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내거주공간의 적용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와 뇌파의 상관관계 분석

        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본 연구는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라 거주자의 감성과 인체 반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내 거주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거주자의 감성평가와 뇌파측정을 실시하여 상관분석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목표를 설정 후,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계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2) 평가대상에 적용할 색채를 선정하고 각 거주공간을 CG제작하여 평가대상을 작성하고, 감성평가어휘와 뇌파측정 지표를 선정하였다. 3) 평가대상을 통해 감성평가와 뇌파 측정을 실시하여 측정된 데이터 결과는 SPSS를 통해 감성어휘와 뇌파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과 인체반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상관성이 가장 높은 뇌파 지표와 어휘들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주방공간의 Yellow색채 적용 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적용색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Blue, Green, White, Yellow는 주방이며, Red는 침실로 나타났다. 공간을 기준 보았을 때는 거실과 주방은 Yellow, 공부방과 침실은 White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각 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느끼는 감성과 인체의 반응이 대체적으로 서로 비슷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과 인체 반응이 적용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내 거주공간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간과 다양한 색상을 대상으로 심리·생리 평가와 분석을 실시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인체의 생리·심리의 적합성을 고려한 실내 거주공간 색채 디자인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ith the aim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n occupant’s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indoor living space, did correlation analysis of them by implementing an occupant’s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according to applied color by indoor living space, an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objective according to research background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pla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1) After selecting the color to be applied to the target of evaluation, and preparing the target of evaluation by producing each living space through CG, this study selected the words for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index. 2) This study used the data result measured by conducting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through the target of evaluation for do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ffective words and electroencephalogram through SPSS, through which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consequent on the applied color to each living space.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lectroencephalogram index and words, whose correlation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each space, taken altogether, there was the highest correlation in time of application of Yellow to the kitchen space. Taken on the basis of the applied color, Blue, Green, White, Yellow were found to be dominant in the kitchen while Red was dominant in the bedroom. Taken on the basis of space, the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found to be featured by Yellow and the study room and bedroom were featured by White. This research result indicates that the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each space were showing a mutually similar reaction on the whole.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learn that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varied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by applied space.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will carry out psycho-physiological evaluation & analysis targeting diverse spaces & colors instead of limiting its research scope to indoor living space, and in that case, it is thought that such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vital data for indoor living space color design in the light of suitability of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for the time to co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조도변화에 따른 인체 생리·심리 반응 평가에 관한 연구

        류지선(Ji-seon Ryu),김한나(Han na Kim),서은지(Eun Ji Seo),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6

        본 연구는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인간의 심리·생리 반응을 측정하고자 색 공간 안에서의 조도 변화 측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B(7.5BG 5/8, S2555-B30G), G(7.5G 5/8, S2555-G), N(N9.5, S0500-N)의 색채와 조명의 조도(10lx, 100lx)변화를 자극으로 하여 인체를 대상으로 EEG(electroencephalogram)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RA(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RB(Relative Beta power spectrum), SEF50(Spectral Edge Frequency)값의 변화를 바탕으로 이완과 각성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lx에서는 이완의 활성화 정도가 흰색 방>파란색 방> 초록색 방의 순서로 나타났다. 100lx에서는 초록색 방>파란색 방> 흰색 방의 순서로 이완 활성도가 나타났다. 이는 향후 연계되는 연구의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류지선(Ryu Ji Seon),김지은(Ji-eun K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지구의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들이 우리 생활 속에 직․간접적으로 나타나면서 유아 기부터 관심을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 동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이타성과 공동체의식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발전교 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4)가 제시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의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핵심요소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하였고, 각 내 용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활동을 21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M유 치원과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의 프로그 램을, 비교집단의 경우 유치원의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관련된 활동만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 점수는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 프로젝트 활동 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나눔 활 동 경험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해 보고, 실제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지속 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해 보고자 할 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sharing project activities that base on Edu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ESD) were constructed as a part of efforts to give attention from early childhood and provide solutions to social, finan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caus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in people's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ltruism and community spirit in young children through these activities. To organize ESD-based sharing project activities, the goal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three key elem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14). After choosing programthemes, in order to have children experience the three key elements: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elements in ordinary life and 21 sessions of program including specific activitie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for each content of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This study was targeted at 40 young children aged 5 in M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situated in C City, Choongcheongbuk-do.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only life themes of Nuri curriculum and daily program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altruism and sense of commun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inking of ESD-based sharing and experiencing the sharing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altruism and sense of community by making themunderstand and help the needy.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children's sharing activity experience can contribute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when teachers app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빛공해 방지 조례의 현황 및 분석

        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5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9 No.10

        This study is intending to look into the status of the hitherto established local governments light pollution control ordinance, and to use the ordinance status as basic data of ordinance enactment related to light pollution in time of its establishment and revision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for the time to come. This study conducted this research in a total of 3-phase research methods. 1)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plan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after setting up research objectives according to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2) Targeting 11 local governments which are enforcing the hitherto established ordinance, this study surveyed the status of the light pollution control ordinance. 3) This study carried out the contents analysis of the ordinance in the method of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provision of the ordinance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It’s hoped that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nation, which have not yet established the same ordinance, could minimize the damage to natural eco-system due to artificial lighting by promoting the urgent ordinance establishment suited for each region, and create human-oriented light environment by modifying various disorderly lighting environment.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창던지기 거리 추정

        류지선 ( Ji Seon Ryu ),이영선 ( Yong Sun Lee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3 스포츠사이언스 Vol.31 No.1

        본 연구는 실제 지도의 효율성과 훈련 처방의 효과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남자 국가대표 창던지기 선수의 동작을 분석한 릴리즈 각과 공격 각, 창 각속도를 초기 조건으로 고려한 운동방정식을 구축한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해 창던지기의 궁극적인 목적인 수평 거리를 추정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제 던진 수평 거리와 운동 방정식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추정한 수평 거리의 편차는 5.9%내에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평거리 추정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초기 조건으로 설정된 릴리즈 각, 공격 각뿐만 아니라 투창 속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실제 수평 거리를 가장 가깝게 추정한 시뮬레이션에서 릴리즈 속도가 상수로 간주할 때 릴리즈 각과 공격 각의 변화는 수평거리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선수들이 조절할 수 있는 릴리즈 각의 활용은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horizontal distance, finally aim of javelin, through a simulation which was set by motion equations that need release angle and attack angle at release for initial conditions. These initial conditions were used experimental data from a male javelin thrower of national team. In conclusions, There were within 5.9% of a deviation between a horizontal distance attained by a thrower and one estimated in a simulation technique. Intial conditions as well as release velocity which was regarded as constant in this simulation effected on the horizontal distances estimated in a simulation technique. When the release velocity set as a constant, the horizontal distance of simulation was as varied as release angle and attack angle. It accordingly suggested that release angle which was controlled by throwers themselves could used i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