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직무지침 개발

        노유자,한성숙,유양숙,용진선,Ro, You-Ja,Han, Sung-Suk,Yoo, Yang-Sook,Yong, Jin-S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직무지침을 개발하여 앞으로 호스피스 제도화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관련 국내외 문헌고찰을 토대로 호스피스팀 구성원의 직무 지침안을 설정하여 직무지침에 대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2차에 걸쳐 전문가에게 우편 설문조사하였다. 1차 조사는 1999년 1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국내 호스피스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 및 호스피스 전문가 126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 조사는 2000년 8월부터 10월까지 35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조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결과 : 1차 조사에서 호스피스 조정자, 간호사, 사목자, 사회복지사, 약사, 영양사, 치료사, 자원봉사자, 그리고 간호 조무사의 역할과 자격은 CVI가 80.0점 이상인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의사의 자격 중 '마취제 관리 자격증을 소지한 자' 문항은 78.6점 이었고, 자원봉사자 팀장의 자격에서 '대학 이상의 학력소지자' 문항은 74.7점 이었으므로 제외시켰다. 2차 조사에서 호스피스 간호사, 사목자, 사회복지사, 약사, 영양사, 치료사, 자원봉사자, 그리고 간호 조무사의 역할과 자격은 CVI가 80.0점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호스피스 조정자의 역할 중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영적 상태를 진단하고 계획한다' 문항이 77.9점이었고, 자원봉사자 팀장의 역할 중 주 1회 팀회의에 참여하고 대상자를 위한 공식적인 간호계획에 참여한다'가 78.6점이었으나 1차에서 80점 이상이었기 때문에 포함시켰다. 결론 : 개발된 직무지침을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는 과정과 한국 실정에 적합한 호스피스 팀 구성원의 직무지침 표준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ask guidelines for hospice team members. The task range of all personnel who work for hospice institutions was identified, and a tool describing roles and tasks of the hospice team members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thods :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 was assured by an expert panel through two phases of discussio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included a survey conducted from December 1999 to January 2000 for a total of 126 hospice experts and practitioners affiliated with domestic hospice institutions.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included 35 subjec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when the investigators visited each hospice institu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1)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all items scored over 80 points in CVI were selected as the roles and tasks of hospice coordinator, nurse, pastor, social worker, pharmacist, nutritionist, therapist, volunteer, and nurse aide. However, two items were excluded because they scored below 80 points: an item describing eligibility of a physician, a person who has a license for managing anesthetic agents was scored as 78.6 points, and an item describing the eligibility of the team leader of volunteers, a person educated at the graduate level was scored as 74.7 points. 2)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all items scored over 80 points in CVI were selected as the roles and tasks of hospice nurse, pastor, social worker, pharmacist, nutritionist, therapist, volunteer, and nurse aide. Of the roles of the hospice coordinator, however, the item scored as 77.9 points, assess and plan a patients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spiritual status, and, of the roles of the team leaders of volunteers, the item scored as 78.6, attend a team meeting once a week and participate in building an standard nursing plan fo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tool since they scored over 80 points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Conclusion : The developed task guideline should be further modified and revised based on the findings of a preliminary application in the actual field. There is also a need of continuous research for developing more culturally-appropriate task guidelines for hospice team members.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노유자,안영란,Ro, You-Ja,An, Young-L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차로 1999년 9월부터 10월사이, 2차로 2000년 11월부터 12월사이에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를 통해 확인된 전국 55개 호스피스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과 연구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책임자와 통화하여 면접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69.1%에서 사별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2) 사별관리의 내용으로는 전화방문 28개 기관(74.5%), 사별가족 모임 26개 기관(68.4%), 가정방문 22개 기관(57.9%), 우편물 보내기 16개 기관(42.1%), 개별상담은 7개 기관(18.4%)이었다. 3) 사별가족 모임은 26개 기관(68.4%)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그 빈도는 연 1회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연2회가 6개 기관(23.1%), 월 1회가 6개 기관(23.1%), 월 2회가 3개 기관(11.5%)을 차지하였다. 4)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10.5%)에 불과하였다. 5) 사별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사별가족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사별관리자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사별관리 인력의 부족, 호스피스 기관과의 지역적 거리가 먼 경우, 사별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6)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으로는 사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사별관리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양성, 인력충원, 재정 지원 등의 요구사항이 있었다. 결론 : 국내 호스피스 기관중에서 69%가 사별관리를 시행하고는 있으나, 사별관리 전문가와 인력이 부족하고 사별관리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사별자의 개별적인 욕구 측면에서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bereavement care in Korean hospice service as a basic database for the effective bereavement care.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two sets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9 an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0, 55 hospice institutions identified by the Hospice Education Institution,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were contacted for a telephone survey. The researchers conducted telephone interviews with hospice administrators for 10 to 30 minutes. Result : 1) Among the 55 Korean Hospice institutions, 38 institutions(69.1%) provided bereavement services. 2) The contents of bereavement services consisted of telephone call 28 institutions(74.5%), bereaved family meeting 26 institutions(69.4%), home visiting 22 institutions(57.9%), mail 16 institutions(42.1%), personal counselling 7 institutions(18.4%). 3) The 26 hospice institutions(68.4%) which provided meetings for bereaved families met with the following frequency : Annually is 11 institutions(42.3%), biannually 6 institutions(23.1%), monthly 6 institutions(23.1%) and bimonthly 3 institutions(11.5%). 4) Only 4 hospice institutions(10.5%) used the assessment tool to screen for high risk of bereaved. 5) The major difficulties of current bereavement services were low attendance for the bereaved family meeting, shortage of professional managers and volunteers, limited accessibility to hospice institutions, little social awareness for the bereaved, and financial difficulties. 6) The hospice administrators expres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bereavement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bereavement services, trained professionals, the sufficient provision of human resource and financial support for more effective bereavement services. Conclusion : Although many hospice institutions(69.1%) provided bereavement services, they generally lacked capable bereavement professionals and various individualized bereavement service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pecified bereavement program and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taff and volunteers, so as to provide customized bereavement services based on individual needs.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stomized bereavement services in Korea before applying to practice.

      • 일부 지역주민들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와 태도 및 간호요구 조사

        노유자,한성숙,안성희,용진선,Ro, You-Ja,Han, Sung-Suk,Ahn, Sung-Hee,Yong, Jin-S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 No.1

        목적 : 본 연구는 일부 지역 주민들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와 태도 및 호스피스 간호 요구를 조사하고,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따른 호스피스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1998년 9월부터 10월까지 서초구에 거주하는 $20{\sim}60$세의 성인 남녀 9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Scheffe test로 다중비교를 하였다. 결과 : 1)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8세였고, 대부분이 고학력자였다. 2)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에서,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있다고 한 경우가 54.1%(501명)였으며, 그 중에서 64%가 여성이었고, 고졸 이상 학력자가 90.7%이었다. 죽음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는 약 74%가 긍정적 대답을 하였다. 암과 같은 불치병에 걸린다면 의료인이 그 사실을 말해주기를 원하는가에 대해서는 약 83%가 원한다고 답하였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에 대한 간호에 대해서는 63.1%가 고통을 최소로 줄이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간호를 제공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3) 호스피스에 대한 태도에서, 필요시 호스피스 간호를 받겠다고 한 경우가 약 73.8% 이었고, 말기환자를 돌보는 방법으로는 기정에서 호스피스 팀의 방문을 받으며 돌보는 것이 33.5%로 가장 높았다. 4) 호스피스 간호요구를 영역별로 보면, 신체적 요구(M=4.37)가 가장 높았고 사회적 요구(M=3.96), 정서적 요구(M=3.87), 영적 요구(M=3.79)순이었으며, 전체 요구도는 평균 약 4.00점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높은 요구를 보였다. 인구학적 특성별로는, 50세 이상의 연령층과 기혼자들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으며, 종교별로는 가톨릭의 경우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는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본 경험, 죽음에 대한 준비, 불치병에 대한 통고 및 호스피스의 필요성 인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본 군, 죽음을 미리 준비해야 된다고 전적으로 긍정한 군, 불치병에 대한 통고를 원하는 군, 그리고 필요시에 호스피스 간호를 받겠다는 군에서 호스피스 간호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정도를 높일 수 있는 홍보와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주민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정 호스피스를 발전시키고 나아가서는 전반적인 호스피스 발전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he hospice movement began about 30 years ago in Korea. However, basic studies have seldom been conducted about the general public's knowledge concerning hospice care and their needs for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ublic'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hospice, and their needs for hospice care, and to analyze the needs for hospice care in relation to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in residents from a specific community.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924 people randomly selected from a district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authors. With 30 items given in the questionnaire, the level of hospice needs showed Cronbach's alpha .89 in a pilot study and .92 in this study and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by a factor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and ANOVA. Results : 1)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38.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well-educated. 2) Regarding awareness of hospice care, 54%(501 people) indicated they have heard of hospice. About 74% thought that people should be able to prepare for death in advance. About 83% wanted to be informed when they have life threatening illnesses such as terminal cancer. Also, about 63% responded that patients with terminal diseases should be provided with physical, spiritual, and psychological care for minimizing pain and peaceful death. Regarding the attitude toward hospice care, 74% responded that they would use hospice care if needed. The number of the respondents who preferred home visitation by the hospice team to care for the terminally ill ranked first with 34%. Concerning needs for hospice care : 1) By needs area, physical need showed highest mean(M=4.37), followed by social need(M=3.96), emotional need(M=3.87), and the spiritual need(M=3.79). The overall need level showed the mean value of 4.00 which reflects a considerable need for hospice care. 2)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ople age over 50, the married, and the unemployed indicated higher level of needs for hospice care. Women showed higher level of needs than did men, and Catholic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needs than believers of other religion(P<0.0001). 3) As for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hospice rare, the level of hospice care nee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lowing groups: those who have heard of hospice, those who are aware of death preparation, those who want information on terminal diseases, those who want to use every method to sustain life, and those who are aware of hospice needs(P<0.001). Conclusion : It is assum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for hospice care in the public can contribute to planning a successful hospice care program.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useful data for the promotion of home hospice ca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ospice care as a whole.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