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LS 전면시행 대비 교육현황 및 안전성 부적합 사례

        노영호 ( Young-ho Noh ),서금현 ( Kum-hyun Seo ),박영석 ( Young-seok Park ),박준영 ( Jun-young Park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1995년 WTO체제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각 국의 시장 개방이 확대되고 있으나, 미국·일본·EU 등 선진국은 수입농산물에 대한 안전성검사 뿐만 아니라 자국 농산물에 대해서도 철저한 안전성검사를 병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민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농산물 안전성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94년 유기재배 인증농산물에 대한 안전성검사를 시작으로, 현재 「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근거하여 부적합 농산물의 시중 출하를 사전에 차단하는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기관으로 시험연구소 및 도단위 지원 9개의 시군단위에 사무소 115개로 구성되어 있는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춘 기관으로 현장농정업무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PLS 도입에 따라 안전성조사 업무와 전국조직망을 통한 농업인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제도의 연착륙을 통한 농업인과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생산단계 농산물을 대상으로한 잔류농약, 중금속, 곰팡이독소 등 유해물질에 대한 조사는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게 실시하며, 이는 고품질다수확, 농업인 고령화 등 우리나라 농업여건에서 기인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 및 부적합 농산물에 의한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3년간 농산물 잔류농약검사 결과에서 검출된 농약 성분의 전체 건수 대비 해당 농산물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성분이 검출된 건은 약 12% 수준으로 이는 국내 농업 여건에 따른 농약관리제도의 미비점과 향후 농업인의 어려움이 예상되어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약제도개선 및 교육·홍보를 통해 해결코자 “민관 합동 PLS 대응 TF”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 대상을 농업인, 산지유통인, 농약판매상 등으로 구분하여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을 대상으로 한사전예보제, 마을단위 교육 등으로 교육방법을 다각화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2018년 1월에서 5월까지 약 27.7만명에 대해 제도인지와 올바른 농약사용을 중점적으로 교육하였다. 2018년 농관원의 교육 목표는 약 39.3만명이며, 하반기에는 시군별 부적합 상위품목 작목반, 산지유통인, 안전성조사 농가 등을 대상으로 제도의 보완사항을 공유하는 등 사전예보제 및 품목별 농약등록현황을 활용한 농업인 교육을 추진하고자 한다. 농관원 생산단계 잔류농약 안전성조사는 부적합 이력이 있는 품목을 대상으로 연간 1만여건을 실시하여 매년 부적합 농산물의 출하 차단률을 올리는 성과를 이루고 있으며, 부적합사례로는 알타리무, 취나물, 수삼 및 언론에 이슈화된 쌀의 Thiacloprid 검출사건을 공유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한국산 남조류 Microcystis 로부터 생산된 microcystin 구조와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최병욱,노영호,이종수 ( Byoung Wook Choi,Young Ho Noh,Jong Soo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4

        낙동강에서 채취한 남조류 Microcystis로부터 간독성물질이자 protein phosphatase 1과 2A의 강력한 억제제인 microcystin- LR과 microcystin-RR을 분리하였다. 이들 물질의 독성과 구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독성실험을 하였다. Glu와 MeAsp의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화할 경우 독성을 잃어버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Mdha 잔기의 이중결합을 NaBH₄로 환원하여 Ala잔기로 전환한 경우에는 독성을 그대로 유지하였고 또한 microcystin-LR의 Arg잔기의 guanidyl기를 dimethylpyrimidyl기로 변환한 경우에도 독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개의 카르복실기는 microcystin이 독성을 나타내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에, Mdha 및 Arg잔기의 존재는 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Hepatotoxic cyanobacteria, Microcystis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and we could isolate hepatotoxins, microcystin-LR and microcystin-RR, which are also strong inhibitors of protein phosphatase 1 and 2A. From the microcystins, several microcystin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ested on the mouse toxic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Esterification of carboxyl groups of Glu and MeAsp residue produced nontoxic compounds. However, when we reduced the Mdha residue with sodium borohydride into Ala residue, toxicity was still maintained. Also, the change of guanidyl moiety of Arg residue in microcystin-LR into dimethylpyrimidyl moiety did not change the toxicity of microcystins as well. Thus the carboxyl groups seem to play important roles in binding with protein phosphatase 1 and 2A, whereas Mdha residue and the guanidyl moiety of Arg residue do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