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를 성찰하는 다큐멘터리 연극과 연극인 -『자본론』을 호명하는 연극작업을 중심으로-

        남지수 ( Jisoo Nam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4

        본 연구는 개인의 삶이 텍스트가 되고 평범한 일상의 인물들의 목소리에 주목하는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급격한 성장 속에서, 특별히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다큐멘터리 연극을 통해 예술가의 삶과 현실이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 주목해 보고자 한다. 이때 삶과 현실이라는 것이 일견 나이브하게 인식될 수 있다고 판단해 그 외연을 좀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한 방편으로 신자유주의라는 키워드를 통해 삶과 현실의 연극적 재현양상을 조망하려 한다. 분석의 대상은 우주마인드프로젝트의 ‘서민경제 3부작’과 극단 드림플레이 테제21의 <자본>이다. 이 작품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연극배우라는 직업을 가진 일상의 인물(배우)이 등장해 신자유주의 체제 속에서 어떻게 자기 역할(부모/자식/예술가/노동자/시민 등)을 수행하는지 자기 서사를 이야기하는 자전적 다큐멘터리 계열의 작품들이다. 둘째, 이들은 직·간접적으로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자본론(Das Kapital)』을 호명/인용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오늘날 현실을 이야기하기 위한 방편으로 왜 『자본론』이 연극무대로 소환되었는지, 나아가 그 현실은 연극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주목해 보고자 한다. Th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in which individual life becomes text and the voices of ordinary people become characters, has grown rapidly.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s deal with the lives of theatre-artists, especially through the theatres that mediate the real lives of artists living in the neoliberal era calling for the Karl Marx's Capital. I consider that the absurdities and contradictions of our society mostly stem from the way in which the value of the capital work overwhelmingly superior to other social order and values, and there would be something specific philosophical reflection to summon the marxist discourse under this neo-liberal society.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study how the real/reality is reflected and represented in the documentary theatres in which artists directly talk about their lives and experiences in the neoliberal era based on marxist philosophy.

      • KCI등재

        버바텀 극작술의 한 가지 방식에 관한 소고 - 영국 트라이시클 극장의 법정연극

        남지수 ( Nam Jisoo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2

        90년대 후반부터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주요하게 부상해온 버바텀 연극(Verbatim Theatre)은 어떠한 사건에 대한 기록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것을 편집하여 인용하거나 재배열, 재맥락화 하는 기법으로 구성된 연극을 말한다. 버바텀 연극은 주로 청문회, 공청회, 심의, 심리, 재판 등의 법적 기록에서부터 공적·사적으로 진행된 인터뷰(또는 일상의 말), 그리고 일기, 메모, 사진, 영상 등의 사적 기록물들을 재료로서 활용한다. `말/글자 그대로(word for word)`라는 의미를 지니는 `버바텀`이란 용어에도 잘 드러나듯이, 버바텀 연극은 언어가 이 세계를 포획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해 현실의 언어를 텍스트로 가능한 온전히 옮겨오려는 실험으로서 문서나 구술자료 등을 인용하여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큐멘터리 연극의 한 가지 방식이다. 버바텀 연극은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활력 속에 그 연극적 위상과 가치가 함께 주목되고 있지만,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포스트드라마적 경향을 보이는 작업들이 많은 반면, (영국) 버바텀 연극에서는 드라마적 구성을 존중한 작업들이 다수 목도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변별점을 드러내기도 한다. 본고는 오늘날 버바텀 연극이 주목받게 된 계기 또는 다큐멘터리적 충동은 무엇인지, 새로운 글쓰기의 한 경향으로서 어떠한 공연적 특징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동시대 버바텀 연극의 부흥지라 할 수 있는 영국 버바텀 연극에 주목해, 이것이 성장할 수 있었던 영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살펴보고, 버바텀 극작술의 주요한 기법이자 하나의 형식으로서 법적 기록을 토대로 구성되는 법정연극(Tribunal Theatre)을 트라이 시클 극장의 대표작 < 정의의 색(The Colour of Justice) >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verbatim theatre, which has been actively experimented in many english speaking countries since 1990s, refers to a dramatic presentation through editing, arranging or re-contextualising of research, records or interview. Its sources of material, so-called document, ranges from the official transcripts of such as trial, hearing and public inquiry, official or private interview (oral words of real people) to very private records such as diary, memo, photo, video etc. As we know the literal meaning of verbatim(word for word), the verbatim theatre is a sort of documentary technique which leans on the spoken texts. The recent manifestation of verbatim theatre is very recognizing with a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ical booming. The verbatim theatre is a part of documentary theatre, however, it reveals a different theatrical tendency: While th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seems to show of postdramatic characteristics, British verbatim theatre tends to be armed a kind of conventional dramatic form and structure. With the recent theatrical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se issues: What makes the verbatim theatre to be received high attention these days? Have there been social, political or cultural stimuli to documentary/verbatim drive?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does the verbatim theatre have as a new(contemporary) dramatic playwriting? As I focus on British verbatim theatre, the so-called motherland of contemporary manifestation of verbatim theatre, I would like to study the theatricality of verbatim form focused on the particular tribunal play The Colour of Justic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 of Tricycle theatre.

      • KCI등재

        현실을 매개하는 다큐멘터리 창작방식에 관한 소고 - 연출가 전윤환의 연극을 중심으로

        남지수 ( Nam Jisoo ) 한국연극학회 2024 한국연극학 Vol.1 No.86

        본 논문은 연출가 전윤환(극단 앤드씨어터)의 다큐멘터리 연극에서 발견되는 현실을 매개하는 다양한 연극적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그는 2015년 이래 다큐멘터리 연극을 자신의 핵심적인 창작방식으로 삼으며 다양한 형식의 응용을 통해 동시대 다큐멘터리성을 창출하기 위한 실험을 지속해 왔다. 그의 일련의 다큐멘터리 연극은 신자유주의 폐해, 검열과 독재, 팬데믹, 부동산과 비트코인 광풍, 기후위기 등 동시대 한국/세계에서 주요하게 발화되고 있는 이슈들을 활발하게 다룬다는 점에서 흥미로울 뿐 아니라, 리서치한 자료들이 재현되는 방법, 다시 말해 현실이 매개되는 다큐멘터리적 장치의 측면 역시 주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간 전윤환과 앤드씨어터가 발표해온 일련의 다큐멘터리 연극을 학술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다큐멘터리 연극이라는 호명에 가린 연극적/허구적 형식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the various theatrical approaches to mediate the real with a focus on Yoon Hwan Jeon(director of AND theatre company)'s documentary works, whom has been striving to create documentary theatre as his core theatrical method since 2015. A series of his works are worth to be researched in terms of social aspects because it deals with contemporary local/global issues such as social problems stemming from neoliberalism, censorship and dictatorship, the pandemic, fever to Bitcoin and real-estate, climate crisis etc. Moreover, it should be noted how he mediates the real and how he represents the documentary materials: that is, theatrical/fictional context performs very important role in documentary theatre. In this aspect, this study has a primary objective to research on Yoon Hwan Jeon’s documentary theatre, and further, it hopes to remind the importance of theatrical/fictional form and context in documentary theat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