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부분생격에 관한 재고찰

        김형섭(Kim Hyoungsup)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러시아어의 부분생격은 생격과 구별되는 [?한정성]과 [+양화성] 자질을 갖는 유표적 격으로, 물질이나 재료 등을 나타내는 불가산 남성 불활성체 명사에 ?u 또는 ?ju의 어미를 붙여 사용된다. 러시아어에서는 부분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부분생격형 뿐만 아니라, 불가산 여성명사와 중성명사는 단수 생격 형태로, 복수 가산명사는 복수 생격의 형태로 부분성 자질을 표현한다. 하지만, 단수 가산명사의 단수 생격 형태는 부분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부분성의 의미를 일반생격과 부분생격으로 표현하는 러시아어의 격체계 내에서는 부분생격의 지위는 생격의 일부 역할을 수행하는 하위부류로 간주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남성 불가산 명사의 경우에만 부분성을 나타내기 위해 유표적 격인 ?u 또는 ?ju를 사용하고 나머지 명사들은 생격으로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이 간접적 증거라 할 수 있다. 부분생격의 격실현은 동사적 자질들과 명사적 자질들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동사의 상(완료상-불완료상)과 관련된 유기적 관계는 [+/?결과성], [+/?경계성], [+/?부분성], 그리고 [+/?피영향성]의 자질로 설명되며, 명사적 요소는 [+/?한정성], [+/?경계성], [+/?부분성] 등의 명사적 자질에 의해 부분생격의 사용을 설명할 수 있다. 부분생격은 완료상 동사와만 함께 사용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동사의 자질인 [+결과성]과 [+경계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반면, 부분생격은 내재적으로 [?한정성], [+양화성]의 자질을 가지며, 완료상과 함께 사용된 대격은 [+한정성]과 [?양화성] 자질을 갖는다. 이러한 동사적 자질과 명사적 자질은 독릭적으로 또는 상호적으로 사용되어 러시아어 부분생격의 실현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Russian partitive genitive, so-called second genitive, is markedly used to express ‘some/part of X’. This partitive is different from genitive case in that the former has inherent features of [-definite] and [+quantificational]. The partitive endings -у or -ю are attached to uncountable masculine nouns, which indicate mass nouns or material nouns. In Russian, regular genitive forms of feminine or neuter nouns and plural nouns can represent partitivity, since they do not have marked partitive forms. This explains that partitive genitive belongs as a subgroup to regular genitive as a subgroup. The realization of partitive in Russian is closely related to both verbal aspect and NP. VP-related features are [+/?resultative], [+/?bounded], and [+/?partitive]. Perfective aspect has [+resultative], [+bounded], while imperfective has vice versa. Partitive genitive is inherently indefinite and quantificational. Therefore it must be used with perfective verb, but not with imperfective verb. This VP- and NP-related feature-based approach to Russian partitive genitive can analyze the core of Russian partitivity expressed by partitive genitive or regular genitive. Furthermore, alternation among accusative-genitive-partitive genitive in the direct object position will be clearly clarified in this feature-based study.

      • KCI등재

        What if Morphology and Semantics Conflict in Russian?

        Hyoungsup Kim(김형섭)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1 러시아학 Vol.- No.7

        본 논고는 특정 명사 부류의 의미적 부분과 문법적 부분이 상충될 때 발생하는 형태의미론적 대립 문제를 어휘의 명사적 자질을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일부 명사들은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문법적으로 올바르게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명사가 문장 내에서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최소 어휘체계(Minimal Lexemic Representation, MLR)를 사용하여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최소 어휘체계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왼쪽은 의미적-지시적 자질(R-features)을, 오른쪽은 문법적-형식적 자질(F-features)을 나타낸다. 의미-지시적 자질은 어휘 의미에 의하여 자질이 결정되고, 문법적-형식적 자질은 어휘 의미 또는 음성학적 실현(spell-out)과 관련하여 정해진다. 의미적 자질로는 [동물:+/-], [성별(sex):남/녀], [개수(cardinality):단/복]가 있으며, 반면에 형식적 자질로는 [명사변화형: Im/n, II, IIIa/b/c, IV], [활성체:+/-], [성(gender):남/여/중], [수(number):단/복], [격:주격]이 있다. 서로 다른 짝의 자질들은 서로 상호 작용하여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낸다. 문법적 자질인 [성(gender)]은 명사의 형태나 변화 형태뿐만 아니라 [성별(sex):]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명사의 성은 어휘적 성(Lexemic gender)과 지시적 성(Index gender)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주어-서술어 일치(Subject-Predicate Agreement)와 형용사-명사일치(Concord)를 설명해 준다. 최소 어휘체계에서 [격] 자질은 완전한 통사적 자질이며, 다른 명사적 자질들은 어휘 의미에 따라 결정되는 종속적 자질들이다. 본고에서는 형태-의미론적 대립을 보이는 명사들로 i) 통성명사, ii) 어미 –a를 가진 남성명사, iii)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명사 부류, 예를 들어, врач, социолог, преподаватель, космонавт, профессор, 등과 같은 명사들을 분석해 본다. 개별 단어로는 iv) подмастерье '견습공', v) домище '큰 집' vi) домишко '작은 집'을 최소 어휘체계를 이용하여 분석해 본다. 또한 접미사가 붙은 명사의 일부로 vi) мальчишка 와 vii) 복수로만 사용되는 명사(Plurality Tantum Noun, PT noun)들을 최소 어휘체계를 토대로 의미적 자질과 문법적 자질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조사해 본다.

      • KCI등재

        러시아 언어문화 연구

        김형섭(Kim, Hyoungsup)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1

        This research examines the overall Russian language culture with the special attention to the use of emoticons and changes of the Russian language system. As the cutting-edge technology for tele-communication continuously develops, many kinds of means of tele-communication also evolves in various ways. To make it easy and efficient to express personal emotions in SNS or MMS-based circumstances, the majority of users employ emoticons in their text-communication. Emoticon is a compound word of ‘emotion’ and ‘icon’, which is synonymous to smiley, the shape of which looks like a smiley face. There are several functions of Emoticon: i) to express personal emotion effectively, ii) to communicate succinctly, iii) to help communicate as a modal code, and iv) to play a role as a global and universal language. Emoticon serves as a sign in a semiotic system. Sign consist of signifier (form) and signified (meaning). Emoticon is also used in the semiotic system. Within the frame of semiotics, emoticons facilitate addressees of communication to perceive addressers’ emotions in an easy and vivid way. Emoticons evolve incessantly, i.e., letter emoticons 〉 image emoticons 〉 flash emoticons 〉 multimedia emoticons 〉 humoticons, which contain addresser’s face or gesture with the aid of webcam. With regard to diachronic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circumstances, SMS-based communication develops into SNS and MMS-based one. This kind of emoticon booms caused radical changes in the Russian language system. In cyber-texting circumstances, most of users utilize internet slangs or emoticon. Internet slang formed through the following word-formational mechanism, such as initialization/acronyms, syncope, apocope, loan expressions in phonology, mormorphology and phonetics. Cyberspace is a space where people with a variety of languages and cultures get together to communicate via smartphones or tablet PCs and so on. As the cyberspace changes like an organism, emoticons and the language system will keep changing in order to survive as the fittest in the future.

      • KCI등재

        러시아어『(что)бы + Vpast』구조의 양상(modality) 표현 연구

        김형섭(Hyoungsup Kim) 한국슬라브어학회 2023 슬라브어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dality in Russian, particularly, in the structure of ‘(что)бы + Vpast’. Cross-linguistically subjunctive mood contains modal factors, such as volitions, wishes, counterfactual conditionals, necessity, desirability, etc. Generally, morphological markers for subjunctives are less than those for indicative. In the case of Russian, subjunctive mood is expressed as the structure of particle ‘(что)бы + Vpast’, which is a simplified form of 2/3 person, sg. aorist of Old Russian auxiliary быти+l-participle. Subjunctive more likely occurs in the complement clause in some languages, but Russian subjunctive can both in main clause, and in the complement clause. Also, subjunctive expresses modality and modal meaning both in phrasal sentence and in clausal sentence. Чтобы complementizer can be employed with various part of speech, such as verbs, nouns, adjectives, adverbs, and even prepositions with modal meaning. Modal meanings of lexical items projects to subordinate clause of чтобы+Vpast and causes the matrix subject’s wish, will, desire etc., to be realized in the sentence. In this structure, the subject of a subordinate clause must not be coindexed with that of matrix verbs by ‘Obviation Phenomenon’. Also, the Russian relative clauses take the structure of ‘бы+l-participle’ to express De Dicto reading for antecedent nomina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