fiction novel targeting adult readers, was published later. The works of these two authors carry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d War era, and also represent Korea’s unique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described in Korean creative science fiction works through Han Nakwon’s A Lost Boy and Venus Expedition, and Moon Yoon‐seong’s Perfect Society, all published in the Cold War era.

      • KCI등재

        1960-1970년대 <과학소설 전집류> 출판에 나타난 과학입국 담론 연구

        모희준 ( Mo Hee-june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사이에 성행한 전집류 중에서도 ‘과학소설 전집’의 출판에 나타난 한국의 과학입국 담론에 대한 것이다. 1960-1970년대는 국제적으로는 냉전시기였으며, 국내에 한정해서는 6 · 25전쟁 이후 국가재건을 추진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맞물려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작 과학소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창작 과학소설은 번역물과 섞여 ‘전집’의 형태로 출간되었다. ‘소설전집’은 당시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궤를 함께하여 유행처럼 번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행에 편승하여 과학소설 또한 몇몇 출판사의 기획으로 출간을 하게 된다. 그러나 당시의 과학소설은 아동·청소년의 전유물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강했으며, 따라서 ‘과학소설’이란 곧 ‘아이들의 공상’에 불과했고, 이러한 일종의 부정적 인식은 한동안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다양한 문학 장르가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소설도 기존의 문학 장르 카테고리 안에 존재하는 하위 문학으로 인정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일제 강점기 무렵 번역·번안 작품이나 새로운 작품의 발굴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과학소설이 가장 부흥했던 시기라고 판단되는 냉전시기에 한국에 출간된 과학소설의 면모를 살펴보고, 이를 전집화하여 출간했던 의도의 이면에 있는 ‘과학입국’과 관련된 담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scourse of science entry in Korea which appeared in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Science Novels’ among the books collected during the 1960s and 1970s. In the 1960s and 1970s, the Cold War period was international, and it was the time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Korean War. In this period, ‘creative science novel’ begins to appea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se creative science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a ‘complete collection’ mixed with translations. ‘The Complete Works of Novels’ was spreading like a fashion together with the enthusiasm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time. And with this trend, science fiction is also published by some publishing companies. However, science fiction at that time was strong in social recognition that it was the exclusive proper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refore, ‘science fiction’ was only a ‘fantasy of children’, and this kind of negative perception has been steadily continuing for a while. While various literary genres are being studied in the 21st century, science fiction has also been recognized as a sub-literary genre in existing literary genre categorie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concentrate on the translation, the creation of works, and the search for new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the science fiction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period when it is considered the most revived period of science fiction and studies the discourse related to ‘science entry’.

      • KCI등재

        한낙원의 과학소설에 나타나는 냉전체제 하 국가 간 갈등 양상 -전후 한국 과학소설에 반영된 재편된 국가 인식을 중심으로-

        모희준 ( Hee June Mo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Rak.won Han (韓樂源, 1924.2007), beginning to publish science fictions from the late 1950s, has exerted an enormou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fictions in Korea. Born in Pyeongannam.do, Rak.won Han came over to South Korea in December 1950 and took a unique career path, working as a civilian official in charge of translation at the Operation Division of the ROKAF 1st Fighter Wing, and doing jobs related to translation and broadcasting at the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Psychological Operation Divis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at the Korean Civil Assistance Corporation. Later he began to translate Western dramas or to write science plays, and serializing People Living on Mars on Saebeot in 1959, he began to commit himself to science fiction writing and since then he had created numerous science fictions until the 1990s. Rak.won Han is the person who opened a new horizon of science fictions in Korea, which had been a barren land in terms of science fictions. Despite his distinguished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fic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Rak.won Han in Korea. Thus, this study purposed to fill a gap in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fictions by examining two of Rak.won Han`s early stories A Lost Boy and Venus Expedition, which have been undervalued through having left notable footprints in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fictions. It is simple to explain why the two texts were selected. They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that brought fame to Rak.won Han and entitled him ‘science fiction writer’ or ‘children`s story writer,’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wed the postwar situation of Korea caught between conflicts between world powers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950s to early 1960s and exhibited why the country had to grow into a powerful state.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d Rak.won Han, not just as a science fiction writer for children but focusing on the pattern of confrontation and completion among nations under the Cold War system using the genre characteristic of science fictions.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문제 양상 -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

        엄학준(Eom, Hak-jun),모희준(Mo, Hee-june)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자의 양상에 대해서 정연규의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연구다. 노동자 소설은 일제강점기 프로문학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등장하였으며 1920년대부터 시작하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만 식민지 시기의 노동소설 연구와는 반대로 과학소설은 아직 연구가 많이 부족한 편이다. 이는 과학소설 자체에 대한 연구가 적은 것도 있지만 당시에 창작된 과학소설의 수가 적은 것도 한 가지 이유로 보인다. 과학소설을 통해 노동자의 모습과 노동문제의 양상을 살펴야 하는 이유는 과학소설이 가지는 장르적 특징에 있다. 과학소설은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소설보다 작가의 상상력이 더 많이 첨가된다. 이는 곧 작가가 가진 이상이 무엇인지를 살피기에 용이한 장르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노동소설은 현재를 배경으로 하며 노동자들의 고난을 그려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노동소설은 노동자들의 현실이 아닌 노동자들의 이상향을 그려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다. 『이상촌』과 『인조노동자』는 각각 1921년과 1925년에 발표된 과학소설과 희곡으로, 미래라는 배경 속에서 노동자들의 모습을 그려낸 작품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 작품 모두 과학소설이라는 장르 내에서 어느 정도 입지가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정연규의 『이상촌』은 조선 최초의 과학소설이라는 점에서, 박영희의 『인조노동자』는 체코의 과학소설 작가이자 ‘로봇’이라는 단어의 창시자인 카렐 차펙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두 작품 모두 자본주의 사회를 노동자들의 지옥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이는 정연규와 박영희가 사회주의 계열의 작가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동자들의 지옥인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해결책으로 두 작가 모두 자본주의 체제의 전복과 정부의 무용을 주장하고 있었다. 무정부주의에 대해선 『이상촌』의 경우 정부나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를, 『인조노동자』의 경우 정부의 무능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무정부 사회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단, 이들이 제시한 무정부사회는 사회주의가 전 인류의 기본 관념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이는 전 인류가 사회주의 의식을 가지고 그 안에서 자발적으로 노동과 생활을 이어간다면 정부는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노동을 신성시하는 모습도 두 작품의 공통점이었는데, 이 또한 자발적인 노동만을 신성한 것으로 여긴다는 특징이 있었다. 추가로 두 작품 모두 노동을 신성한 것으로 여기는 것과 동시에 귀찮아 하는 심리가 드러난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상촌』은 노동을 신성한 것이라 말하며 모두가 자발적으로 노동하는 사회를 그리고 있었지만 이들의 실제 노동시간은 하루 1시간 정도이며 대부분의 잉여시간을 운동으로 소비한다는 점에서 모순을 보였다. 『인조노동자』는 노동을 신성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별개로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 알퀴스트를 감금하고 강제 노동을 시킨다는 점에서 인조인들의 혁명은 사회주의 혁명이라기보단 인류와 인조인의 계급적 반전을 꾀하는 체제 전복에 가까웠다. 인간을 감금한 채 노동을 강요하는 인조인들의 모습은 노동을 신성시하는 심리와 다소 거리가 먼 행동이다. 위의 결과를 통해 정연규와 박영희는 노동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전복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노동 자체를 신성시하지만 이는 자발적인 노동에 한해서이며, 노동을 신성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과도한 노동에 대해서 반발하는 심리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정연규와 박영희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과학소설과 희곡을 이용했다. 유토피아는 그 의미대로 실재하지 않는 이상향을 뜻한다. 현재를 배경으로 하는 일반적인 노동소설로는 노동자들의 ‘현실’을 묘사할 순 있을지 언정 노동자들의 ‘이상’을 표현하기엔 적절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두 작가는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과학소설 장르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focuses on Jeong Yeon-gyu's 『Utopia』and Park Young-hee's adaptation drama 『Artificial Workers』on the aspects of workers in Japanese colonial era science fiction and play. Most of the scientific no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translated and adaptation, not pure creations, and the fact that translation and adaptation were continuously conducted suggests that there was a demand for scientific novels. So,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appearance of workers and labor problems in science fiction.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at the appearance of workers and aspects of labor problems through science fiction lies i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cience fiction. Science fiction is set in the future, so the author's imagination is added more than ordinary novels. Most labor novels are set in the present and focus on portraying the hardships of the workers.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labor novels set in the future portray the ideals of workers, not reality. The works selected in this study are 『Utopia』 a novel by Japanese writer Jeong Yeon-kyu, and Park Young-hee's translated play 『Artificial Workers』 Utopia and Artificial Workers are science novels published in 1921 and 1925, respectively,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depicts workers in the background of the future. Both works also have some position in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Jeong Yeon-gyu's 『Utopia』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cientific novel in Joseon, and Park Young-hee's 『Artificial Workers』 is based on the work of Karel Chapek, a Czech science fiction writer and founder of the word ‘robot’.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works have an inherent sense that workers can solve problems only through the overthrow of a capitalist society. Labour is sacred, but this was limited to voluntary labour, and apart from this, the psychology of considering labor as a nuisance could also be found. The sanctity of labor was also a common feature of the two works, which also characterized only voluntary labor as sacred. In addition, both works were characterized by the psychology of considering labor as sacred and annoying at the same time. Utopia was drawing a society where everyone voluntarily worked, calling labor sacred, but it was contradictory in that their actual working hours were about an hour a day and most of their surplus time was spent exercising. Apart from recognizing labor as sacred, the revolution of the artificial people was more of an overthrow of the system that sought a class reversal between mankind and the artificial people, given that Alquist, the last survivor of mankind, was imprisoned and forced to work.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people forcing labor while imprisoning humans is somewhat far from the psychology of sacred labor. From the results above, we could see that Jeong Yeon-gyu and Park Young-hee were suggesting the overthrow of capitalist society as a solution to the labor problem. Although labor itself is sacred, it is limited to voluntary labor, and apart from sanctifying labor, a psychology that regards labor as a nuisance can also be found. Jeong Yeon-gyu and Park Young-hee used the genre of science fiction as a means to create a socialist utopia. Utopia means utopia that does not exist as it means. Labor fiction set in the present can portray the ‘real' of workers, but it is not appropriate to express the ‘ideal' of workers. For this reason, the two writers seem to have used the science fiction genre set in the future.

      • 일제강점기 과학담론을 통한 전쟁양상 연구 - 최초의 대체역사소설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1941)와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1934)을 중심으로

        김예진 ( Kim Yejin ),모희준 ( Mo Hee-june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이 연구는 한국 최초의 대체역사소설인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와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통해 당대의 전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시도했다. 일제강점기의 과학소설은 창작소설보다는 번역·번안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김동인의 「K박사의 연구」처럼 몇 안 되지만 순수 창작과학소설 또한 존재한다. 특히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의 경우 대체역사소설의 서사 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최초의 대체역사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과학담론을 통해 당대의 전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시도는 현재까지도 찾아보기 어려우며, 특히 「태평양의 독수리」와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살핀 연구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두 작품을 통해 당대의 전쟁 인식을 살피고자 하는 시도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는 미국의 선전포고로 전쟁이 시작되어 전쟁 중의 태평양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 하나다는 전투기의 엘리트 파일럿으로, 홀로 미군 전투기 53기를 격추시킨 영웅이다. 미군은 일제에 비해 우월한 물자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다를 비롯한 일본군의 활약으로 미군은 연패를 거듭한다. 이 과정에서 강조되는 지점이 바로 ‘대동아공영권’과 일본군의 공격 지점인 ‘산호해’이다. 일제의 대동아공영권을 염려하며 선전포고를 한 미군과 일본군이 산호해라는 명확한 공격 목표를 지니고 이를 공격한다는 소설의 내용은 「태평양의 독수리」가 대동아공영권의 선전과 전쟁에 대한 정당성 부여, 그리고 일본군의 사기 고양을 위해 창작되었음을 시사한다.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은 「태평양의 독수리」보다 이전의 작품이지만 소설의 형식을 하고 있을 뿐 전쟁 무기를 소개하는 일종의 교양서적과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미래의 무기를 언급하며 비행기가 미래 전쟁에서 중요한 무기가 될 것임을 강력히 주장한다. 김동진은 작품 내에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필연적으로 전쟁이 발생할 것임을 예견하고 있으며, ‘전쟁이 사라지지 않는 한 전쟁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김동진은 미래에 발발할 전쟁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해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쓴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Korea's first alternative historical novels,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and Kim Dong-jin's 『(World War) Flight Wa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war of the time. Japanese colonial era's scientific novels are mainly translated and translated works rather than creative novels, and few like Kim Dong-in's 「Doctor K's Research」 but pure creative science novels also exist. In particular,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can be seen as Korea's first alternative historical novel in that it faithfully follows the narrative structure of alternative historical novels.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war of the time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scientific discourse are still difficult to find, and there is no research on the 「Eagle of the Pacific Ocean」 and the 『(World War) Flight War』, so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war of the time through the two works are likely to be meaningful.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is a novel set in the Pacific Ocean during the war as the war began with the declaration of war by the United States. Hanada,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s an elite pilot of fighter jets and is a hero who shot down 53 U.S. fighters alone. The U.S. military has superior supplies compared to the Japanese, but the U.S. military continues to lose consecutive games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Japanese military, including Hanada. The points emphasized in this process are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the “Coral Sea” the Japanese military's attack point. The novel suggests that the U.S. and Japanese forces, who declared war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tack it with a clear attack goal of the Coral Sea, suggests that 「Eagle of the Pacific Ocean」 was created to justify the propaganda, war, and boost the morale of the Japanese military. Kim Dong-jin's 『(World War) Flight War』 is a work earlier than 「Eagle of the Pacific Ocean」, but it only takes the form of a novel and contains a kind of liberal arts book that introduces war weapons. In particular, referring to future weapons, he strongly argues that airplanes will become important weapons in future wars. In the work, Kim Dong-jin predicts that war will inevitably occur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fter World War I, and says, “Unless war disappears, knowledge of war is necessary.” Taking these points together, it is presumed that Kim Dong-jin wrote 『(World War) Flight War』 to present the justification for the war that will break ou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