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년제 대졸 취업자의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 분석

        남선혜,이영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4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의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학의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하여 취업한 195명을 대상으로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의 34개 하위 항목에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및 Borich 공식과 Hershkowitz 임계함수를 활용하여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NCS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졸업생은 NCS 직업기초능력 34개의 영역 중 문서작성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외국어능력, 기초연산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자원관리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적용능력, 업무이해능력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의 하위 능력인 기초외국어능력, 의사표현능력, 자기개발능력의 하위 능력인 경력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능력인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을 최우선 순위로 고려해야 할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졸업생이 인식하는 교육 요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NCS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향후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s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mong gradua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Sub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a in universities to enhance the fundamental vocational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95 individual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and are currently employed to determine the required and current levels of vocational fundamental proficiencies as defin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paired sample t-test, Borich analysis, and Hershkowitz Critical function were then employed to analyz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ly, among the 34 areas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graduate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necessary state and the current state in document writing ability, expression ability, basic foreign language ability, basic arithmetic ability,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career development ability, time resource management ability, budget resource management ability, leadership ability, conflict management ability, negotiation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technical understanding ability, technical application ability, and job comprehension ability. Secondly, it was determined that basic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expression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communication, career development ability, and self-management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self-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nd negotiation ability within the sub-abiliti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hould be given the highest priority in the consideration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perceived by graduates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and applying NCS-based education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effectively developing the NCS basic vocational skills of futur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국내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남선혜 ( Sunhye Na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강현실활용교육의 개발 및 적용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수집된 98개의 데이터를 토대로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 체험형 · 실습형 · 협동형 · 소통형 등 증강현실 활용교육의 유형별 효과크기, 인지적 · 정의적 영역 등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출판 유형, 연구 대상, 정규수업 유무, 과목, 교육 횟수 등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증강현실활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77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활용교육 유형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실습형과 체험형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협동형과 소통형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별로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의적 영역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인지적 영역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조절변인 중 출판 유형, 연구 대상, 과목, 교육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증강현실활용교육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증강현실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augmented-reality based learning. To that end, a total of 33 domestic journal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that me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98 samples of data. Through the analysis, calculati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overall effect size; the effect sizes of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by type, such as experience, practic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ype; effect sizes of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and effect sizes of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publication types, research subjects, existence of regular classes, academic subjects, and the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was medium(0.77). Second,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s by type showed a large effect size for practice and experience types wherea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ypes showed moderate effect sizes. Third,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s of dependent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for affective domains and a medium effect size for cognitive domains. Fourth,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publication types, research subjects, academic subjects, and the number of education sess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objectively determine the effects of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국내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허미선,남선혜,이정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국내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적인 적용 을 위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기준에 부합하는 총 45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수집된 80개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전체 효과크기,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창의성 하위요인별 효과크기, 출판유형, 수업형태, 학 년, 수업차시 등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발명교육의 전체 효과 크기는 0.68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교과태도, 발명태도, 창의 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교과태도는 큰 효과크기, 발명태도, 창의성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정교성, 융통성, 유창성, 독창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 발명교육은 수업형태, 학 년, 수업차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발명교육의 효과 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domestic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To this end, a total of 45 studies meeting the standards among the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published in Korea since 2016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 collected 80 effect sizes, the effect sizes such as total effect size, effect size by dependent variable, effect size by sub-factor of creativity, type of publication, type of class, grade, and number of class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was 0.68, which is a medium-sized effect size. Second, with regard to the effect size by 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subjects, attitude toward invention and creativit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The size of attitude toward subjects was large while the sizes of attitude toward invention and creativity were medium sized. Third, regarding the effect size by sub-factor of creativity, the effect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all the sub factors, and the size of effect was shown in order of sophistication, flexibility, fluency, and originality.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was shown to be influenced by type of class, grade, and number of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to enhance the effects of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정민 ( Jeongmin Lee ),남선혜 ( Sunhye Nam ),허미선 ( Miseon Huh ),배윤주 ( Yoonju Ba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국내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학습설계에서 실재감을 높이는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기준에 부합하는 총 50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수집된 195개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실재감의 학습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 교수ㆍ인지적ㆍ사회적ㆍ감성적실재감 등 실재감 요인별 효과크기, 인지적ㆍ정의적ㆍ사회적ㆍ메타인지적 영역 등 학습성과 영역과 변인별 효과크기, 출판 유형, 연구 대상, 교과목 구분, 과목 영역, 정규수업 유무 등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재감의 전체 효과크기는 0.5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실재감 요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실재감 요인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영역별로 실재감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의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은 큰 효과크기, 인지적 영역과 메타인지 영역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학습성과 변인별 분석 결과에서는 만족, 몰입,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학습지속의향은 큰 효과크기, 성취도와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조절변인 중 연구 대상과 교과목 구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통합적 효과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 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guidelines with regard to online learning design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effects of presence in domestic online learning outcomes. For investigating this purpose, a total of 50 studies meeting the criteria, which were mostly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published since 2011, were selected, and the general effect size of presence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factors such as instructionalㆍcognitiveㆍsocialㆍemotional presences,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areas such as cognitiveㆍdefinitionalㆍsocialㆍ meta-cognitive areas and by variables and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type of publication, subject of study, classification of subjects, subject area and whether it is a regular class or not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effect size of presence was 0.56, which was a larg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factors, all the factors showed large effect sizes. Third, the result of the effect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areas, definitional and social areas showed large effect sizes whil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areas showed medium effect sizes. Regard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size of presence by learning performance variables, satisfaction, immersion, interaction,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showed large size effects while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medium effect sizes. Fourth, among moderator variables, subject of study and classification of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integrated effect of presence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ta analysi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enhance online learning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