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 요구자 쪽의 당연성과 부담도로 본 "수락"과 "거절"의 일고찰

        마츠바라요시코 ( Matsubara Yoshik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1

        본고는 일본어의행위요구에대한수락과거절에있어서당연성과 부담도가 어 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표현유형과 의미공식의 관점으로 분석 및 고찰을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당연성과 부담도의 높이로 ①당연성이 높고 부담도가 낮을 때 ②당연성이 낮고 부담도가 높을 때③당연성이 높고 부담도가 높을 때 ④당연성이 낮고 부담도가 낮을 때 , 이 네 개의 패턴으로 나누어 분석을 했다. 수락을 보면 패턴①은 수락할 때에는 가장 수락하기 쉬운 패턴이며 거절할 때에는 가장 어려운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패턴②는 그 반대로 수락은 어렵고 거절은 쉬운 패턴이다. 하지만 패턴③④는 패턴①②처럼 확실하게 수락과 거절 이 어렵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이 패턴③④에 대한 대답은 피 요구자가 행위요 구를 패턴①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당연성과 부담도와의 차이 에 대해서 언급하는 경향이 보였다. 패턴③의 수락은 ``수락명시``의 의미공식을 사용해도 "해 보겠다"라든지 시도를 나타나는 표현으로 실행의 가능성이 낮음 을 말하고 있다. 거절에서는 원하는 행위요구는 부담도가 높지만 요구자가 그 만큼 요구를 강하게 원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유``와 ``설득``으로 요구를 취하하 도록 유도하고 있다. 패턴④의 수락에서는 ``수락명시``를 사용해도 망설이거나 문 말을 생략해서 애매하게 수락하거나 "해 주겠다"라고 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좋아요"라는 표현으로 당연성이 낮음을 강조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당연성과 부담도는 일직선상에 있으며 반비례한다고 되어 있지만 본고의 결과를 보면 당연성과 부담도는 별도로 생각해야한다. 그리고 요구자와 피요구자가 생각하는 당연성과 부담도에 관한 인식 차이를 염두에 두고 수락 거절의 표현유형과 의미공식의 선택을 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ffects of levels of naturalness and burden on acceptance and refusal of a request for ac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ype of expressions and the type of semantic classifications. The analyses are divided into four patterns depending on the levels of naturalness and burden: when ① naturalness is high and burden is low; ② naturalness is low and burden is high; ③ naturalness and burden are high; ④ naturalness and burden are low. The pattern ① is the easiest when signalling acceptance but the most difficult when signalling refusal. In contrast, the pattern ② renders acceptance difficult but refusal easy. Unlike the patterns ① and ②, the patterns ③ and ④ do not seem to incur apparent difficulties in acceptance or refusal. When responding to the patterns ③ and ④, requestees tend to judge the request for action in reference to the pattern ① and mention a gap between the levels of naturalness and burden. Acceptance in the pattern ③ suggests a low likelihood of execution as the acceptance expresses a willingness to try (i.e., "I will give it a try") even when the pattern employs ``clarification of acceptance`` as the type of semantic classification. Refusal in the pattern ③ prompts the requester to withdraw the request through ``reason`` and ``persuasion`` as the perceived burden of the requested action is high while the request is judged to be strongly desired by the requester. Acceptance in the pattern ④ highlights the low level of naturalness as the requestee shows hesitation even when using ``clarification of acceptance``, or accepts the request ambivalently by omitting expressions, or signals "Okay" which implies "I will do it for you".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a linear and invers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level of naturalness and level of burden. However,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se two are separate. Also, selection of the typeof expression and the type of semantic classification for acceptance or refusal needs to account for the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naturalness and burden perceived by requesters and requestees.

      • KCI등재

        현대 일본의 한일 믹스어의 조어법에 관한 일고찰 -인터넷상의 용례를 중심으로 -

        마츠바라요시코 ( Yoshiko Matsubara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7

        본고는 현대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일 믹스어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인터넷상으로부터 추출해 그 조어 형식과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 조사 분석을 실시했다. 크게 일본어+한국어 순서로 연결되는 형식과 한국어+일본어의 순서로 연결되는 형식의 용례로 나눌 수 있다. 일본어+한국어 조어 형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것은 한국어의 모달리티를 나타내는 문말 표현을 연결하는 형식으로 의사나 강조를 나타내는 -ㄹ게 -ㄴ데 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용례수가 보이는 것에는 -니다와 같이 활용어미를 연결하는 것이 있고, 전항의 일본어는 인사말이 특히 많이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어+일본어 조어 형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것은 각 품사의 활용 어미를 연결하는 형식으로, 형용사에 -い를 연결하는 것이나 일본의 젊은 사람들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る를 붙여 동사화 하는 것, 그리고 -み를 붙여 명사화하는 것 등을 볼 수 있었다. 조어 형식을 보면 본래 한일 믹스어를 볼 수 있었던 것은 양국의 언어가 직접 접촉하는 장면 즉, 재일 한국인이나 주한 일본인, 유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양국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만들어진 한일 믹스어는 양 언어의 문법에 따른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것에 비해 최근의 인터넷상에서 만들어져 발신되어 있는 한일 믹스어는 문법규범에 안 맞는 형태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는 이제 믹스 언어가 양국 언어 사용의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가 아니라 젊은 사람들의 언어, 인터넷 언어로서의 역할이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the Japanese and Korean mixed languages used in modern Japan from the Internet,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coined forms and how they were create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one in the order of Japanese + Korean and the one in the order of Korean + Japanese. The most common coined form seen in Japanese + Korean is the concatenation form of the Korean modality sentence end, -ㄹ게 -ㄴ데, etc. expressing intention or emphasis. Some of the Japanese languages that have become widely used, for example, -니다 , are linked by conjugation at the end of the sentence, and most of the Japanese in the previous paragraph used greetings. Next, the most common forms of coined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were those in which the ending of each part of speech was concatenated, such as concatenating -い with a basic adjective, adding -る used in Japanese youth language to make a verb, and adding -み to make a noun. In terms of the coined form, the mixed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were originally seen when the two countries languages were in direct contact, that is, when Korean residents in Japan,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foreign students started to use them. However, the mixed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which were created for people who use two language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re mostly connected in a form that conforms to the grammatical rules of both languages, while the mixed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which are created and transmitted on the recent Internet, are often connected in a form that violates grammatical standards. This shows that mixed languages are no longer being used as communication tools for bilingual use, but rather as youth languages and Internet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