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김소혜(Kim, Sohye),이정숙(Lee, Jung Sug),홍경희(Hong, Kyung Hee),염혜선(Yeom, Hye Sun),연서(Nam, Yeon Seo),김주영(Kim, Ju Young),유경(Park, Yoo Kyung)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as well as fatty acids and alcohol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Q-FFQ consisted of 88 food items, and 12 food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f frequently consumed foods from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ach portion size was categorized as one of three amounts: small (0.5 times), medium (1 time), and large (1.5 times). A total of 111 subjects finished 3-day diet records and the SQ-FFQ. The relative validity of SQ-FFQ was assessed by comparison with the 3-day diet records. Results: The mean nutrient intakes obtained from the SQ-FFQ were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methods was the highest for energy (r = 0.583; p < 0.001) and lowest for saturated fatty acid (r = 0.121).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nergy (r = 0.583; p < 0.001), carbohydrates (r = 0.500; p < 0.001), protein (r = 0.466; p < 0.001), fat (r = 0.411; p < 0.001), dietary fiber (r = 0.467; p < 0.001), alcohol (r = 0.527; p < 0.001), calcium (r = 0.409; p < 0.001), phosphorus (r = 0.499; p < 0.001), potassium (r = 0.418; p < 0.001), magnesium (r = 0.427; p < 0.001), and zinc (r = 0.464; p < 0.001), respectively, for all subjects. Conclusion: The developed SQ-FFQ in this study seems to be useful for estimating nutritional status, particularly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dietary fiber, alcohol,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of Korean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