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 초기 태종(太宗)과 하륜(河崙)의 천견론(天譴論)을 빙자한 정국 운영 양상

        류창규 ( Chang Gyu Ryu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태종대 정국 운영의 향방은 왕권의 안정과 강화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태종 대 정치체제의 개편과 정치세력의 부침에 대한 연구가 그러한 점을 뒷받침한다. 특히 왕권 강화를 위한 여정이 6조의 기능 강화를 비롯한 통치체제의 변화와 공신이나 외척 등 특정 정치세력의 제거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여기에는 태종의 신하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한, 곧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을 용인하지 않은 정치적 술책이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태종의 왕위 계승에서 비정통성, 도덕성의 결여가 작용하였다고 한다. 태종대 정국에 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는 큰 틀에서 어긋나지 않지만, 태종의 정국 운영 방식과 특정 정치세력 제거 과정의 의미는 다시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태종과 그의 최측근 신하였던 하륜의 정치적 행보를 통해 정국 운영의 양태를 다시 살펴보았다. 특히 재이에 따른 천견론을 내세워 태종 이 선위 파동을 일으킬 때나, 천견론에 따른 하륜의 사직 사건이 이어졌을 때 정치적 변화가 심하였다. 나아가 태종의 선위 파동과 하륜의 사직은 서로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서 태종의 정국 운영 방향과 하륜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태종 즉위 후 왕위의 정통성과 도덕성 문제로 왕위가 위약할 수밖에 없었다. 제도 개편을 통한 왕권 안정 추구 노력에 하륜이 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 가장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은 태조를 따르던 이들 가운데서도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이들이었다. 태조의 인척이자 좌명공신이었던 이거이가 본보기다. 하륜의 천견론을 빙자한 사직은 바로 이거이의 제거를 노린 것이었다. 태종과 하륜의 천견론을 매개로 한 정국 변화 모색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사사전 혁파나 동북면 양전 등을 둘러싸고 이에 반대하는 이들이 태조를 등에 업고 천견론을 매개로 태종과 하륜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황은 반전되었다. 태조를 배경으로 하는 친 태조 성향 세력은 태종 왕위의 안정에 걸림돌이었다. 태종 2년, 태조를 등에 업고 일어났던 동북면의 조사위 난을 평정하고 이어서 명 영락제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은 이후 태종의 왕위는 안정되었다. 그런데 태종 6년 천견론에 따라 하륜이 사직을 요청하고, 얼마 후 태종이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에는 무관 세력들의 불만이 작용하였다. 사사전 혁파와 토지 지급에 불만을 품은 무관층이 하륜을 비방하였으며, 태종의 외척이었던 민무구 등이 병권과 관련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태종으로 하여금 천견론을 빌어 선위 파동을 일으키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결국은 민씨 외척 세력의 제거의 단서가 열리게 되었다. 태종 9년, 다시 천견론을 빌어 하륜의 사직과 태종의 선위 파동이 일어난다. 태종의 선위 파동은 외척 민씨 일파와 가까웠으며 태종의 즉위에 공로가 컸던 이무를 겨냥한 것이었다. 이무 역시 오랜 동안 병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그를 따르는 무인 세력이 포진되어 있었다. 민씨 일파를 두둔하였다는 점 등 여러 죄목으로 태종이 이무를 죽였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이무를 중심으로 무인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이었을 것이다. 태종은 이무와 친밀한 관계였던 하륜을 사직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건에 비켜서도록 하였다. 천견론을 매개로 한 태종의 선위 표명과 하륜의 사직은 병권을 장악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왕위에 위협이 될 만한 세력 제거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고도의 정략적인 정국 운영 방식이었던 셈이다. 표면적으로는 반왕세력이나 외척세력, 공신세력의 약화·제거와 정치세력 개편으로 보이지만 병권을 사적으로 장악한 세력과 무인을 측근 집단으로 세력화한 인물들에 대한 불식이었던 것이다. 하륜이 일정한 역할을 맡게 된 것은 태종이 가장 신뢰하는 신하였다는 점도 작용하였지만. 하륜이 병권에 가까이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그것을 가능하게 하였을 것이다. Stabilizing and reinforcing king`s power was critical in managing political situations in King Taejong era. Studies of revision of political system and fluctu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aejong era support the aspect. Especially, the process of reinforcing Icing`s power was a form of changing political system such as fortifying the six department`s(6曹) functions or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such as retainer`s or Min(queen`s family)`s. Taejong`s political strategy of taking advantage of mutual containment and according equilibrium, which is also a zero-tolerance policy toward political parties that could be a possible threat to his power seemed to work in the process. And the lack of linear descent of royalty and the lack of morality affected the strategy in the background. The aforementioned perspective rega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aejong era is general, and reasonable in the large scale. However,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aejong`s way of managing political situation and removing specific political parties.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figure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political stance of Taejong and Ha, Ryun(河崙) who was a close retainer of Taejong. Especially, political fluctuation was extreme in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and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ccording to Cheon-gyeon theory when natural disaster occurred. Moreover, both trials seem to be related to each other. By focusing this fact, it is able to understand Taejong`s way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nd Ha, Ryun`s role in it. After Taejong`s enthronement, Weakness of the king`s power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lack of orthodoxy and morality. Ha, Ryun actively pursued stabilizing king`s regime via revising system. Possible threats especially came from those following King Taejo with military power. I. Geo-i(李居易) who was Taejo`s cousin and Jwamyeong-Gongsin(retainer) is the case. Ha, Ryun`s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imed to remove I, Geo-i. It`s was the start of Taejong and Ha, Ryun`s pursuing political system change via Cheon-gyeon theory. However, the phase was upside-down when those opposing the demolition of Sasa-jeon(寺社田) and revision of Dongbukmeon pressed Taejong and Ha, Ryun via Cheon-gyeon theory, backed by Taejo. Pro Taejo party backed by Taejo was obstacle toward stabilization of Taejong`s regime. In the second year of Taejong`s regime, his regime was stabilized after putting down Jo, Sa-eui`s revolution in Dongbukmeon area and getting approval of emperor Yeongrak of Ming dynasty. Suddenly, in the sixth year of Taejong`s regime, Ha, Ryun requested resignation according to the Cheon-gyeon theory and Taejong consequently tried to abdicate his throne. Dis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was the background of the request and trial. Taejong tried to abdicate because of the fact that Military officers dissatisfying to the demolition of Sasa-jeon and distribution of land criticized Ha, Ryun and Min, Mu-gu(閔無咎) who was Taejong`s cousin had a discontent regarding to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power. Taejong used Cheon-gyeon theory as an excuse. The trial of abdication finally made a way to remove Min`s party. In the ninth year of Taejong`s era, Ha, Ryun`s trial of resignation and Taejong`s trial of abdication via Cheon-gyeon theory recurred. This time Taejong aimed to remove I, Mu(李茂) who was close to Min`s party and took a big role in Taejong`s enthronement. I, Mu had military power under his control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military party following him. Though Taejong removed I. Mu apparently for the reason of taking Min`s side, the main reason of his removal was the fact that I. Mu was the leader of a military party. Taejong accepted Ha, Ryun`s resignation request so as to make Ha, Ryun who was close to I, Mu irrelevant to the I. Mu`s removal. Taejong`s announcement to abdicate and Ha, Ryun`s resignation via Cheon-gyeon theory were highly political maneuver of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aimed at removing military personnel who was possible threat to the regime. Though the maneuver seemed to be the enfeeblement or removal of anti-king party, Min`s party and retainer`s party and the re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it was indeed the removal of those having military under their control. The reason of Ha, Ryun`s taking active role in the removal wa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Ha, Ryun was confidant of Taejong. And the main reason was that Ha, Ryun didn`t bold military powe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高麗末·朝鮮初 在地品官의 유형과 그 지위

        류창규 전남사학회 2001 역사학연구 Vol.17 No.-

        The local gentry had been formed in the late Koryo dynasty, became the local power class in early Choson. They consisted of Yuhangpoomguan(留鄕品官) and Toseongpoomguan(土姓品官). Yuhangpoomguan had a relation with the central offical system, Toseongpoomguan had only the supernumerary posts(散職), in resident in local community. Toseongpoomguan were usually the descendants of the lineage of local functionaries (鄕吏) with gaining dongjeongjik(同正職), geomgoujik(檢校職), cheomseoljik(添設職)-sorts of the supernumerary posts. Not included in central official system, they kept the social status of local gentry. Although in the late Koryo the foundation of Toseongpoomguan made the local power class reorganized, the status of them was unstable. Yuhangpoomguan who had reserved the real posts in past lived in the local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central power, became a new local power class. They established yuhyangso(留鄕所), in their resident, through it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of Choson, the central government represented a new local control policy, would control and conciliate the local gentry, specially emphasized the control of Toseongpoomguan.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governor of province(觀察使) controled Yuhangpoomguan, and guaranted the benefit of them in the local society. In conclusion, the rising of the local gentry in the late koryo dynasty was in a relation with the central power, the connection of both influenced the status of the local ge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