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도종수 ( Jong Soo D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발전하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진흥센터에서 실시한 2009 청소년활동 욕구 및 실태조사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중고등학생 2827명 가운데 61.0%의 청소년들이 지난 1년 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청소년들 가운데 ``스스로`` 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선생님 권유``나 ``단체로`` 참가한 경우에 비해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재미가 없어서``, ``보람이 없어서`` 등이었다. 자원봉사활동 참여자들이 삶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스스로`` 참여한 청소년과 봉사활동에 대해 만족한 청소년들이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았다. 자원봉사활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삶의 행복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삶의 행복감과 생활만족도 모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스스로 참여한 청소년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활동 참여 기회의 증대, 다양하고 재미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봉사활동 수요와 공급의 균형화, 자원봉사활동 사전교육의 실시, 자원봉사활동의 공정한 기록, 자원봉사활동 의무시간의 조정 등 기록과 활용 방법의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youth voluntary service, the effects of voluntary service on subjective happiness, and suggests strategies to activate youth voluntary services. The survey for 2009 Youth Activity of Kores Youth Service Center was reanalyzed. Among 282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Korea, 61% have participated in a voluntary service during the last year. Among them, students who participated ``by themselves`` are more satisfied with voluntary service than those who participated by ``teachers`` ``guide`` or ``by group``.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are ``dull`` and ``not worthwhile``. Higher subjective happiness is answered among the participants, especially ``by themselves`` participants and satisfied participants. These findings are also suppor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Youth voluntary service particip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happiness in present life. Voluntary service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measures of happiness: happiness in present life and life satisfaction. Suggested strategies to vitalize youth voluntary services are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voluntary services, make students have fun in the service, balance the supply and demand for the service, utilize pre-education sessions, implement fair record keeping, and adjust compulsory service hours.

      • KCI등재

        청소년활동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도종수 ( Jong Soo Do ),성준모 ( Jun Mo S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와 서울대학교에서 수행한 ``2008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2~18세 중·고등학생 2,070명으로 구성된 전국표본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중고등학생 2,070명을 분석한 결과 76.9%의 청소년들이 한 가지 이상 유형의 청소년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활동 경험은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가지 사회성 하위요소 중 성취동기, 공동체성, 대인관계, 자존감, 낙관성, 행복감, 자신감 등의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표현, 자기관리, 문제해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만족은 사회성 하위 10개 요소 모두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인 경우 사회성 요소중 자기표현, 성취동기, 공동체성, 대인관계, 자기관리, 자신감 등이 높은 반면에 남학생들은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자기표현, 성취동기, 공동체성, 자기관리, 자신감, 문제해결 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소도시/농어촌 거주자인 경우 자존감과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과 성적은 자신감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활동 유형에 따라 사회성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것으로 보인다. 모험개척활동은 대인관계 외에 다른 사회성 하위요소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업능력활동과 정책참여활동은 문제해결은 증진시키나 공동체성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자녀의 원만한 관계와 학교생활만족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활동의 유형과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발달시키고자하는 사회성의 하위요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청소년활동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youth actvity on sociality development, using the data of 2008 Korea Youth-Children Survey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which has a national sample of 2,070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2-18 years. 76.9% of the respondents have participated any of 10 types of youth activity during the last year.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youth activity enhance the sociality of participants. Of 10 components of sociality, achievement motivation, community spirit, interpersonal relation, self-respect, optimism, happiness, confidence are enhanced by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activity, however, does not affect self-expression, self-management and problem-solving. Among control variables,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have strong effects on sociality development. Female students have higher scores on self-expression, achievement motivation, community spirit, interpersoanl relation, self-management, and confidence, whereas male students are higher on happiness.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on self-expression, achievement motivation, community spirit, self-management, confidence, and problem solving. No difference is shown by the area of residence, but family income and school grade enhance confidence. The type of youth activity makes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ociality development. Adventure activity affects only interpersonal relation. Job related activity and policy making activity enhance problem solving, but not community spirit. Findings confirm that parent-child relation and school life are important contributors of sociality development. Youth activity type and program are to be selected based on desired component of social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s of youth activity effective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