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압 균질기를 이용한 세라마이드가 함유된 나노에멀젼 제조 및 안정성 평가

        마르셀죠나단히다잣 ( Marcel Jonathan Hidajat ),노종호 ( Jongho Noh ),박종범 ( Jongbeom Park ),홍재화 ( Jaehwa Hong ),김현효 ( Hyeonhyo Kim ),조완택 ( Wantaek Jo ) 한국화학공학회 202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8 No.4

        본 연구에서는 고압 균질기를 이용해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물성변화 및 장기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고압 균질기 압력 및 통과 횟수를 변화 시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평균입자, 입도분포, 제타전위 그리고 점도를 측정하였다. 고압 균질기 압력이 높고 통과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입자는 작아지고 입도 분포는 조밀하였지만 일정 조건이상에서는 표면에너지 및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입자간 재결합이 확인되었다. 평균입자가 작을수록 점도 값은 높았지만 제타전위 값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제조된 나노에멀젼을 25 ℃와 45 ℃로 유지시키며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7일 이후)에 재결합 현상으로 평균입자가 커진 후 유지되었지만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고압 균질기를 이용해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안정적인 나노에멀젼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 ceramide-containing nanoemulsion was synthesized by using a High-Pressure Homogenizer (HPH) to observe its changes in properties and long-term stability. The droplet size, droplet distribution and zeta potential of nanoemulsion were examined by varying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passes of the HPH. The increase in HPH pressure and number of passes decreased the average droplet size and made the nanoemulsion more uniform. However, beyond certain operating condition, the recombination between the droplets was confirmed due to droplet surface energy and emulsifier.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decrease in droplet size increased the nanoemulsion viscosity although only minimal changes occurred in the zeta potential. The formed nanoemulsion was then tested for its stability by storing it at 25 and 45 ℃ for 28 days. During the first week, the average droplet size increased due to recombination and then subsequently remained constant. We confirmed that ceramide nanoemuls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 could be synthesized by using HPH.

      • 수송용 DPH HVAC 히팅유니트장치의 열유동 시뮤레이션평가연구

        노홍구(Hongkoo Roh),임경빈(Kyungbin Lim),노종호(Jongho Noh),이영기(Youngki Lee) 대한설비공학회 200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2

        The study aims to analyzed and identify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eating unit for room using 3-D numerical-analysis in order to design heating unit. The temperature comparison processes were done with various numeric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optimal conditions of heating unit design were proposed as inlet temperature, the inlet flow, heater power, and vessel size.

      • KCI등재

        노인 대퇴골 전자간 안정형 2분 골절에서 2공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

        이경훈 ( Kyung-hoon Lee ),한석구 ( Suk Ku Han ),정승재 ( Seung-jae Chung ),노종호 ( Jongho Noh ),이기행 ( Kee-haeng Lee ) 대한골절학회 2016 대한골절학회지 Vol.29 No.3

        목 적: 노인 대퇴골 전자간 안정형 2분 골절로 2공 측면 금속판 역동적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수술 후 그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에서 수술 후 6개월 이상 추시한 65세 이상 환자50예를 분석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피부 절개 길이, 수술 시간, Clawson 보행 능력 상태, 방사선적 평가로 Fogagnolo 정복상태, tip-apex distance (TAD), Cleveland index, 지연나사 활강, 골유합, 합병증을 측정하였다. 결 과: 피부 절개 길이 평균 9.8 cm (범위, 8-13 cm), 수술 시간 평균 41.4분(범위, 30-60분), 총 32예가 술 전 보행능력을 회복하였다. 골유합은 48예에서 평균 10.6주(범위, 8-16주)에 얻었다. 술 후 정복상태는 good 46예, acceptable 3예, poor 1예, 평균 TAD 18.9 mm (범위, 9.0-24.9 mm), Cleveland index 5구역 45예, 8구역 3예, 6구역 2예, 지연나사 활강평균 길이 4.9 mm (범위, 0.1-19.4 mm)였다. 합병증은 불유합 1예, 불유합 및 감염 1예 있었다. 결 론: 2공 측면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는 보행 능력 회복 및 골유합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outcomes of elderly patients with stable 2-part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s surgically treated using dynamic hip screw with 2-hole side pla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8 to January 2014, 50 patients older than the age of 65 years, who had been followed-up for more than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St. Mary’s Hospital were enrolled. A clinical evaluation of the skin incision length, operating time, and ambulatory status, using Clawson’s Ambulation Capacity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and a radiologic evaluation of Fogagnolo reduction quality, tip-apex distance (TAD), Cleveland index, sliding extent of lag screws, time duration till bony union, and complications was also done. Results: The mean skin incision length was 9.8 cm (range, 8-13 cm), the mean operating time was 41.4 minutes (range, 30-60 minutes), and 32 patients recovered their ambulatory function. Forty-eight patients gained bony union, and the time lapsed till union was average 10.6 weeks (range, 8-16 weeks). The evaluation of postoperative radiologic images showed the following reduction statuses by the Fogagnolo classification: 46 cases of “Good”, 3 cases of “Acceptable,” and 1 case of “Poor.” Moreover, the mean TAD was 18.9 mm (range, 9.0-24.9 mm). While 45 cases fit into the zone 5 of the Cleveland index, other 3 were within zone 8 and the other 2 were within zone 6. The mean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s were 4.9 mm (range, 0.1-19.4 mm). There were a case of nonunion and a case of periprosthetic infection with nonunion as complications. Conclusion: Using dynamic hip screws with 2-hole side plate for stable 2-part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with respect to the recovery of ambulatory functions and bony union.

      • KCI등재

        이중 오프셋 티타늄 테이퍼 스템을 사용한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7년 추시 결과

        이경훈(Kyung-Hoon Lee),이기행(Kee-Haeng Lee),노종호(Jongho Noh),고성준(Seong-Jun K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이중 오프셋 티타늄 테이퍼 스템을 사용한 무시멘트형 일차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7년 추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에서 이중 오프셋 티타늄 테이퍼 스템을 사용한 무시멘트형 일차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7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2예(84명)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Harris 고관절 점수, 대퇴부 동통, 수술 부위 소음,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는 삽입물의 안정성과 위치, 대퇴 피질골 비후, 골용해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102예(84명) 중 남자 47명, 여자 37명, 평균 나이는 55.9세(범위, 27-79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99.2개월(범위, 84-132개월)이었다.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53.8점(범위, 26-75점)에서 술 후 93.5점(범위, 74-100점)으로 향상되었다(p=0.000). 최종 추시상 수술 중 근위 대퇴부 골절 2예를 포함한 모든 예에서 안정된 골성 고정을 얻었다. 대퇴거 재형성은 94예가 있었으나 대퇴 스템의 안정성과 무관하였다. 대퇴 피질골 비후는 12예, 대퇴부 동통은 4예 있었으며 관련성은 없었다(p=0.067). 관절운동 시 소음은 1예 있었다. 초기 술 후 고관절 탈구가 1예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는 비구측 삽입물의 과도한 전염각에 의한 것으로 비구측 삽입물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세라믹 삽입물의 골절은 없었다. 이소성 골형성은 2예 있었다. 결론: 이중 오프셋 티타늄 테이퍼 스템을 사용한 무시멘트형 일차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7년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및 방사선적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midterm results of cementless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using a dual offset titanium tapered stem.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02 cases (84 patients), with a minimum of 7-year clinical follow-up, was performed. All of the cases consisted of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cementless THA, using a dual offset titanium tapered stem i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St. Mary’s Hospital between July 2004 and May 2009.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via the Harris hip score, level of thigh pain, squeaking around hip joint, and complication rate. Radiologic results were examined with stability and location of inserted prosthesis, hypertrophy of femoral cortex, and osteolysis. Results: Out of the 102 cases (84 patients; 47 males and 37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55.9 years (range, 27–79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of 99.2 months (range, 84–132 months).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53.8 preoperatively (range, 26–75) and improved to 93.5 postoperatively (range, 74–100) (p=0.000). All of the cases gained stable bony fixation on the final follow-up, including 2 cases of intra-operative proximal femur fracture. Calcar remodeling was observed in 94 cases, however, they were irrelevant with stem stability. Cortical hypertrophy of femur was seen in 12 cases and thigh pain in 4 cases; nonetheless, they were not relevant (p=0.067). There was 1 case of squeaking sound during joint movement. Hip dislocation occurred in 1 case early after the procedure, but the event was due to excessive anteversion of the acetabular cup, in which a revisional replacement procedure of the acetabular cup was conducted. No sign of ceramic breakage was observed. There were 2 cases of heterotrophic ossification. Conclusion: Results from a 7-year follow-up of cementless THA using dual offset titanium tapered stem were encouraging in both clinical and radiologic eval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