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조직문화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두영,남궁민,Lee, Too-Young,NamGoong, Mi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3 No.4

        지식기반 사회에서 지식이 조직의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지식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 필요성과 함께 지식경영이 주목을 끌게 되었다. 지식경영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얻은 노하우나 경험과 같은 지식을 조직 차원에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신의 지식은 자신만이 가지고 있기를 원하고, 다른 사람의 지식은 알아내서 갖고 싶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의 성향이다. 그래서 조직 안에서 조직 구성원들 각자의 지식을 서로 공개하고 공유하려는 노력은 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결여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공동의 노력이 극히 부진한 원인과 지식공유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조직문화의 변화로부터 찾고자 하였다. In knowledge-based society, it is understood that the knowledge is an essential resourc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Lately,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accepted by many organization as a new theory of management. But the problem is that people, a component of the organization tend not to open their own knowledge to others, but to keep seeking knowledge of others. It can be found in many research papers that there have been very little efforts for sharing knowledge among members of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not sharing knowledge or ideas with others, to identify some cultural factors effecting their closed-minded attitude towards the sharing knowledge, and to find the solutions from the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의 기능성, 활용성, 편리성 분석 연구

        양현모(Yang, Hyun-Mo),남궁민(Namgoong, Min),김경용(Kim, Gyoung-Yong)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해양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의 사용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설문지를 기능성, 활용성, 편리성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제작하였고, 해양경찰청의 협조를 구하여 126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월 평균 시스템 사용 횟수에 따라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기능성, 활용성, 편리성 문항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부정적인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의 연구에서는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해양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원격의료지도 도구, 해양경찰 공무원의 구급 교육, 해양응급의료체계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ystem for coast guards who have experience using the coast guard remote emergency medical system.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 of the coast guard remote emergency medical system was divided into functionality, usability, and convenience evaluation items, and was conducted on 126 participants with cooperation from the Korea Coast Guard. When the satisfaction level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use of the system per mon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ity, usability, and convenience,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negative attitude overall.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coast guard remote emergency medical system. In addition, future studies ne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oast guard remote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conduct studies including new telemedicine guidance tools suitable for the marine environment, first aid education for coast guards, and the Coast Emergency Medical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