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의 대학 평가 연구

        류경숙(Ru Kyoung-Su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6 韓國敎育論壇 Vol.5 No.1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대학의 평가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학의 질적 교육이 시대적으로 커다란 전환기를 맞은 오늘날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그들의 대학평가는 20세기의 80년대 초에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대학의 형성에 상당히 오래된 역사를 지닌 것과 달리 중국에서의 대학평가는 대략적으로 20여년의 길지 않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대학평가와 관련하여 대학평가를 위한 기구조직, 평가모형 등 각 방면에서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며,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교육의 질 검증 수단으로 평가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관련된 중국 대학평가의 전반적인 발전과정(정부평가중심)과 평가모형의 발전과정을 간략히 소개하고, 현 중국의 대학평가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 과제를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University evaluation in China stated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In the past twenty years, Chinese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has got well development in the organizing, system constructing and theory research.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ion model of university evaluation in China. The study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logical process: theoretical basis, index system, and comprehensive comparison. Based on the objective and all-sided analysi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activities in China,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university evaluation by government and society in China. Different evaluation purposes and positions determine different features and highlight. For instance, the former stresses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university input, process and consequence; while the latter pays more attention to serving customers and reflecting social values. In conclusion, Chinese government evaluation and society evalu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reflecting social requirements and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society. Meanwhile, there are still problems unresolved, such as the comparability of the evaluation contents, lack of awareness of evaluation and independence of more objective evaluation index system, make the evaluation subject more diverse and make full use of evaluation result are important domains of further research in university evaluation activities.

      • KCI등재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류경숙(Ru, kyoung suk),전춘련(Quan, ChunLi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사례 연구, 비교 연구, 면담 방법 등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소재 메이커 모델학교인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 및 비교 분석을 하였고, 메이커 교육 관련 담당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2021년 6월 7일부터 7월 6일까지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 면접(FGI)을 진행하였다. 결과 교육 내용(프로그램) 편성⋅운영 측면에서, 4개 학교 모두 각 학교의 특성과 교육목표에 맞추어 정규교과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각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정규교과에 맞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 편성, 창의적 체험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기존의 특정 공간을 메이커 교육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경하여 수요에 맞는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시설을 정비하였다.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및 역량강화 측면에서, 전문가들을 통한 디지털 기기 활용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수, 기존의 교사에 대한 재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운영 성과 공유⋅확산(환류) 측면에서는, 메이커 교육 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메이커 교육의 성과와 결과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성과나 결과에 대한 평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결론 메이커 교육은 정규교육과정과 연계한 다양한 교육 내용(프로그램)을 개발함과 동시에 메이커 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정부, 학교, 지역사회는 공동으로 메이커교육의 결과 및 성과를 공유⋅확산(환류)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revitalize maker education to strengthen competency by deriving problems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case analysis on maker education. Methods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y, comparative study and interview methods were utilized.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model schools for case study.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rom June 7 to July 6, 2021 using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for maker education officials and experts. Results In terms of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 four case schools hav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 and carried out cre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each school, combined with the regular curriculum oper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ch school to strengthen the students competencies. In term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e existing specific space was changed into a space for maker education, and new professional facilities were improved to meet the need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trength, experts were invited to re-educated the teachers while using of digital machines and also the schools developed various projects to provide training to teachers. In terms of sharing and spreading(feedbacking)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various programs were designed to share with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promote maker education culture. But so far, the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r outcomes has not been established. Conclusions Maker education should develop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programs) linked to regular curriculum while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o spread maker education. In addition, teachers expertise and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revitalize maker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and the government, schools and communities should jointly share and disseminate the results and performance of mak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