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사와 만선사(滿鮮史)

        이노우에 나오키(Inoue, Naoki),박성현(번역자)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동서인문학 Vol.0 No.53

        러일 전쟁 후 시라토리 쿠라키치[白鳥庫吉], 이나바 군잔[稲葉君山] 등의 연구자는 일본의 확고한 한국 통치를 위해 한반도와 요동반도를 같이 지배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위해 ‘만선 불가분론(滿鮮不可分論)’을 주창했다. 여기에서 고구려사는 매우 중시되었는데, 요동반도와 한반도를 동시에 지배한 나라는 역사상 고구려가 유일했기 때문이다. 만선사(滿鮮史)라고 하는 것은 역사적 · 지리적은 물론 당시의 정치적 정세로 보았을 때 고구려를 근거로 한 역사 지리적 공간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만선사는 곧 고구려사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만선사와 고구려사의 밀접한 관계가 인정되어, 그 특질의 하나를 엿볼 수 있는 것이다. After Russo-Japanese War, KURAKICHI Shiratori and KUNZAN Inaba insisted on ruling over Korean Peninsula and Liaotong Peninsula at the same time for strong rule of Japan in Korea. Therefore, they insisted on the inseparability of Manchuria and Korea. It was only Koguryo to have ruled over Liaotung and Korean Peninsula at the same time in history. Therefore the history of Koguryo was esteemed. The history of Mansen (Manchuria-Korea) is not only a historic geography object, and, judging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it may be said that it was history geographical space to assume only Koguryo grounds. History of Mansen was history of Koguryo. This shows that the history of Mansen and history of Koguryo were related. And I can accep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Mansen.

      • KCI등재

        일본학계에서의 광개토왕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이노우에 나오키(Inoue Naoki)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9

        일본의 광개토왕비 연구는 일본고대사와의 관계 속에서 ‘의심할 수 있는 고전’에 비해 ‘의심할 수 없는 古碑’로 주목되어 연구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 사실은 광개토왕비가 고구려 사료로서가 아니라 시종일관 일본고대사 자료였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광개토왕비 연구는 일본인 연구자에 의해 정력적으로 연구되어 왔다고도 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그 시점까지 일본에서 광개토왕비는 결코 고구려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보여주는 사료로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광개토왕비가 고구려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해명하는 사료로서 종합적으로 연구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다케다에 의한 일련의 연구성과를 기다려야 했던 것이다. 이 사실은 일본 광개토왕비 연구의 특징 중 하나로서 지적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일본에서의 광개토왕비 연구의 제1 과제는 먼저 고구려사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추구하는 사료로서 그것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광개토왕비 연구상 극히 중요한 묵본·탁본의 연구 또한 진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광개토왕비의 연구 진전을 위해서 신출사료에 기초한 탁본의 제작 경위, 성격 연구 등 기초작업은 향후에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제2의 과제로 들겠다.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과제는 광개토왕비 탁본이 일본에 전래되는 과정에 대한 해명과 근대 일본에서 광개토왕비의 의의를 밝히는 일이다. 광개토왕비 연구는 근대 일본의 발걸음, 아시아 인식과도 밀접하고 불가분하다. 그렇기 때문에 광개토왕비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그것을 포괄한 근대·현대 일본의 한국사학 · 동양사학의 존재방식을 묻는 것으로서 추구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이것을 제3의 과제로 지적하고자 한다. 근년 일본에서의 광개토왕비 연구는 저조하지만, 위에서 서술하였듯이 아직 해명해야 할 과제는 적지 않다. 이러한 과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해 가는 일이 이후에도 중요할 것이다. Many researchers in Japan have recognized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as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Therefore, many Japanese ancient history scholars have inquired positively in ancient history research using the epitaph. This means that many Japanese ancient history researchers did not view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as a historical record of Koguryo. In Japan, the epitaph was not studied as a historical record of Koguryo until the research of Takeda Yukio(武田幸男) in the 1970s. This is one of the individual styles in research in Japan on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Thus the first problem we should research in the future is the study of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as a historical document of Koguryo. The second problem is to push forward with study of the ink copies(J. mokuhon /K. mukbon 墨本) and the rubbings(拓本). The third problem is to clarify the process when a rubbing of the epitaph was brought to Japan and to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the Epitaph of King Gwanggaeto in modern Japan. Recently, research in Japan using the epitaph has not been active. However, it is important to conduct such research.

      • KCI등재

        콜라겐 펩타이드 섭취 무모생쥐에서 UVB 조사에 의한 피부 손상에 미치는 효과 규명

        신현준(Shin Hyun-Joon),박종일(Park, Jong il),권창주(Kwon, Chang-Ju),김화영(Kim, Hwa young),나오키 이노우에(Inoue, Naoki),고이즈미 세이코(Koizumi, Seiko),황재성(Hwang, Jae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Tilapia fish에서 얻은 콜라겐 펩타이드 (TFCP)의 섭취가 UVB를 조사한 무모생쥐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모생쥐에 1주일에 3번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였고, TFCP 545, 1090 mg/kg 을 매일 총 12주간 경구투여 후, 주름생성, 피부 두께, 홍반, 피부 수분량, 하이드록시프롤린, MMPs 및 filaggr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UVB만 조사 한 군과 비교하여 UVB를 조사하고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에서 주름생성, 피부 두께 및 홍반이 감소하였고 피부 수분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콜라젠 양과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양도 TFCP를 섭취한 군에서 UVB 조사군에 비해 유의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FCP를 섭취한 군에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MMP-2, MMP-9 뿐만 아니라 MMP-3, MMP-13의 mRNA 발현량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filaggrin의 단백질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TFCP의 섭취는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손상을 회복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FCP는 피부미용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agen peptide intake extracted from the tilapia fish (TFCP) on UVB-induced skin in hairless mice. To cause photoaging, the hairless mice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three times a week and TFCP was administered with 545 and 1090 mg/kg once a day for 12 weeks. The level of wrinkle formation, thickness of the skin, acute erythema, skin hydration, amount of hydroxyproline, expression of MMPs and filaggrin were measured. Wrinkle formation, thickness of the skin, and acute erythema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skin hydration was higher in the TFCP intake group compared to the UVB-control mice group.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collagen and hydroxyproline of the collagen peptide intake group were much higher than the UVB-control group. Oral administration of TFCP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 MMP-3 and MMP-13 mRNA level as well as activated MMP-2 and MMP-9 induced by UV irradiation, and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filaggrin in hairless mice skin. In summary, the oral administration of TFCP can inhibit wrinkle formation and protect the skin from UV-dam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FCP is a potential candidate material for skin functional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