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성과분석 : 누리사업을 중심으로

        류장수(Ryu Jang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연구 Vol.20 No.1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Project(NURI). The NURI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Korean local universities for the past 5 years since 2004 with the government support totalling about 1 trillion won. In order to analyse the performance of the NURI project on the employment rate,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trends of the employment rates of NURI project teams and other comparable groups. And then this paper analysed the difference of the employment rates of NURI project teams and other comparable groups b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ain in terms of the average employment rate of NURI team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mparable groups. Second, repeated measures ANOVA also confirmed that the NURI project was successful in enhancing employment rates.

      • KCI등재

        특성화고 졸업자의 지역 이동경로 및 취업결정요인 분석

        류장수(Ryu, Jangsoo),조장식(Cho, Jangsik) 한국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연구 Vol.24 No.2

        This paper analyzed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employment path, and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For this aim, this study used the raw-data of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3’.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7.7%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apital region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t their jobs in the capital regions, and 91.6%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provincial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got their jobs in the provincial regions. Namely, the size of brain-drain was very small.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confirms that employm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s’ income, grade point average, but that employmen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her’s education level. Third, the monthly wage level of man turns out to b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woman, and the monthly wage leve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s’ income, grade point average. To get higher outcome in employme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 policy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policy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류장수(Ryu, Jang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연구 Vol.23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i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terminants of provincial brain-drain. For this aim, this study used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7.3%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provincial high schools have entered to capital region universities, and 34.2%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provincial universities have get their jobs in capital region. Namely, the size of brain-drain was very large. Second, people who stayed in provincial region get the job in smaller firm than brain- drainers toward capital region. And the monthly wage level of people who stayed in provincial region is less than that of provincial brain-drainers. Third, father’s education level, parents’ income, grade point average, score of Toeic turn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o decide provincial brain-drain. To keep provincial brain needs to increase decent jobs in provincial region.

      • KCI등재

        공공기관의 지방 인재 채용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류장수(Jangsoo Ryu),박성익(Sungik Park),조장식(Jangsik Cho),김종한(Jonghan Kim),곽소희(Sohui Kwak)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3 産業關係硏究 Vol.23 No.3

        지방의 우수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중요한 이유는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거나, 수도권 인재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 공공기관의 일자리는 대기업과 함께 괜찮은 일자리를 형성하는 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착안하여 과연 지난 5년 동안 공공기관들이 지방 인재를 어느 정도로 채용하였고, 그 채용규모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지방 인재 활용의 활성화 및 지역 발전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난 5년간 공공기관의 신규채용자 중 47.0%가 지방 인재이고 나머지 53.0%는 수도권인재였다. 정부의 권고 수치인 지방 인재 30% 채용을 달성하지 못한 공공기관 비중은 약 50%에 이른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평균 보수액이 높은 공공기관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방 인재의 채용 비율은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의 우수 고졸자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하는 원인의 하나로 작용했을 것이고, 그 결과 지방에는 우수 인재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기관의 지방 인재 채용할당제를 통해 지방대학에 우수 인재가 입학하고 이들 중 일부가 지방에 남아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major reason why excellent graduates from local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move to Seoul metropolitan area(=SMA) is either their preference for universities or a decent job in SMA. Jobs in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in the large companies constitute the mainstays of decent jobs. Based on this perception, we investigate how many provincial graduates have been employed in public institutions for the past five years and what determine the size of employment. This research will help invigorat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provincial graduate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past five years, provincial graduates accounted for 47.0 percent of the new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s while SMA graduates did 53.0 percent. The half of public institutions have employed provincial graduates less than 30 percent out of total new employees, which is the government’s recommendation level.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share of employing provincial graduates in public institutions located in SM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ublic institutions located in other provinces. It is also shown that the institutions which pay higher salary have a tendency to employ less provincial graduates.

      • KCI등재

        혼합모형을 이용한 특성화고 졸업생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류장수,조장식,Ryu, Jangsoo,Cho, Jang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3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임금은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1-수준)과 취업지역 수준의 산업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 자료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 구조가 되면,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다층구조를 갖는 위계적 선형모형이 전통적인 회귀모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수준의 총근로시간과 상용직의 평균임금이 개인수준의 임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그렇지 않은 졸업생에 비해서,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수준의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학교 만족도가 높고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수준의 산업특성을 고려한 랜덤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wage determina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utilizing both individual-level and work region-level variables. We formulate the models in the way wage determination has multi-level structure in the sense that individual wage is influenced by individual-level variables (level-1) and work region-level (level-2) variables. To incorporate dependency between individual wages into the model, we utilize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HLM model is better than the OLS regression models which do not take level-1 and level-2 variables simultaneously into account. Second, random effects on sex, maester dummy and engineering dummy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fixed effects on business hours and mean wage of regular job for level-2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dividual-level wages. Finally, parental education level, parental income, number of licenses and high school grad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igher individual-level wages.

      • KCI우수등재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Park, Sungik,Ryu, Jangsoo,Kim, Jonghan,Cho, Jang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4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of public agenci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the youth employment rate contains information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and the size of the youth employment. We use pooled tobit model and panel tobit model since dependent variable is a censored form observed only in a certai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nel tobit model i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compared to the combined tobit model. Second, the youth employment rate i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2014 and 2015 than in 2011. Third, the youth employment rate in public enterprises i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local public agencies. Finally, the higher the average wage is, the lower the youth employment ratio is.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국회의 공공기관 고용현황 조사, 알리오 (www.alio.go.kr) 및 클린아이 (www.cleaneye.go.kr) 등 4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기관별 청년채용 비율은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속변수 가 일정한 영역에서만 관찰되는 중도자료를 갖는 형태로서 통상적 최소제곱추정은 편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합동 토빗모형과 패널 토빗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 토빗모형에 비해서 패널 토빗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고,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의 청년채용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공기관에 비해서 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입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정원대비 정규직비율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소기업 청년인턴 취업자의 재직기간 분석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Park, Sungik,Ryu, Jangsoo,Kim, Jonghan,Cho, Jang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2

        취업자들이 재직기간이 경과하면서 이직 또는 실업 상태로 탈출확률 및 탈출요인 문제를 분석하는 것은 취업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취업자들의 이직 또는 실업으로의 탈출확률은 취업자의 개인특성뿐만 아니라, 직종 특성에도 영향을 받는 복수의 분석단위를 가지게 된다. 복수의 분석단위를 가지는 위계적 (hierarchical) 자료구조에서는 직종별로 공유되는 특성이 존재하게 되어, 동일 직종 집단 내의 상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업자 개인특성 (1-수준)과 직종 특성 (2-수준)의 위계적 자료구조 하에서 콕스의 비례위험 모형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중소기업 청년인턴사업에 참여한 취업자들의 재직기간 중 실직 및 이직으로의 탈출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집단 (인턴집단)이 통제집단 (비인턴집단)에 비해서 탈출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들이 여자들에 비해서 탈출할 확률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탈출할 확률이 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탈출확률이 낮으며, 직종별로는 관리사무 관련직에 비해서 전문 서비스 관련직의 탈출확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In general, employment duration is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vel-1) as well as type of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level-2). That is, the data has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sense that individual employment duration is influenced by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level-1) and the job-level (level-2) variabl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determinants of the employment duration of youth-intern in the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sing Cox's mixed effect model. Major results at level-1 variabl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hazard rate of treatment group i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the hazard rate of woman is lower than that of man. Also, the hazard rate is lower, for the older and the workers working in the bigger company. Investigation of level-2 variables has shown that random effect for job-lev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중소기업 청년인턴 이직횟수 결정요인 분석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Park, Sungik,Ryu, Jangsoo,Kim, Jonghan,Cho, Jang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청년인턴 DB와 고용보험 DB를 사용하여 중소기업 청년인턴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직횟수는 음수가 아닌 정수 값만 가지는 계수 데이터 (count data)이므로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계수 데이터에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포아송 회귀모형,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 등 4개의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최적모형으로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이 선택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 (비인턴집단)에 비해서 처리집단 (인턴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경험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작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경험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여자에 비해서 남자가 유의하게 이직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규모가 클수록 이직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the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job changes in the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youth-intern project is analysed, utilizing SMEs youth-intern DB and employment insurance DB. Since the number of job changes are count data which take integer values other than negative values, gener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comes inappropriate. Therefore, four models such as Poisson regression model, zero inflated Poisson regression model,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nd 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re tried to fit count data. A 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is selected to be the best model.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number of job changes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number of job changes turns out to b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young-age group than in the old-age group. Third, it is also shown that the number of job changes of man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woman. Lastly, the number of job changes in the bigger firm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smaller firm.

      • KCI등재

        부산지역 제조업 산업기술인력 현황분석 및 노동수요 전망

        박성익(Sungik Park),류장수(Jangsoo Ryu),전현중(Hyunjoong Jun),김종한(Jongha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8 産業關係硏究 Vol.18 No.1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21세기 신경제 시대에서 과학 및 산업기술 분야에서 역량을 갖춘 산업기술인력이 기술혁신의 주체자로서 국가 및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성공요소라는 인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의 제조업에서 산업기술인력의 실태를 파악한 후, 부산의 산업구조 변화에 부응하는 산업기술인력의 수요를 추정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자원부의 『산업기술인력 수급동향 실태보고서』에 의하면, 부산은 우리나라의 주력 기간산업 중에서 기계, 자동차, 조선산업(기계부품소재산업)에는 비교적 강점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IT산업에는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산지역 산업기술인력 수요전망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나리오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부산 제조업이 향후에 부산의 성장률을 지속할 경우에는 2020년의 산업기술인력 수요가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수보다 클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그 밖의 경우에는 오히려 소폭이나마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부산의 전략산업이 포함되어 있는 주요 제조업에서 산업기술인력의 수요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현재의 산업기술인력 종사자 수보다 클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산업기술인력 종사자 중에서도 과학공학 전문가와 과학공학 종사자의 수요는 높은 비율로 늘어나는 반면에, 기능원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기술인력 내에서 산업별 구조조정과 고부가가치화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가 있다.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industrial technology labor competitiv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industrial engineering plays a key role in enhancing national and firm competitiveness. This paper develops policy implication by analysing current status and forecasting the labor demand on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the Busan manufacturing sector. Major finding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port on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Busan is comparatively well endowed with industrial technology labor within the machinery, automobil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In contrast, Busan's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poorly endowed in the IT industry. Second, the demand forecast on industrial technology labor by several scenarios reveal that the results are sensitive to the scenarios adopted. For example, the demand for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year 2020 is forecast to be bigg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f Busan manufacturing industries continue to grow at the current growth rate. However, in other scenarios it is found that the demand for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Nevertheless, in all scenarios, in Busan's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including Busan's strategic industries, the demand for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s forecast to be bigg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labor.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s for the experts and the employe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reas increase at the higher rates, while the demand for mechanics shrink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dustrial restructuring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 and transforming of simple labor to the human capital who can create high value-added is desirable.

      • 부산 고용률 부진의 원인분석

        박성익(Sungik Park),류장수(Jangsoo Ryu),조장식(Jangsik Cho),김종한(Jonghan Kim) 한국사회경제학회 2021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겨울

        본 논문은 노동수요로는 인구구조와 지역 간 통근, 노동공급으로는 산업구조를 주목하여 각 요인들이 부산의 고용률 부진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의 고용률 부진은 단기간의 문제가 아닌 장기간의 고질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동공급의 측면에서 고용률 격차 분해 결과에 의하면, 인구구성비 차이 효과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은 크지 않고, 대부분이 고용률 차이 효과에 의하여 설명되는 것으로 드러나서 인구구성비 차이는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산에서는 통근으로 인한 순유출이 많아서 인근 지역으로의 통근이 부산의 주거지 기준 고용률 부진의 원인이 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업구조지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부산의 경우 산업구조지수 값이 전국 평균값보다는 낮지만, 전국 광역시도 중 중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나서 고용률 부진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패널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지역별 고용률 결정은 공급 측면에서는 남성비중이, 수요측면에서는 산업구조지수, 그리고 통제변수인 광역시 더미가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산의 고용률 부진은 광역시로서 남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산업구조가 고용을 창출하거나 유지하는데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population structure, inter-regional commut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on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Busan employment rate. Major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turned out to be a long-lasting and structural problem.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labor supply, decomposition of employment rate showed that the role of difference in population structure was insignificant to explain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And it was also shown that inter-regional commutation played no role to explain low employment rate of Busan since Busan recorded net-outflow of commuter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labor demand, industrial structure index of Busan was revealed to be slightly lower than national average but ranked the fifth out of 17 provinces. Lastly, panel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regional employment rates in Korea were positively affected by higher male proportion and higher industrial structure index.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Busan employment rate was due to low male proportion and inadequate industrial structure to create or maintain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