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태 임신에서 한 명의 태아 사망으로 인한 생존아의 다낭성 뇌연화증

        류기영(Ki Young Ryu),최병민(Byung Min Choi),송순영(Soon Young Song),오화은(Hwa Eun 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3

        The antepartum death of a fetus in a twin pregnancy may cause significant risk of mortality and morbidity in the surviving infant. Especially, one fetal demise of a twin pregnancy in the second or third trimester is an uncommon and difficult problem in the management of pregnancy. In this report, we present a case of single intrauterine death in a twin gestation diagnosed in the 27th week of pregnancy and the surviving fetus exhibits multicystic encephalomalacia three weeks later, antenatally.

      • KCI등재

        프로게스테론과 프로게스틴이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의 세포 고사에 미치는 영향

        류기영(Ki Young Ryu),박영준(Young Joon Park),권희선(Hee Sun Kwon),나영정(Young Jeong Na),조수현(Soo Hyun Cho),조삼현(Sam Hyun Cho),황윤영(Youn Yeung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대체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자궁이 있는 경우 프로게스테론 또는 프로게스틴 제재의 첨가는 필수적 사항이다. 그러나 프로게스테론 및 프로게스틴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효과는 계속 연구 중인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맥 경화 발생의 초기 단계로 여겨지는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 고사에 미치는 프로게스테론과 프로게스틴의 효과와 에스트로겐과 함께 투여된 프로게스테론과 프로게스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산부인과적인 합병증이 없는 반복제왕절개술을 시행받는 산모를 대상으로 태아의 분만 직후 무균적으로 탯줄을 채취하여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를 획득 하였다. HUVEC은 다음과 같은 9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배양하였다. 1군은 배양액만 투여한 대조군, 2군은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50 ng/ml, 3군은 TNF-α 50 ng/ml과 estradiol (E2) 1×10-7 M을 투여, 4군은 TNF-α 50 ng/ml과 progesterone (P4) 1×10-7 M을 투여, 5군은 TNF-α 50 ng/ml과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1×10-7 M을 투여, 6군은 TNF-α 50 ng/ml과 norethindrone acetate (NETA) 1×10-7 M을 투여, 7군은 TNF-α 50 ng/ml과 E2 1×10-7 M, P4 1×10-7 M을 투여, 8군은 TNF-α 50 ng/ml과 E2 1×10-7 M, MPA 1×10-7 M을 투여, 9군은 TNF-α 50 ng/ml과 E2 1×10-7 M, NETA 1×10-7 M을 투여하였다. HUVEC의 세포 고사의 정도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와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를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 MTT assay에서 TNF-α는 생존 세포의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여기에 E2, P4, MPA, NETA를 투여한 경우 생존 세포의 비율이 증가함을 발견하였고, E2와 P4, MPA, NETA 투여군 간에 TNF-α의 영향을 차단하는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E2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E2에 P4, MPA, NETA를 투여한 군에서 그 차단 효과 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실험에서 나타난 세포사가 세포 고사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FACS analysis에서 TNF-α에 24시간 노출되었던 HUVEC 세포는 44.0±2.6%의 세포 고사가 나타났으며, 여기에 E2와 P4, MPA, NETA를 투여한 경우 각각 28.4±2.9, 33.6±3.6, 35.7±1.3, 34.0±3.3%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세포 고사가 감소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E2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 MPA 투여군과 E2에 P4, MPA, NETA를 투여한 군에서 36.0±2.5, 36.3±1.9, 37.0±2.0%로 세포 고사의 억제가 E2 단독 투여군 보다는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0.05). 결론 : E2 뿐만 아니라 P4, MPA, NETA 역시 TNF-α에 의해 유도된 세포 고사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E2 단독 투여보다 P4, MPA, NETA를 함께 투여한 경우, HUVEC 세포의 세포 고사를 억제하는 E2의 효과를 감쇠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프로게스틴 제재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단독 효과 및 상호간의 작용을 평가해야 하고, 이에 본 연구가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addition of progesterone/progestin is mandatory in women with intact uterus for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owever, debate is continuing on whether there is an impact of progesterone/progestin on th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cardiac prot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gesterone/progestin and combination with estrogen on the apoptosis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n initi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aterial and methods :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were cultured. HUVEC apoptosis was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50 ng/ml). 10-7M of estradiol (E2), progesterone (P4),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and norethindrone acetate (NETA) were added in to the culture media. The percentage of apoptotic HUVEC were measur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Results : MTT assay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ercent of survival cells after 24 hours of TNF-α exposure and a reversal of the effect of TNF-α with E2 treatment. P4, MPA and NETA treatment also reversed the effect of TNF-α. The protective effect of E2 and P4 were not different. Compared to the E2 treatment, the percent of survival cell were decreased when P4, MPA and NETA were added to E2 treatment, respectively. Similarly, FACS analysis revealed 44.0±2.6% apoptosis after 24 hours of TNF-α exposure. Treatment with E2 resulted a significant decrease (28.4±2.9%, p<0.05) in apoptosis. P4 (33.6%±2.6%, p<0.05), MPA (35.7±1.3%, p<0.05), NETA (34.0±3.3%, p<0.05) treatment also showed a reduction of cell death. The percent of apoptotic cells between E2 and MPA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ddition of P4 (36.0±2.5%), MPA (36.3±1.9%) and NETA (37.0±2.0%) to E2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 of apoptotic cells compared to those of E2 treatm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estradiol, but also progesterone, MPA and NETA inhibited HUVEC apoptosis. But the effect of estrogen on the inhibition of HUVEC apoptosis was attenuated in combination treatment of estrogen and progesterone/progesti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자연 조기 분만과 Interleukin-1β 및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

        김세련 ( Se Ryun Kim ),박영준 ( Young Jun Park ),류기영 ( Ki Young Ryu ),김종욱 ( Jong Wook Kim ),송은섭 ( Eun Seob Song ),이병익 ( Byung Ick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조산은 영아 사망 및 이환의 중요한 인자이나 원인 및 기전이 여전히 명백하지 않다. 최근 여러 원인 중 염증과 관련있는 cytokine의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여 한국 여성에서도 interleukin-1β및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의 유전자 다형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정상 분만군 33명과 조산군 27명을 대상으로 IL-1β+3953과 IL-1 Ra의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중합 효소 연쇄반응 및 제한 절편길이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정상 분만군과 조산군의 연령, 산모 체중, 임신력 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태 연령,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IL-1β+3953은 135 bp/114 bp와 249 bp/249 bp 두 가지 유형을 보였는데 유전자형의 빈도 및 대립 유전자 빈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82, p=0.162). IL-1 Ra는 410 bp, 240 bp, 500 bp, 325 bp, 595 bp의 다섯 가지 유전자형을 보였는데 유전자형의 빈도 및 대립 유전자 빈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01, p=0.094). 결론: IL-1β+3953과 IL-1 Ra는 정상 분만과 조산군 간의 유전자 다형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Preterm birth is an important cause of infant death and morbidity but its pathophysiology still remains to be clear. The associations between preterm birth and the polymorphism of interleukin-1β gene and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gene have been suspected. And ethnic variations in the polymorphism of the genes were also reported. We decided to study polymorphisms of interleukin-1β+3953 and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in Korean pregnant women.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1 is the control group of 33 subjects with uncomplicated term delivery : group 2 is the case group of patients who had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Polymorphisms were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etween two groups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otypic frequencies and allelic frequencies in interleukin-1β+3953 between two groups.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gene had 5 alleles and the most frequent allele was IL1RN*1 (410bp), 66.7% in control group and 77.8% in case grou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enotypic frequencies and allelic frequencies between two groups, too.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lymorphisms in interleukin-1β +3953 and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between term delivery group and preterm birth group.

      • KCI등재
      • KCI등재

        자궁 근종의 치료로 자궁동맥색전술 시행 후 3년간 임상 경과의 변화

        서형진 ( Hyoung Jin Sou ),김세련 ( Se Ryun Kim ),박영준 ( Young Joon Park ),장형선 ( Hyoung Sun Jang ),류기영 ( Ki Young Ryu ),김종욱 ( Jong Wook Kim ),송순영 ( Soon Young S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자궁 근종 환자에게 자궁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후 약 3년 간의 추적 관찰 도중 증상의 호전 여부와 자궁 및 근종의 크기 변화를 알아보고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써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5년 동안 질식 초음파 및 MRI를 통해 자궁 근종이 진단된 환자로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고 외래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5명을 대상으로 자궁의 용적, 근종의 용적 변화, 증상의 호전 여부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궁의 용적은 시술 3개월 후 147 cm3 (-27%, P=0.0238), 6개월 후 167 cm3 (-22%, P=0.0072), 3년 후 154 cm3 (-27%, P=0.0082)로 용적이 감소되어 있었고, 근종의 용적은 시술 1개월 후 66 cm3 (-59%, P=0.0070), 6개월 후 41 cm3 (-55%, P=0.0014), 3년 후 65 cm3 (-60%, P=0.0445)로 용적이 감소되었다. 3년 경과 후에도 20명의 월경과다 환자 모두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으나, 생리통 및 하복통을 호소하던 환자 9명 중에서 2명 (22%)은 시술 전, 후 증상의 개선이 없었다. 결론: 자궁 동맥 색전술 시행 후 3년간 관찰한 결과, 자궁 용적 및 근종의 용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이며, 근종과 관련된 증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our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uterine artery embolization as primary treatment for symptomatic uterine fibroid Methods: From December 1999 to December 2004, 25 patients underwent uterine artery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uterine fibroi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regular intervals (at 1st, 3rd, 6th month and annual) for 3 year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about 41 month (range; 41±15). During follow-up period, consecutive uterine and fibroid volume, and symptoms were checked. Results: The uterine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27% (P=0.0238) after 3month. And the fibroid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59% (P=0.0070) after 1month. The uterine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27% (P=0.0082) after 3 years. And the fibroid volum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60% (P=0.0445) after 3 years. All women reported noticeable improvement of menorrhagia after complete of follow up. But, two of nine women who had symptoms of dysmenorrhea or lower abdominal pain, showed no changes in symptoms Conclusion: Uterine artery emboliza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symptoms, and substantially reducing uterine and fibroid volume with few complication after 3 years. However, long term follow-up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efficacy of this procedure.

      • KCI등재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의 원추절제술 후 절제 변연부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정차남 ( Cha Nam Jung ),오나정 ( Na Jung Oh ),류기영 ( Ki Young Ryu ),오화은 ( Hwa Eun Oh ),김우영 ( Woo Yo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2

        목적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후 절제 변연부 침범 소견을 보일 때 병변의 중증도가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절제 변연부 침범과 재발 및 잔류종양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으로 진단된 환자 20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원추절제술 후 환자는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거나 3-6개월 간격으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통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질확대경하에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재발은 CIN I 이상의 조직 소견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CIN으로 진단된 환자 202명 중 CIN I은 46명(22.8%), CIN II는 35명(17.3%), CIN III는121명(59.9%)이었다. 절제 변연부 침범 소견을 보인 환자는 67명(33.2%)이었고 CIN I은 7명(10.4%), CIN II는 14명(20.9%), CIN III는 46명(68.7%)으로 CIN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절제 변연부의 침범 빈도가 증가하였다(P = 0.009).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28명(13.9%)으로 절제 변연부 침범이 없었던 환자는 13명, 절제 변연부 침범이 있었던 환자는 15명이었고 각각 7명(53.8%)과 5명(33.3%)에서 잔류 병변이 존재하여 절제 변연부의 침범 여부와 잔류종양의 유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 = 0.445).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174명으로 이 중 절제 변연부 침범을 보인 3명(3/52, 5.7%)과 절제 변연부 침범을 보이지 않은 2명(2/122, 1.6%)의 환자에서만 재발을 보였다(P = 0.335). 결론 CIN 환자에 있어 병변의 중등도가 심할수록 절제 변연부 침범이 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절제 변연부의 침범이 있다 하더라도 실제적으로 잔류 병변이 없는 경우가 더 많으며 절제 변연부의 침범 여부가 재발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변연부 침범소견을 보이는 경우라도 지속적 추적관찰만 잘 이루어 질 수 있다면 CIN의 치료로 충분하다 할 수 있겠다. 또한 절제 변연부의 침범이 없는 경우에도 잔류종양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깊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resection margin status after conization and severity of dysplasia and to evaluate the risk of residual disease and recurrence for positive resection margin after coniz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and histopathological records of 202 patients who underwent conization that reveale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t Myongji Hospital,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etween November 2003 and February 2011. Patients were followed up every three to six months with cervicovaginal smears, and suspected cases of recurrence were subjected to colposcopy and biopsy. Results A total of 202 patients underwent conization (46 [22.8%] with CIN I, 35 [17.3%] with CIN II, 121 [59.9%] with CIN III) and were enrolled this study. The cone resection margin involved in 33.2% (67/202) of the patients (7/67 [10.4%] with CIN I, 14/67 [20.9%] with CIN II, 46/67 [68.7%] with CIN III). The frequency of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after conization was higher with increasing severity of CIN (P = 0.009). Hysterectomy was performed in 28 patients (13.9%). The incidence of residual disease was 53.8% (7/13) in resection margin free group and 33.3% (5/15) in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group (P = 0.445). There were three (3/52, 5.7%) recurrence in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group and two (2/122, 1.6%) recurrence in resection margin free group (P = 0.335). Conclusion The risk of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after coniz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severity of CIN. However, the women with involvement of resection margin after conization often have no residual diseas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urrence between the resection margin status. Therefore, patients whose resection margins were involved after conization could be managed conserva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