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금행위를 통해 본 가족관계의 협상과 딜레마

        김혜선(Kim Hye Son)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송금행위를 가족관계의 협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은 노동으로 일한 돈을 송금하는 노동이주자와는 달리 남편에 의존해 있기 때문에 송금행위는 더 갈등적이고, 전략적으로 행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송금행위는 가족의 생애주기가 바뀜에 따라서 변화하고, 성역할이나 부부간 신뢰와 애정, 취업 등 자원을 동원하고 협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행위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나는 행위전략은 크게 5가지로 요약하였다. 이주여성은 기대된 성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남편으로부터 송금이라는 보상을 받기도 하고, 취업을 통해 송금을 보내기도 하고, 누가 가족인가를 재정의함으로써 본국 가족에서 부부가족으로 가족의 경계를 설정하기도 한다. 때로는 베트남 딸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이주한 딸에 기대되는 송금을 중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편이 경제활동을 그만두게 될 때 남편에게 되돌려 줄 의미로서 송금을 이해하고 있었다. 한편 한국의 이주법체계, 가부장적 가족체계 속에서 이주여성은 외국인 생계부양자가 되거나 본국 가족과 가족을 형성할 수 있는 권리가 배제되는 모순적 상황을 가져온다. 이러한 딜레마는 한국 사회가 결혼이주여성의 시민권과 가족결합권 문제를 고민해볼 시점에 이르렀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d experience of cross-border marriage migrant women’ remittances which are occurred in the context of family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are how marriage migrant women deal with their intentions to provide monetary support against their husbands’ ones and how they negotiate to achieve the remittance needs. Marriage migrant women commanded various bargaining resources, ranging from perfoming the expected gender role perfectly, finding a job, persuasding their husbands and redefining the family relationship and so on. There are 5 types of marriage migrant women’s stratagies. a) Sending remittances is the case that they perform their gender roles well such as childbirth, nurthuring and so on, then their husband give the money as a reward of wife’s efforts of gender roles performance. b) Migrant women set the family boundaries redefined who are their family. This shows well the transnational family ties are transformable and negotiable. c) Marriage migrant women return their identities as Vietnames woman as she doesn’t migrate. d) They think the remittance as return money to their husband when they may retire some day e) They find a job to send the money to their natal family. On the other hand, marriage migrant women are standed in controdictory position in Korea Immigrant Law regime and patriarchy family system. Migrant woman works for her daughter because her husband abandoned the living, so she becomes the breadwinner position on household. But she doesn’t attain the Korean citizenship on account of her husband’s disagreement. Another case, marriage migrant woman can’t form with her natal family in the same household in Korea because the right of family formation is strictly restricted. Findings in this study will pave a way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remittances formed by different migrant ethnic descent and emigration type.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연계적 사회자본

        김혜선(Kim, Hye-Son)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족자원, 에스닉 네트워크, 연계적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이주여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이제까지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들은 네트워크의 형태와 구조, 속성 등에 주목하여 이주자들이 맺는 관계유형의 차이를 설명하고, 강한 유대와 약한 유대, 결속적 유대와 교량적 유대 등 다양한 개념화를 발전시켜 왔으나 네트워크를 이분법적이고 정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네트워크의 다차원적이며 중첩적인 속성을 충분히 고찰하지 못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이 가족경계를 넘어 사회관계를 형성하는데 한국어 능력은 중요한 자원이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이웃이나 에스닉 공동체, 민간이나 공적 서비스기관 등과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확장한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은 자영업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전략으로 에스닉 네트워크를 활용하거나 한국사회의 배타적인 기회구조와 차별에 대한 대응으로 에스닉 네트워크를 선택하였다. 한편 결혼이주여성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가족자원을 극복하며 삶을 살아가는 방편으로 민간이나 공공기관에 접촉하여 공적 서비스를 활용한다. 결혼이주여성을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적극적으로 통합시키려는 다문화 사회정책은 이주여성이 손쉽게 공적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형성되는 연계적 사회자본은 이주여성이 가정폭력이나 가난과 같은 삶의 취약성에 노출되기 쉽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계적 사회자본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약성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정서적, 사회적 지지망이자 에스닉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앞으로 네트워크 연구가 네트워크의 다차원적이고 중층적인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onfiguration of multidimensional social networks that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have- focusing on family resources, ethnic networks and specifically linking social capital- and explore how they access informa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services by utilizing various social networks and thus increase their adaption to the host society. The data come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5 voluntary participants. So far, social network studies hav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ocial networks that migrants make by paying primary attention to the form,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developed various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strong ties vs. weak ties and bonding capital vs. bridging capital. However, past studies tended to apply the dichotomous conceptual frameworks or to consider the nature of social networks static, rather than dynamic, and consequently fail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ocial networks formation and the complex, overlapping properties of social networks. Findings show tha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a key for them to build various social ties beyond family boundari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gradually have formed and expanded various social networks in their neighborhoods, the ethnic networks, and linking social capital. Ethnic networks are chosen in response to their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blocked opportunities in Korean society, or as a family strategies for promoting their small business. Meanwhile, marriage migrant women access social services by contacting private organiz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as a way of overcoming relatively poor family resources and living their meaningful lives. Multicultural social policies aiming for their active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provide opportunities for marriage migrants to easily utilize public services through their contacts with private organiz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Yet linking social capital formed unanticipatedly through this process is often a reactive result reflecting their vulnerabilities to domestic violence, poverty and other problems in life. Nevertheless, linking social capital provides with an opportunity to expand ethnic networks in which they can gain social support and learn to overcome the vulnerabilities in life. This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account for the configulation of their various social networks, the process of multidimensional social network formation.

      • KCI등재

        제조업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과 사업장 변경의 딜레마

        김혜선 ( Hye Son Kim ),정진주 ( Jin Joo Chu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산업노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외국인근로자의 안전보건이 ‘외국인’이라는 특수성을 어떻게 담보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법ㆍ제도 차원, 조직적 차원 그리고 개인의 행위차원에서 실제 안전보건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제까지 이들의 안전보건은 주로 이들이 겪는 언어적 차이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접근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안전보건의 문제는 언어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근로자로 일하는 이주노동이라는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한국의 이주법체계에서 규정하는 한국어능력, 송출국의 취업교육과 외국인근로자의 직업경력이 실제 하는 일이나 안전보건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사업주의 관리감독과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정보제공 등 사업장 안전보건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사업장 안전보건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외국인근로자의 행위는 크게 네 가지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첫째, ‘자기가 알아서’ 조심하는 방식이다. 둘째, 안전보건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이다. 셋째, 사업장을 변경하거나 이탈하는 방식이다. 넷째, 사업주가 사업장변경에 동의하지 않아서 이를 체념하고 일을 계속하는 경우이다. 이중에서 외국인근로자가 사업장을 변경하거나 이탈하는 경우는 이제까지 외국인근로자는 주로 높은 임금을 위해 이직을 하고 미등록 체류자격으로 남게 된다는 사회적 통념을 깨는 행위이며, 외국인근로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때 안정적인 고용 역시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끝으로 외국인근로자의 안전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migrant workers are ensured. We focus on law and institutional/organizational aspects, and personal behaviors. In many cases, issues of migrant workers’ OSH have been dealt in terms of cultural and language difficultie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grasp the migrant worker’s OSH related problems. We examine how the institutional requirements such as Korean Language ability test, employment education and migrant workers’ job career secure OSH for migrant workers before they arrived in Korea. We also discuss whether employers appropriately provide migrant workers with appropriate OSH training. There are four types of migrant workers’ responses when OSH doesn’t work properly. First, migrant workers take care of themselves. Second, they don’t realize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 and the necessity of OSH. Third, they change or leave the workplace without legal permission. Forth, they give up changing workplace due to their boss’s disapproval and continue to stay at the same workplace. The last case do not match with the common social notion that migrant workers change their jobs for higher wage. Since workplace change or departure often results in disadvantage such as the restriction on re-entry to Korea in the future, migrant workers are not likely to change their workpla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revious job career of migrant workers in their own country should be linked to their job ability required for current work tasks. It is necessary to heighten the recognition of the OSH among both employers and migrant workers. Either improvements of working conditions or endowment of rights of changing their workplace in case of confronting health hazard is necessary for occupational health for migrant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