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李澤厚의 정감본체론(情感本體論)

        류근성 ( Geun Sung Ry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2 감성연구 Vol.5 No.1

        이 글은 이택후의 정감본체론의 내용과 구조 및 그 의의를 고찰한다. 이택후는 중국의 문화전통, 특히 유가철학의 본령이 情에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정(감)은 문학과 예술에서 다루어왔으며, 철학에서는 이성을 인간의 본질적 요소로 간주하여 이성적 인간, 이성의 철학을 추구해왔다. 전통철학은 이성에 대한 강조와 탐구를 주된 과제로 삼았고, 정감은 이성의 지배와 통제의 대상으로 여겼다. 그들이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은 정감적 인간이 아닌 이성적 인간이었다. 공자의 철학은 중국 문화심리구조의 형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는데, 그 특징은 인성과 정감의 함양을 중시하고 욕구와 이치의 융합과 통일을 중시하는 데 있다. 유학은 부모와 자식 사이의 자연적 혈연 정감에 기초한 효를 모든 인간관계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각종 사회적, 종교적, 국가적 감정으로 확장해가는 동심원적 구조를 갖는다.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 사이의 따뜻한 감정의 함양을 특별히 강조하고, 이를 인성의 뿌리, 질서의 근원, 사회의 기초로 삼는다. 그리고 가정 중심의 가치관을 인간적 감성의 층위에 놓고 그것을 교육의 근본 내용으로 삼는다. 이 논문의 2장에서는 이택후 철학사상의 지반을 구성하는 역사본체론과 실용이성을 다룬다. 인간과 인류의 근본은 육체적 생존,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구의 제작과 사용, 노동과 실천, 물질적 생산이 함께 결합하여 역사를 형성했다. 이러한 역사발전과정에서 발생하고 발전한 문제해결능력이 실용이성이다. 그러므로 이성은 초월적이거나 선험적 능력이 아닌 인류가 생존하고 생활을 개선하는 능력이다. 3장에서는 역사본체론의 관점에 송명이학을 고찰한다. 송명이학은 심성을 정감과 분리시켜 추상적?선험적?초월적 이성으로 나아감으로써 근본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4장에서는 중국 문화심리구조의 情理一구조, 즉 정본체가 중국문화와 철학의 근간임을 규명한다. 유학은 심리적 정감원칙을 윤리학뿐만 아니라 세계관과 우주론의 기초로 삼고 있다. 5장에서는 이러한 정감에 기초한 심미적 즐거움의 문화를 살펴본다. 이 즐거움의 문화는 실용성과 정감본체가 만나 이루어진 심미적 삶과 지혜를 담고 있는 문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Li Zehou`s emotion fundamental theory. Li Zehou suggest that China`s cultural traditions, particularly the core of Confucianism is a emotion. Traditionally, the emotion has been addressed in the literature and the arts. In philosophy, human reason is considered to be the essential elements of Humanbeing, and has pursued a rational human beings, a philosophy of reason. Traditional emphasis on reason and investigated it. They sought was not an emotional man but a rational man. Neo-Confucianism of Sung-Ming period has the philosophical ground of dichotomy. They sought the basis of morality and reason in the transcendental and transcendent Tian-li. Confucian philosophy has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Chinese culture-psychological structure. Its characteristic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and emotion and desire, the sense of the convergence and unification of needs and principles. Confucianism start from a natural ki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based on emo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all human relations. And has a concentric structure that expand it to the social, religious, national feelings. Confucianism especially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warm emo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t home, and regarded it as the roots of human nature, the source of order, the foundation of society. Chapter 2 of this paper investigate Li Zehou`s history fundamental theory and practical reason. Chapter 3 of this paper investigate Neo-Confucianism of Sung-Ming period. They eventually failed because they separate human nature and emotion. Chapter 4 of this paper explain that emotional sense is the foundation of Chinese culture and philosophy. Chapter 5 of this paper look at the culture of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culture is the culture containing the joy and wisdom of life, also include religious nature. The emotion-fundamental theory gives one of the implications that we have to move on.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논문 : 실용주의적 『논어』읽기 -리쩌허우의『논어금독(論語今讀)』을 중심으로-

        류근성 ( Geun Sung Ryu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3 No.-

        이 글은 리쩌허우(李澤厚)의 『論語今讀』을 텍스트로 하여 거기에 나타난 『논어』 해석의 관점들을 실용주의적 독법으로 재구성하고, 나아가 이러한 실용주의적 독법이 공자와 『논어』의 본래 정신에 더 접근하고 있고 더 나은 관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논어』의 실용주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어』는 이 세상의 삶을 중요하게 여기는 현실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삼고 있다. 『논어』의 비이원론적, 비형이상학적 관점은 이 세상과 저 세상, 혹은 현세와 천국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이 아닌 하나뿐인 세계라는 관점을 전제하고 있다. 둘째, 『논어』는 학습과 실천, 경험, 실용을 중시하고 이를 역사에 대한 존중으로 연결하는 역사주의적 특성이 있다. 『논어』는 하나뿐인 이 세상에서 존재의 사유 문제보다는 행위와 실천의 문제를 중시하여 학습과 경험, 성장과 발전을 강조한다. 이는 과거의 역사 경험을 존중하는 역사주의적 태도로 연결되므로 실용이성은 역사이성과 동일한 함의를 갖는다. 셋째, 『논어』는 세계를 변화와 생성, 우연성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는 인간의 능동성과 주체성을 강조한다. 이처럼 『논어』는 죽음과 내세, 본성과 천명, 초월, 순수이성과 추상적 논리 등의 같은 본질주의적 성격보다는 현실세계에서의 학습과 경험, 그리고 그 역사를 존중하고 중시하며, 변화와 우연성을 긍정하고 포용하는 과정적, 다원주의적, 비본질주의적, 반정초주의적 입장을 취한다는 점에서 실용주의와 친화성을 갖는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언제 어디서나 모든 상황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 일반원리보다 구체적 상황에서의 문제 해결과 이를 위한 풍부한 상상력이다. 이렇게 볼 때, 실용주의적『논어』독해는 개인의 감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원주의적 현대사회의 가치정신을 담아낼 수 있는 점에서 유학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 about the possibility of pragmatic comprehens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Reding the Analects today and insist that pragmatic comprehension is the better comprehens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ects of Confucius build on the realistic perspective that take seriously the life of this world. It Second, The Analects of Confucius emphasize practical education and learning, practice, experience. History reason and practical reason have a same meaning because they respect the experience of the history of the past. Third, The Analects of Confucius looks at the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hange and the contingency. Therefore it highlight the activeness and subjectivity of human. The world are not able to predict and control by human power, we must overcome the contingency of the outside world through inner subjectivity.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similar to pragmatism that emphasize practical education and learning, practice, experience. history.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erms of Pragmatism is suitable for the pluralistic modern society which Individual`s feelings and diversity is respected. Therefore pragmatic reading is the correct, new way that read The Analects of Confuc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