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역량중심 교육정책 분석과 국내 역량중심교육에 대한 시사점

        류태호 ( Taeho Yu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역량중심교육은 최근 미국 교육계에 큰 화두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내에서 역량중심교육을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뉴햄프셔, 오하이오, 일리노이, 플로리다, 미시건, 유타, 네바다, 아이다호 주 등 8개 주의 교육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역량중심교육을 도입하는데 있어 고려할 만한 5가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교육부에서 먼저 역량중심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역량중심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정책자금을 지원하거나 학점제도 운영에 대해 일선 학교에 자율권을 제공해서 일선 학교에서 학생들을 위한 보다 나은 교육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보장을 해주는 것. 둘째, 어느 한순간 정책적 변화를 통해 갑자기 모든 학교에서 역량중심교육을 시행하도록 강제하기 보다는 시범학교를 선정해 3~5년간 시범 운영하면서 학계와 연계해 한국형 역량중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나가는 것. 셋째, 하위 수준의 수업 내용에 대해 숙달하고 수업에 재미와 흥미를 갖고 상위 단계의 수업을 듣는 것이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학습경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 넷째, 평가방식을 다각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와 학생들이 역량중심 평가와 학력중심 평가에 대한 부담을 2배로 지게 하지 않도록 적절히 조율하는 것. 다섯째, 역량중심교육을 채택하고 적용하기에 앞서 학생들에게 개인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in the field of the US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five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 Competency-based education policies in eight states (i.e. New Hampshire, Ohio, Illinois, Florida, Michigan, Utah, Nevada, Idaho).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underst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 a pilot program to help local schools to adapt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eir schools using the government gra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o a series of research to develop Korean mode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implementing a pilot program for 3-5 years. Third,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nduct a national-wide awareness campaign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establish multiple measures to determine students’ mastery of concepts or competencies. Last but not lea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nfirm that local schools are ready to provide personalized learning for the individual students.

      • KCI등재

        대학 골프전공수업에 관한 학생인식 탐색

        강방수(Bangsoo Kang),류태호(Yu Tae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골프전문인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골프학과의 전공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 소재 골프학과 재학생 2명과 졸업생 2명으로 총 4명의 주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2015년 09월부터 2016년 06월까지 10개월간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골프기량과 실력향상을 위한 실기수업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골프이론을 배우기 위한 수업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실기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서로 다른 형태로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프로골퍼학생은 교수의 수업을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일반학생은 프로골퍼학생과의 골프기량 차이로 인해 수업이 이루어지는 연습장과 필드에서 소외를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골프전공과목이 전문적인 소양을 위한 이론적 체계가 구체화 되지 않았으며, 이를 실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업 역시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학생들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프로골퍼학생과 일반학생들이 혼재되어 있는 수업방식을 나누어서 진행할 수 있도록 바뀌어져야 한다. 둘째, 선수육성을 위한 실기위주의 수업방식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의 골프전문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이론수업과 실기수업의 균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골프이론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수업의 확대, 이론을 실전에 적용시키는 수업 등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를 받아들이고 이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교수 중심으로 운영되는 수업의 내용에서 탈피하여 골프에 관한 보다 전문적 자질과 소양을 갖출 수 있는 수업의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golf classes. The student were chosen by received golf department classes in Metropolitan area. The data was collected 10 months time period during September 2015 to June 2016 wit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method to conduct classification analysis.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students felt that the basic golf theory classes were lacked on their classes because golf department was made by skill-oriented curriculum. Second, the golf department showed the difference perception between the normal student and golf-professional student. normal student receives the alienation on their class, and golf-professional student helps their faculty"s class like a teaching assistant. Third, student have a perception that curriculum operated by teach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a way to provide to improve of the golf department class qualities. First, the classes operate other way such as golf professional student participated as a student rather than a teaching assistant role, and normal student participate without alienation on their class. Secon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atic curriculum by combining a good application aspects of basic kinesiology theory and golf part theory that must put the academic worth in golf department. Last, The curriculum will be made operational to meet the student"s needs and requirements with their level.

      • KCI등재

        ‘학생선수’ 개념의 의미 변천과 교육적 함의 도출

        이해령(Haeryung Lee),류태호(Taeho 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학생선수 개념의 의미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할 것이란 전제를 바탕으로, 학생선수 개념이 시대별로 어떠한 의미의 변화를 겪으면서 담론이 되었는지 분석하고, 관련하여 스포츠교육계에 던질 새로운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70년대부터 2020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간된 정책 보고서 및 문서 90여 편, 언론자료 약 400여 개가 수집되었고, 담론분석론에 기대어 작성한 분석틀을 토대로 학생선수 개념의 의미와 담론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70-80년대에는 학습하지 않는 학교대표 운동선수, 1990년대에는 운동으로 대학 가는 학교운동부, 2000년대 공부하는 학생선수라는 의미가 덧붙여진 후, 2010년대에는 정책적 인권 보호 대상의 의미가 포함되었다. 즉, 개념이 지닌 의미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누적되어 확장되었다. 이러한 의미의 변천을 통해 파악된 학생선수 개념은 운동(권), 학습권, 인권으로 담론화되었고, 이 담론들은 소멸 또는 대체된 것이 아니라 시기나 문제 상황에 따라 그 영향력을 달리하며 공존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세 가지 교육적 함의는 첫째, 학생선수가 해야 할 공부와 역량에 대한 논의, 둘째, 관련 문제 해결에 대한 교육의 가능성 재고, 셋째, 학생선수 담론 확장의 필요성이다. 이는 학생선수와 관련된 새로운 논의 지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student-athlete’ emerged and the ways in which its meanings have change-down. Specifically, this study traces in detail how the concept of student-athlete has become a discourse, how the meaning of the concept has changed over tim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90 policy reports and documents, 399 media materials, and records of policy changes published between the year 1970 and February 2020. Furthermore, the inquiry drew on the theory of discourse analysis and the materials was investigate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s. As a result, different meaning of the term student-athlete has accumulated and expanded from the 1970s-80s to 2010s; in the 1970s-80s, it meant athletes who represent school but do not study; in the 1990s it meant students playing for school athletics and who enter college with athletic performances; in the 2000s it meant student-athletes who both study and exercise; and in the 2010s it meant student-athletes whose human rights needed to be protected. And three discourses was the right to exercise, the right to learn and human rights. At the end of these results, there are thre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mmarized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The first is the discussion of competence and definition of studying. The second is the re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education. The third is an expansion of discourses of student-athlete.

      • KCI우수등재

        소프트 다트를 활용한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

        손유민 ( Shon¸ Youmin ),김보람 ( Kim¸ Boram ),류태호 ( Yu¸ Taeho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 다트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철학에 근거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S중학교 2학년 학생 184명(8개 혼성학급)을 대상으로 소프트 다트 수업을 실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주요 연구참여자로 8명의 학생을 선정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지, 인터뷰, 관찰일지 등을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첫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소프트 다트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스포츠에 대한 재고(再考)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둘째,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역량이 내면으로 집중되는 수렴적 움직임을 경험하였다. 셋째, 소프트 다트의 색다른 경기방식으로 인해 섬세한 움직임과 전략적 사고의 조화를 경험하였고, 넷째, 불평등과 소외가 만연했던 체육수업에서 새로운 관계 형성의 계기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듀이의 경험교육 철학에서 주장하는 상호작용성과 계속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논의한 결과, 소프트 다트는 현재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 및 관심사에 부합되면서도 발전적인 후속 경험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내기에 유리한 종목적 특성을 갖추고 있어 교육적 가치가 담보된 수업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oft darts lesson which is applicable for PE classes, and explore educational meaning of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soft dart lesson. To achieve this purpose, soft darts lesson was designed based on constructivism. and implemented in the 2nd grade of 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of 184 students(8 coeducational classe). Data collected through opening questionnaires, observation diary and In-depth interviews(8 stud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s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an occasion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sports experiencing soft darts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they experienced convergent movement that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cal competence were concentrated on inner side of human mind. Third, they experienced the harmony between the elarborate movement and strategic thinking by game rules of soft darts. Fourth, they ha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PE class where the alienation and inequality is rife. In conclusion, soft darts guarantees the educational value considering the experiences of the soft darts lesson based on a principle of continuity and interaction of John Dewey’s Educative Experience.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계획과 실행분석

        윤주석(Juseok Yun),유지은(Jieun Yu),류태호(Taeho 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안전영역을 중학교에서는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2017년, 2018년 서울 K대학 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한 체육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가한 중학교 체육교사 106명과 2019년 중학교에 근무하는 3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안전영역 체육수업 계획단계의 자료 수집은 연수에 참여한 체육교사의 교수․학습 지도안과 인터뷰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을 통해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비중’, ‘수업 장소’, ‘학습 주제’, ‘학습 형태’, ‘교수ㆍ학습 방법’, ‘수업의 주도성’, ‘교과 통합방식’ 등으로 범주화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행단계의 자료 수집은 3명의 체육교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안전영역의 체육수업 현장이 ‘답답함’, ‘의무감’, ‘부족함’, ‘역효과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은 체육교과에서 문서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안전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강화 연수내용이 단편적이다. 셋째, 안전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의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plan and practice the newly added safety area to the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ite of middle schools. It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7, to September, 2019, and the subjects were 111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irst-grade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the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education of K University in Seoul in the years of 2017, 2018 and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at middle schools in Seoul in 2019. The data collection of the planning phase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afety area was condu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2 y ears and their syllabi.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contents as categorizing the data in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lace, field, form, contents, and metho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The data collection of the practice phas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2019.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presented with the results of vagueness, obligation, spareness, and backfire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Based on i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afety education is only implemented in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n-service t raining programs to reinforce teachers" capacity for safety education is fragmentary. Third, safety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overall perspective of school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iagnosing the newly added safety area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