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멀티캐스트 QoS 관리 모델을 위한 Agent의 설계 및 구현

        남윤진(Yunjin Nam),이병기(Byoungki Lee),안병호(Byoungho Ahn),조국현(Kukhy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Ⅲ

        멀티캐스트 통신환경을 이용하는 많은 응용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안된 통합 관리모델인 IPME의 요소중 Agent 부분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IPME 구조를 기본으로, Manager-Agent-멀티캐스트 참여자의 구조에서 핵심적인 부분인 Agent 부분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멀티캐스트 환경에서의 여러 참여 송수신자들의 다양한 QoS요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구현된 Agent를 실제 멀티캐스트 환경을 이용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기능과 역할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해 본다.

      •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향하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

        남윤진(Yunjin Na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6 국제한국어교육 Vol.2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new direction of Korean languge education in Japan. Firstly, a project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Meyasu) is reviewed, which takes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pedagogy’, not as training. In the project [Meyasu], the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t only to acquire the skill of ‘how to communicate’, but also to make/find out ‘what to communicate’ ,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to communicate with’. As a methodology for this global society 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ject, [Meyasu] introduces project based learning (PBL) and backward curriculum design(BCD). Secondly, a case of a PBL class which is designed for sophomore class of Korean languguage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Japan. There are 6 groups in the class, the goal of the project is making a short video clip which gives a brief instruction about Gaigosai, the camapus festival of the university. There are many positive comments from students. Every group of the project made a team, showed consideration. And the video clips are well finished and many students mentioned the improvement of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expression skills through the project period. There are some work to be done, the problem of how to reconcile the linguistic contents of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with the new social networking approach in class. Points are as follows : 1) Listing up the linguistic items linked to the social networking appro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2) Developing different meaningful and learner oriented activities.

      • 일본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현황과 전망

        남윤진(Yunjin Na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1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stat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Japan and to explore new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especially at university level. Firstly, as the feature of 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perspective, learner centerness and the balance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are suggested. Secondly, the stat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schools of Japan is reviewed. Although the policy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English centered and skill oriented, there also are some attempts to promot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many other languages in Japan. Thirdly, the Korean culture items in the university textbooks are examined. In most cases, the Korean culture is presented as a subject of knowledge and a little critical perspective on the culture suggested.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to take extra effort in order to get proper outcomes of the features of cultural education in their own classes. Finally, a case of project based learning (PBL) class which is designed for sophomore clas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Japan is brought out. There are some works to be done, the problem of how to introduce the attainments of Korean Japanese contrastive pragmatic studi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정형외과 연구의 동물모델: 척추유합술모델

        이재협(Jae Hyup Lee),남윤진(Yunjin Nam),이지호(Ji-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퇴행성 척추질환이나 외상 등의 증가로 인해 척추유합술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내고정장치나 골이식재의 개발도 이에 동반해서 증가하고 있다.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은 새로운 척추 고정기기나 골이식재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술식이다.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은 크게 후외방 유합술모델, 후방 유합술모델, 전방 유합술모델이 있으며 주로 이용되는 동물에는 마우스, 랫드, 가토와 같은 소동물부터 개, 돼지, 염소, 양 및 영장류 등 중, 대동물도 있다. 소동물모델은 자가골이나 골이식재를 이식한 후 내고정 없이 유합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중동물이나 대동물은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케이지를 이용한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소동물모델은 크기가 작아 다루기 쉽지만 인체와 해부학적이나 생역학적인 반응이 다르다. 중동물이나 대동물모델은 인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지만 다루기 힘들거나 윤리적 문제가 있다. 척추유합술에 대한 유합결과 평가는 도수 촉진이나 인스트론 등의 기계를 이용한 기계적 측정,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 등을 이용한 영상평가, 그리고 비탈석회화 조직슬라이드를 이용한 조직학적 평가가 있다. 골유합률이나 골유합에 소요되는 기간은 종이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의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에서 골이식재를 삽입하지 않을 경우 유합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척추유합술 동물모델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The incidence of spinal fusion surgery ha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spinal disease or trauma. Moreover,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implants and bone graft substitutes has also increased. The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are useful methods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spinal implants or bone graft substitutes. The most widely used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are posterolateral fusion model, posterior fusion model, and anterior interbody fusion model. Mice, rats, rabbits, dogs, pigs, goats, sheep, and primates are frequently used in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Small animals are implanted with a bone graft substitute without internal fixation; however middle- or large-sized animals are implanted with a bone graft substitute using pedicle screws or cages. Small animals are easy to handle due to their size, but have different anatomical or biomechanical reactions with the human body. Middle- or large-sized animals have characteristics like the human body, but they are difficult to handle or there is an ethical problem. The fusion status is evaluated by manual palpation, mechanical testing using Instron, and radiologic techniqu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micro-computed tomography or undecalcified histology. The fusion rate and duration required for successful fusion differ according to the species and anatomical site. We have identified and reviewed several typical animal models of spinal 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