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학대 인식과 도움요청 태도에 관한 연구 : 여섯 가지 노인학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윤현숙,Lee, Hee Yun,권종희,윤지영,박은수,남륜,강성보,박금화 韓國老年學會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본 연구는 노인학대 유형에 따른 여섯 가지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60세 이상 일반 노인이 생각하는 노인학대 인식과 도움요청 태도를 살펴보고, 노인학대 인식과 도움요청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60-80세 미만 노인으로 성별, 연령대별 동일비율로 할당 표집하여 총 124명에 대해 1:1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섯 가지 시나리오 상황에서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학대, 재정적 학대, 정서적 학대를 비교적 높게 노인학대로 인식한 반면, 노인부부간의 신체적 학대, 며느리에 의한 방임, 노인의 자기방임에 대해서는 학대로 인식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도움요청 태도에서는 신체적 학대와 재정적 학대 상황에서는 도움을 요청하겠다는 의사를 강하게 나타낸 반면, 자녀에 의한 방임 및 자기방임 상황에서는 도움요청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노인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체적 학대에서는 성, 연령, 교육수준이, 며느리에 의한 방임에서는 재정상태, 사회활동참여, 노인부양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노인의 도움요청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인학대 인식여부가 모든 학대상황에서 도움요청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 교육수준, 자녀수, 효만족도, 재정상태, 사회활동참여, 노인학대 태도, 노인부양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회문화적 요인이 노인학대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학대 예방교육 등 노인복지현장에서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Despite a growing trend in elder mistreatment, research about the problem and its effects on the victims has been sparse. Notably missing are the perspectives of older adults themselves, whose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elder mistreatment are greatly affected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older persons' perceptions of elder mistreatment and subsequent help-seeking behaviors. Six hypothetical scenarios featuring elders were the basis of interviews with 124 older persons, drawn by a quota sampling strategy. Findings indicated that older persons perceived situations of physical abuse (87.9%), financial abuse (86.3%), and psychological abuse (66.1%) to be elder mistreatment, yet respondents showed less sensitivity to elder mistreatment that took the form of physical mistreatment within a couple (47.6%), neglect (40.3%), and self-neglect (16.9%). Certain scenarios yielded less intention to seek help: namely, physical mistreatment within a couple, neglect, and self-neglect. Older persons'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perception and help-seeking behavior. Perception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help-seeking behavior. Findings point to awareness of cultural and social context for success in elder mistreatment prevention, intervention, and policy design for this population.

      • KCI등재

        노인학대 예방 및 대처 교육프로그램 효과

        윤현숙(Yoon, Hyun-Sook),Lee, Hee-Yun,박은수(Park, Eun-Soo),윤지영(Yoon, Ji-Young),권종희(Kwon, Jong-Hee),박금화(Park, Keum-Hwa),남륜(Nam, Ryun),강성보(Kang, Sung-B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4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노인학대 인식 및 도움요청 태도에 관한 예방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60-80세 일반노인 124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대 동일비율로 할당표집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62명씩 무작위 할당하여 교육프로그램 전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노인학대의 대표적 유형인 신체적, 심리적, 재정적, 부부간 신체폭력, 방임, 자기방임의 여섯 가지 가상 시나리오와 노인학대 태도에 관한 20문항 척도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학대 인식변화에서 실험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학대에 대한 심각성 인식 정도에서 실험집단이 사후 노인학대를 더욱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도움요청 태도가 신체적 그리고 자기방임, 방임의 노인학대 상황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학대 인식제고 및 도움요청 태도에 관한 예방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과 예방교육 기능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Although elder mistreatment is rapidly increased and detrimentally affects an older perso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f the prevention have been spa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elder mistreatment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persons. 124 older persons drawn by quota sampling strategy was random``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62) and control group (62). By using six hypothetical elder mistreatment scenarios, the change of perceptions of elder mistreatment and help-seeking behaviors were measured and the change of attitude toward elder mistreatment was also measured by the Attitude toward Elder Mistreatment Scale at the time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Findings indicated that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erceptions of all six types of elder mistreatments including physical abuse, financial abuse, psychological abuse, elder mistreatment in a couple, self-neglect, and neglect. Significant increasement in perceiving seriousness of neglect, self-neglect, physical mistreatment in a couple, and psychological abuse were also found in experiment group. Perceptions of neglect and self-neglect were most increased among six types of elder mistreatments.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eeking help in all six types of elder mistreatment were also found in experiment group. where or not older persons perceived a hypothetical situation as a case of elder mistreatment was related with help-seeking behavior. Findings suggest more research on neglect and self-neglect, and point to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elder mistreatment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