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암석의 암종별 열물성 특성 분석

        차장환(Cha, Jang-Hwan),명대원(Myoung, Dae-Won),구민호(Koo, Min-Ho),송윤호(Song, Yoon-Ho),김형찬(Kim, Hyeng-Cha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암석을 암종별로 총 292개 채취하였으며 열물성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이들 암석의 열물성을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암석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일부 시료의 경우 XRD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를 이용하여 암석의 열물성 특성과 열물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였다. 암석의 열물성 측정 결과 열전도도와 열확산계수는 화강암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퇴적암, 변성암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종별 열물성 값의 범위를 살펴보면 변성암과 퇴적암에서 넓게 분포한다. 암석의 물성과 열물성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공극률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도와 열확산계수가 감소하나 상관성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XRD 분석 결과 암석의 열전도도는 석영(SiO₂)의 함량에 따른 선형의 비례관계를 보였다. 이로써 암석의 열전도도는 암석을 이루는 광물의 종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차후 암석의 구성 광물입자의 배열 상태에 따른 열물성 특성과 퇴적암 및 변성암 시료에 대한 이방성 실험을 통해 편리, 층리 및 엽리 등에 따른 열물생의 이방성 정도를 분석할 예정이다.

      • 하폐수 처리 전해시스템의 부생가스 자원화

        안상우 ( Sang-woo An ),안진환 ( Jin-hwan An ),송구현 ( Goo-hyun Song ),명대원 ( Dae-won Myoung ),이희경 ( Hui-ky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하폐수 내 고농도의 유해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분해 시스템의 효율특성 및 전기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생가스인 수소(H<sub>2</sub>)와 산소(O<sub>2</sub>)를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부생가스의 자원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기분해의 유기물산화 및 부생가스 생성 효율의 최적화 및 상용화를 위하여 부생가스를 분리할 수 있는 전극 분리형태의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전기분해 시스템에서 유기물의 산화 특성 및 부생가스 분리효율과 생성량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전극 분리형태의 전기분해 시스템에서 생성된 수소와 산소의 순도는 90% 이상이었으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수소의 생성량은 점차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산소는 생물반응조의 활성화를 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수소는 에너지원 혹은 탄소자원화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테스트배드의 기초설계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하수방류수 내 TOC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공정의 최적 조건

        안상우(Sang-Woo An),정혁상(Hyuk-Sang Jung),이희경(Hui-Kyung Lee),고준걸(Jun-Geol Ko),명대원(Dae-Won Myou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8 No.4

        2013년 환경 정책 개정에 따라 총유기탄소(TOC)항목이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도입되었으며, 이러한 정책시행에 따라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의 TOC에 대한 수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 전기분해공정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하수방류수 내 TOC 제거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실 규모의 전기분해공정에서의 실험 결과를 반응표면법에 적용하여 방류수 내 TOC 제거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합성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전해공정의 주요 운전인자인 전극간격(x₁), 전류밀도(x₂), 전해질의 농도(x₃)를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TOC 제거효율(y)이다. 전해공정에서 최적화 조건은 전극간격 50mm, 전류밀도 10.3mA/cm², 전해질의 농도 0.1M로 조사되었다. 통계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전극간격 > 전류밀도> 전해질농도의 순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Environmental Policy Act was revised in 2013, Total Organic Carbon (TOC) was added as an indicative parameter for organic matter in Water and Aquatic Ecosystem Environmental Criteria. Under these imminent circumstances, a regulatory standard is needed to achieve the proposed TOC limitation control water quality from the STP (Sewage Treatment Plant). In this study, a electrolysis utiliz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was investigated in lab-scale experiments for the treatment of TOC in sewage effluent. TOC reduction by a electrolysis was investigat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the Box-Begnke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lectrode space (x₁), current density (x₂)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x₃) on the dependent variables removal efficiency of TOC (y). The optimal conditions for electrolysis were determined: electrode space, current density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were 50 mm, 10.3 mA/cm² and 0.1M, respectively.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e order of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be electrode space > current density > electrolyte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