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발내사시수술 전후 대비감도의 변화 분석

        나정호(Jeong Ho Na),이수정(Soo Jung Lee)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6

        목적: 속발내사시수술 전후의 대비감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대비감도와 다른 시기능 요소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에 대한 수술 이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에 대하여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외사시수술 전, 속발내사시수술 전, 속발내사시수술 3개월 후 각각 대비감도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휘 유무에 따른 대비감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대비감도와 티트무스, 워트4등검사(W4D) 사이의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14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속발내사시에서 내사시수술 이후 박명시 환경에 현휘가 추가된 7.1, 10.2 cycles per degree (cpd)에서, 명소시 환경에서 현휘의 유무와 무관하게 10.2 cpd에서 대비감도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5). 속발내사시수술 전 명소시 환경에 현휘가 없을 때 1.1 cpd에서 대비감도와 입체시 사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1). W4D 결과에 따른 대비 감도를 비교하였을 때 외사시수술 전 명소시 환경에 현휘가 없을 때 10.2 cpd와 현휘가 추가된 2.9, 4.5, 7.1 cpd에서 융합을 한 군이 융합을 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비감도가 유의하게 좋았다(p<0.05). 결론: 속발내사시수술 이후 높은 공간주파수의 대비감도가 호전되었으며 속발내사시에서 대비감도와 입체감 사이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내사시 환자에게서 대비감도검사가 시기능의 간접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ontrast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nd consecutive esotropia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trast sensitivity and other visual function facto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consecutive esotropia after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o analyze changes after each surgery, contrast sensitivity was tested before surgery for exotropia, before surgery for consecutive esotropia, and 3 months after surgery for consecutive esotropia. The changes in contrast sensitivity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contrast sensitivity and the Titmus test and Worth 4 Dot (W4D) test were performed. Results: The study included 14 patients. In consecutive esotropia,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t 7.1 and 10.2 cycles per degree (cpd) under mesopic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glare and at 10.2 cpd under photopic conditions with and without glare after esotropia surgery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trast sensitivity and stereopsis at 1.1 cpd under photopic conditions without glare before esotropia surgery (p = 0.011). Comparing the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W4D results, the fusion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contrast sensitivity than the non-fusion group at 10.2 cpd under photopic conditions without glare and 2.9, 4.5, and 7.1 cpd with glare before exotropia surgery (p < 0.05). Conclusions: The contrast sensitivity at high spatial frequencies improved after surgery for consecutive esotropi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ast sensitivity and stereopsis in consecutive esotropia. This means that in patients with esotropia, the contrast sensitivity test is an indirect indicator of visual function.

      • KCI등재

        나이관련황변변성 환자들의 항산화 영양제 복용에 대한 설문조사

        나정호(Jeong Ho Na),임재완(Jae Wan Lim),방종욱(Jong Wook Bang),박강윤(Kang Yeun Pak),김현웅(Hyun Woong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중등도 이상의 황반변성을 진단받고 AREDS2 formula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복용 실태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9년 12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학적 특성, 질병에 대한 인식, 영양제 복용 실태 등에 대해 총 24문항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10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남자가 56%였고 연령은 60대 이상이 89%였다. 질환에 대한 이해도, 금연의 필요성, 항산화 영양제의 필요성에 대해 안다고 대답한 비율은 66%, 84%, 93%였다. 복용 실태 조사에서 복용 중인 약을 정확히 알고 있는 환자는 58%였고, 이 중 AREDS2 영양제를 제대로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63.8% (전체 환자의 37%)였다. 또한, 영양제 성분에 대해서 알고 있는 환자는 8%, 영양제를 매일 복용한다고 답한 환자는 91%였다. 복용 실태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유병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반변성 영양제를 복용하는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며(p<0.05), 연령이 높고 저학력일수록 황반변성질환에 대한 인지가 낮았다(p<0.05). 결론: 황반변성 영양제 복용 실태 조사에서 정확한 AREDS2 formula를 복용하지 않는 환자들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use of second AREDS2 formula in patients with intermediate or advance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ethods: A prospectiv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July 202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on demographics, disease perception, and formula intake. Results: The survey included 100 patients (males, 56%; age [>60 years], 89%). We found that 66%, 84%, and 93% of pati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ir disease, had stopped smoking, and were aware of the need for antioxidant supplements; 58% of patients were aware of the supplement they were prescribed, and 63.8% (37% of total) were using the AREDS2 formula. Only 8% of patients had knowledge regarding the supplement ingredients, and 91% consumed the supplement daily. Patients with long disease duration used supplements less frequently (p < 0.05). Older patients and those with a low education level had a limited perception of the disease (p < 0.05). Conclusions: In this prospective survey, some patients consumed supplements other than the AREDS2 formul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way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REDS2 formula.

      • KCI등재

        국토 교통 공공데이터 기반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 예측 모델

        나정호 ( Jeong Ho Na ),윤성호 ( Sung-ho Yoon ),오효정 ( Hyo-jung 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7

        매년 동절기 블랙아이스(Black Ice)로 인한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치사율은 다른 교통사고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질(heterogeneous)·다형(diverse)의 데이터를 활용한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토 교통 공공데이터와 기상 공공데이터 42종의 12,574,630건을 수집하여, 결측값을 처리하고 정규화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뒤 최종 약 60만여 건의 정제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수집된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블랙아이스 예측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21개 요인을 선별, 다양한 학습모델을 조합하는 방법을 통해 블랙아이스 발생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예측 모델은 최종적으로 노선별 블랙아이스 위험지수 도출에 사용되어 블랙아이스 발생 경고 서비스를 위한 사전 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Accidents caused by black ice occur frequently every winter, and the fatality rat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traffic accidents. Therefore, a systematic method is needed to predict the black ice formation before accide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black ice prediction model based on heterogenous and multi-type data. To this end, 12,574,630 cases of 46 types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public data and meteorological public data were collected. Subsequently, the data cleansing process including missing value detection and normalization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pproximately 600,000 refined dataset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42 factors collec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black ice by selecting only 21 factors that have a valid effect on black ice prediction. The predictio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will eventually be used to derive the route-specific black ice risk index, which will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black ice warning alart services.

      • KCI등재

        사고 위험도 지수 기반 실시간 블랙아이스 경보 서비스

        나정호(Jeong Ho Na),강윤아(Yoona Kang),김지혜(Ji Hye Kim),오효정(Hyo-Jung Oh)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As the demand for automobiles increases every year,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accidents caused by black ice in winter are on the rise. In this study, we propose a real time black ice warning alert service model that measures the accidents ris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black ice formation prediction model using heterogeneous and diverse public open big data and provides road surface condition and accident risk based on the current user’s location. To this end, we collected highway traffic accident data, and integrated with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meteorological data. subsequently, we selected the factors that have a valid effect on traffic accident and derived accident risk index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we developed a warning alert service by visualizing it through the web.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black ice in advance through a real-time alert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