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80년대 일본 추리소설 속 소년범죄의 등장에 따른 변화 고찰

        남상현(Nam, Sang-hyon)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8 No.-

        Nowaday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a novel dealing with juvenile crime in Japanese mystery stories. Concerning the publication of novels featuring Japanese juvenile crimes after the post-war period, the 1970s saw a surge in juvenile crimes in mystery novels.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d the social correlation between mystery novels and juvenile crimes from the 1970s to 1980s. This is part of an attempt to examine changes in Japanese mystery stories along with how the juvenile crime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as a key component. Mystery stories in its early days were once almost exclusively confined to characters of “white”, “nobleman”, “adult”, and “male,” such as ‘Sherlock Holmes’, with boys’ presence rather sparse. Later, boys appeared in mystery stories. It can be said that it started from the 1970s as Seichi Morimura, a Japanese mystery novelist, began to use the juvenile crimes as its subject and gained popularity. Morimura’s works proved that a boy can be a ‘criminal’ with the shocking effects of a twist because the readers could hardly have thought that a young, seemingly naive boy could kill somebody on purpose. Also, by depicting boys who were socially evil in Hajime Komine’s Arukemedesuwa Tewo Yogosanai(1973), readers began to recognize boys as a group of evil and as a subject with no difference from adults. In Keigo Higashino’s Hokago(1985), a high school girl not only plans a secret scheme, but also fools the detective and emerges as an excellent criminal. Here, a juvenile crime and tricks are perfectly blended into each other. Finally, the roles of victims, perpetrators and detectives are all played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Yukito Ayatsuji’s Hiiro no Sasayaki (1988). the mystery stories describes the images of “young” and “female” beyond the framework of “adult” and “male.” Furthermore, the motives for the murder by girls are no longer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nd it separates juvenile crimes in mystery novels from social issues and uses them as a means of sheer entertainment. To sum up, juvenile crime, which was then a social problem in the 1970s and 1980s, was drawn on as a subject of mystery stories, and novels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proved entertaining and popuplar. At the same time, mystery stories gave boys both criminal and detective roles and broke away from the stereotype of the genre, which had been symbolized as Sherlock Holmes. Since then, it has become easier to find detective stories dealing with a juvenile crime, and the share of works involving boys and especially girls began to rise. Based on these changes, the mystery stories successfully introduced various works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to public since 1997 when the Kobe child serial killing incident occurred and the social awareness of juvenile crime increased rapidly.

      • KCI등재

        리메이크 영화 『방황하는 칼날』에서 나타난 소년법 인식의 비교 고찰

        남상현 ( Nam Sang-hy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소년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소년법에 관한 담론은 함께 진행된다. 그리고 소년범죄사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논의의 차이는 소년범죄와 소년법에 대한 문제의식의 차이를 형성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차이에 입각하여 한국과 일본의 영화에서 대중이 소년법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가지는지 그리고 어느 부분에 더욱 주목하고자 하였는지를 비교 고찰하고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2004년 출판된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방황하는 칼날(さまよう刃)』를 원작으로 살펴본 후, 리메이크된 한국(2014)과 일본(2009)의 영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의 영화에서는 소년법이 소년범을 처벌하지 못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피해자 가족의 박탈감과 울분에 주목하였다. 등장인물들은 소년법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심층적인 고민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중에게 소년법에 대하여 재고찰의 기회를 주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달성하였다. 한편, 한국의 영화는 소년법의 내용은 축소되고 인물의 심리를 극대화 한다. 한국의 영화속 아버지는 소년법에 무지한 인물로 변형되며, 사랑하는 딸을 지키지 못한 울분을 표출하기 위하여 복수를 다짐하는 인물이다. 아버지를 대표하는 대중, 일반인에게서는 소년법에 대한 인식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경찰만이 소년법에 문제의식을 가질 뿐이었다. 두 영화 속 등장하는 소년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일본의 영화는 대중이 소년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전개되며 동시에 소년법에 관한 불신을 나타내는 경향이 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은 소년법보다는 소년범죄와 그에 따른 피해자의 감정에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사법기관에 대한 믿음과 변화에 대한 의지가 존재한다는 모습을 보이며 향후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게 하였다. 이상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영화를 비교 분석하여 소년법의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영화와 소설이 가지는 사회성까지 고찰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를 둔다. As the juvenile crime occurs, the discourse on the Juvenile Law goes hand in hand. The different discourse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juvenile crime case forms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this paper, I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film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public perception on the juvenile law and the points which they wanted to focus more on.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juvenile crime and juvenile law in Korea and Japan. Hence, I analyzed the remake films of Korea (2014) and Japan (2009), after analyzing Higashino Keigo's novel Samayou Yaiba published in 2004. First, in the Japanese movie, it focused on the deprivation of the victim 's family and the anger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juvenile law, which fails to punish the juvenile offenders. The characters were more objective and deeply concerned about the juvenile law. Through this, the movie has achieved the role of giving the public an opportunity to think and review about the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 movie, it reduce the content about the juvenile law and maximiz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A father in a Korean movie is transformed into an ignorant person in the juvenile law. Furthermore, he pledges revenge because of the anger which belongs from that he was not able to protect the beloved daughter. From the father representing the public, there could not find the awareness of the juvenile law. However, only the police had a awareness of problem in the juvenile la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the juvenile law appearing in the two films, it is found that the Japanese film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ublic knows the juvenile law in detail, and at the same time, it tends to show the distrust of juvenile law. On the other hand, Korea focused on the victim 's feelings rather than juvenile laws. Nevertheless, it showed faith in the judiciary and the will to change and expected positive change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juvenile law was grasped in dep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movies of both countries. This implies that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sociality of movies and novels.

      • KCI등재후보

        나가야마 노리오(永山則夫)와 현대 일본의 소년범죄

        남상현(Sang-hyon Nam) 숙명인문학연구소 2023 횡단인문학 Vol.14 No.-

        나가야마 노리오는 1968년 연속살인사건의 소년 범죄자이다. 나가야마의 생애와 작품은 1960-70년대 사회의 저변을 보여주는 접점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다만 그의 연구는 각각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소년범죄를 둘러싼 문제의식이 옅었고 현재와의 비교 역시 찾을 수 없다. 이에 본고는 나가야마 사건을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여러 학문적 문제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법적 영향으로는 ‘나가야마 기준’과 같은 소년 사형 선택 기준이 세워지며 소년범죄의 엄벌주의와 소년법, 사형 문제가 일찍이 논의되었다는 사실을 검토하였다. 둘째, 나가야마의 작품은 당대 소년범죄의 사회적 배경을 알 수 있는 의미 있는 기록이었다. 이에 일본은 소년 범죄자의 수기에서 범죄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학습하였다. 그 결과 2016년 『절가』와 같은 실수를 범하기도 하였으나, 소년범죄의 여러 원인을 수기 혹은 글을 통해 분석하고 발신하는 고민의 장을 마련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의 소설에서도 찾을 수 있다. 나가야마는 현대 사회의 소년범죄와도 여전히 연결된다는 점에서 현대 소년범죄를 분석하는 자료로서의 의미도 획득할 수 있다. Norio Nagayama was a 19-year-old serial killer in 1968 in Japan. Nagayama’s life and works were also evaluated as a contact point for showing the lowest classes in the 1960s and 1970s. In this article, I will progress a comprehensive study of various academic issues by focusing on juvenile crime. Also, examine how he influenced Japan’s current view on juvenile crime and find out the possibility of modern interpretation. First, as for the legal impact,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choosing a juvenile death penalty, such as the ‘Nagayama Standard,’ informs that the argument of severe punishment of juvenile crimes, and death penalty issues were reviewed early in Japan. Second, Nagayama’s notes led to an apology for the victim’s family without showing off the crime itself. Accordingly, Japan learned that the cause of crime can be found in the (non)fictions of juvenile criminals. It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set up a place for thinking about analyzing and transmitting various causes of juvenile crimes through non-fictions or literary works. Finally, Nagayama’s novels were meaningful as a realisㄴtic work and record to find the cause of a juvnile’s crime.

      • 잡지 『변태심리(変態心理)』 특집호 속 소년범죄 연구 「불량소년연구호」(1918)·「소년교양문제호」(1924)를 중심으로

        남상현 ( Nam Sang-hy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4 일본연구 Vol.41 No.0

        본고는 『변태심리』의 특집호에 나타난 다이쇼기의 소년범죄를 분석하였다. 「불량소년연구호」에서는 불량소년이 되는 원인과 감화사업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불량소년이 되는 원인은 개인적 원인과 사회적 원인이 있는데, 개인적 원인은 정신적 결함과 선천적 요인 및 유전에 의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를 통해 『변태심리』가 소년범죄의 원인을 ‘정신의학’과 ‘심리학’, ‘우생학’과 같은 서구에서 유입된 근대 과학에 맞춰 설명하고, 근대화되던 일본사회의 논의를 흡수하여 공론화하려는 선구적인 역할을 자처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사회적인 원인으로는 다이쇼기 이전의 인습적인 행위부터 서구문물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로 인한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이는 사회환경의 변화와 감화를 통해 소년들을 개량할 수 있다는 사고로 이어지면서 감화사업을 향한 관심으로 이어진다. 감화사업이란 소년들을 ‘징치’가 아닌 ‘감화(교육)’을 통해 개선하고 재범을 저지르지 않도록 조치해야 함을 뜻한다. 도메오카가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소년들을 개량하는 감화교육 자체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면 오가와는 범죄 이후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감화 시설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정학교를 설립하며 감화 교육시설 정립의 일선에서 활약한 도메오카와 당시 구 소년법의 성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오가와의 기사를 적극적으로 실으면서 일본 사회에 감화사업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소년교양문제호」에서는 첫째로는 소년범죄를 줄이고 소년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서구의 사회 제도들을 소개하며 일본에도 사회복지 사업과 제도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피력하는 기사를 다룬다. 둘째로는 학교 교육으로 불량소년을 다루는 방법을 얘기하는데, ‘멘탈 테스트’와 같은 입시시험과 아동의 심리, 아동의 개성에 주목하고 학교 교육 제도에서 벗어난 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한다. 이와 같은 기사들은 1920년대 다이쇼 자유교육운동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자유교육운동과 불량소년을 연결하여 사고하는 점에서 기존의 교육 연구 관점과는 다른 관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보듯 『변태심리』는 기존의 사회학에서 분석하였던 소년범죄의 현실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논의를 함께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고는 『변태심리』의 특집호를 통해 소년범죄를 신체와 유전의 문제로 다룬다거나 감화법과 구 소년법의 제도 성립을 전후로 하여 나타난 교육론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살펴보며, 다이쇼기 일본 사회에 유입되던 서구 담론과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근대의 탄생을 재조명하고 소년 문제를 둘러싼 당대의 논점과 사회학 연구에서는 미처 보지 못했던 이면까지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This paper analyzed the juvenile crimes of the Taishō era that appeared in special issues of Hentai Shinri. In the “A Research of Delinquent Boys,” the main contents were about the causes of becoming a delinquent boy and the project of reformatories. The causes of becoming a delinquent boy include personal and social causes. Personal causes include mental defects, congenital factors, and genetics. It can tell that Hentai Shinri had a pioneering attempt to absorb discussions of modernizing Japanese society and to make them public through explaining the causes of juvenile crime in a way of modern science introduced from the West, such as ‘psychiatry’, ‘psychology’, and ‘eugenics.’ As social causes, the problem was raised from conventional behavior before the Taishō era to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These led to the idea that boys can be improved through edification leading to interest in the reformatories business. The reformatories business means that the boys should be improved through ‘Edif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Punishment’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m from re-offending. While Tomeoka expressed the importance of reform education itself to improve boys in order to prevent crimes in advance, Ogawa argues that the establishment of reformatories facilities to prevent recidivism after a crime must come first. It can be seen that efforts were made to convey correct knowledge about the reformatories project to Japanese society by actively publishing articles by well-known scholars. Meanwhile, the “The Problem of Juvenile Refinement”, First, it introduced Western social welfare systems as a way to reduce juvenile crime and educate boys properly, and featured an article that expresses the need for social welfare projects and training in Japan as well. Second, there are articles dealing with school education and delinquent boys. These articles, can be understand as influenced by the Taisho New Education Movement of the 1920s, focused on entrance exams, children’s psychology, and children’s individuality, and advocate education outside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a special issue of Hentai Shinri it presented not only the problems of delinquent boys in those days but also the discussions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exist hidden side of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소년범죄소설 속 현대 일본의 ‘탈사회화’

        남상현(Nam Sang hy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4

        1997년 고베연속아동살상사건이 발생하면서 일본사회는 평범한 소년에 의한 잔혹한 살인에 경악한다. 또한 이 사건을 문제시하는 성인들에게 ‘왜 사람을 죽이면 안 되는가’라는 질문에 동의하는 소년들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일본사회에는 이에 대한 담론이 나타난다. 많은 지식인층은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글을 쓰고 작가들은 소설을 통하여 해답을 제시하고자 노력한다. 미나토 가나에의 『고백』은 소년범죄소설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2008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소설을 통하여 다양한 해답을 제시하던 소년범죄소설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시기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고백』은 가해자의 입장과 피해자 가족의 입장 그리고 그 주변인물들 입장에서 그 내면을 심층적으로 묘사한다. 그리고 소년들의 살인이라는 주제를 선택함으로서 일본사회에 만연한 탈사회화라는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표출하였다. 소년들의 의식에 자리 잡은 선악의 구분에 대한 의문, 아이덴티티 문제, 욕구의 좌절 등은 소년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며 탈사회화로 이끈다. 동시에 소년들의 문제는 성인들에게도 영향을 주며 사회 전체가 문제를 겪는다. 『고백』은 탈사회화라는 과정을 그리며 ‘왜 사람을 죽이면 안 되는가’라는 질문을 하는 소년들의 문제에 접근한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질문형식으로 작품을 마무리함으로서 독자들에게 일본사회의 소년범죄 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였다. 『고백』의 소설 구조는 소년범죄와 탈사회화라는 문제에 대하여 다양한 입장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동시에 독자들 스스로가 소년범죄에 대하여 고찰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When the Kobe child murders occurred in 1997, Japanese society was shocked by the brutal murders, committed by an ordinary 14-year-old boy. In reference to the Kobe child murders, a high school boy asked, Why should we not kill others, and having juveniles started agreeing with this question. Many intellectuals wrote critiques and writings to suggest a solution to this while writers also aimed to suggest a solution to this incident through juvenile crime novels. Confessions by Kanae Minato released in 2008 is it. Confessions describes all aspects in an in-depth manner, such as the position of the perpetrators, the victims families, and stand around the person. Minato tries to expose the problem of de-socialization prevalent in Japanese society by writing about juvenile crime, an extreme topic, in Confessions. Describing the process of desocialization, Confessions approaches juvenile issues asking Why should we not kill others . Rather than offer her own solution at the end of the novel, she follows a question format, which causes the reader to think again about the problems in Japanese society. The structure of Confessions established an opportunity to look into juvenile crimes and desocialization in diverse positions. And readers achieved a role in considering juvenile crimes by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