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력식 연직수문의 자유흐름 상태에서 하단방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일영,최흥식,이지행,나성민,Han, Il Yeong,Choi, Heung Sik,Lee, Ji Haeng,Ra, Sung Mi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5

        연직수문의 방류량 계산에 필요한 수리학적 변수는 유량계수, 수문개방고, 상류수심이다. 자동수문의 수문개방고는 나머지 변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영 중 수문개방고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정밀한 수문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식 연직수문 모형을 대상으로 부력이론으로 계산한 수문개방고와 실험에서 방류 중에 측정한 값과의 관계로 부터, 임의의 상류수심에서 수문개방고를 예측할 수 있는 무차원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측정값이 계산 값과 차이가 나는 것은 동수압 하중에 의한 영향임을 압력계수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유량계수는 수문개방율과의 무차원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관계식들을 홍수추적에 적용한 결과, 수문설계 시에는 동수압 하중으로 인한 수문개방 억제 효과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Hydraulic variables such as discharge coefficient, gate opening, and upstream water depth are required to calculate the discharge of vertical lift gate. It is very important for a precise gate design, because it may affect the rest, to predict the behavior of gate opening during operation. In this study, an equation by which gate opening could be predicted with any upstream water depths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value from buoyancy theory and measured one from experiment for a floating gate model. Downpull force wa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and it was verified using pressure coefficient. Also, the rel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with gate opening ratios was derived. The derived relations were used for flood routing and it was realized that downpull force effect should be fully taken into account during gate design.

      • KCI등재

        지류하천의 중ㆍ상류에서 부력ㆍ승강식 가동보의 수위조절 성능

        한일영(Han Il Yeong),최흥식(Choi Heung Sik),이지행(Lee Ji Haeng),나성민(Ra Sung Mi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년 중 일정한 하천수위를 유지하기 어렵다. 더욱이 지류하천의 중ㆍ상류는 갈수기에는 건천화가 발생하곤 하며, 홍수기에는 빠른 유속으로 하류의 홍수위를 상승시키곤 한다. 따라서 지류하천 중ㆍ상류에 는 수위조절 기능을 가지는 가동보를 설치하여 저류와 분배기능을 부여하고, 수재해 예방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ㆍ승강식 가동보에 의한 수위자동조절 효과를 금강 지류인 치성천의 중ㆍ상류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흐름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성능구현을 위한 조건들을 검토하였다. 부력ㆍ승강식 가동보는 저류와 자동방류 기능으로 홍수기에는 하류의 홍수위 완화에 효과적이었으며, 다단으로 연속 배치할수록 효과는 향상되었다. 갈수기에는 하천수를 다단 저수함으로서 하천 관리유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요량 이상의 용수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stant water level at river which has a high regime coefficient all the year round in Korea. This situation becomes worse at the middle and upper stream of tributary river. There often occurs a dry stream phenomenon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rapid flow raises downstream water level in the event of fl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on and make use of storage and distribution function using a movable weir. This paper attemp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through hydrological flow routing method, for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at middle and upper stream of Chiseong river a tributary of Geum river. It was effective in downstream flood control and the effect was enhanced by a serial placement. And a series of water storage enabled to secure river management flow and more than water requirement during a dry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