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양성을 위한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 척도 개발 및 타당도 연구

        박병기,김희경,나미현,김봉주,류철식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easure of individua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SLQ). For the purpose, a total of 100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and the final choice corresponds to 40 questions. The first factor comprises thirteen items reflecting listening (5 items), empathy (4 items), healing (4 items), and the second factor consists of nine items which are futuristic view (2 items), stewardship (3 items), commitment to the growth of others (4 items), community building (4 questions). The third factor is conceptualization (5 questions), the fourth factor is recognition (5 questions), and the fifth factor is persuasion (4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selected items was .97,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and the subfactors within the range of r = .788 ~ .872. As a result of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 group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the overal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adult and middle adult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questions are structured to measure individual Servant Leadership Quotient (SLQ), which goes beyond the scope of groups or organizations Servant Leadership Quotient. 본 연구는 개인의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총 100문항을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최종 선정은 40문항에 해당한다. 1 요인은 경청(5문항), 공감(4문항), 치유(4문항), 2 요인은 미래보기(2문항), 청지기정신(3문항), 이웃성장에 헌신(4문항), 공동체 세우기(4문항), 3요인은 개념화(5문항), 4요인은 인식(5문항), 5요인은 설득(4문항)에 해당한다. 최종 선정된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97에 해당하였으며, 서번트 리더십 지수 전체와 하위요인 간에는 r=.788~.872범위 안에 해당하여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서번트 리더십 전체 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 중, 고, 성인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증 결과 서번트 전체 지수에서는 학생집단(초,중고)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인초기, 성인중기 집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이나 조직의 범위에서 벗어나 개인의 서번트 리더십 지수(SLQ)를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이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