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맞춤형 소방안전교육 활성화 방안

        김형섭 ( Kim¸ Hyeong-seop ),주성빈 ( Joo¸ Seong-bhin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노인들의 일자리 증가 등 사회활동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나타나는 위기 대처능력의 부족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되고,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특히, 1960∼70년대 빠른 경제성장 과정에서 소방안전교육을 받을 기회조차 적었던 노인들에게 파생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라 여겨진다. 연구방법: 주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통계자료 검토 및 분석, 설문조사이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안전취약계층의 노인 복지시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중 노인 안전사고사례를 통하여 소방안전교육의 화재대피의 중요성이 부각된 2018년 밀양 세종요양병원의 대형화재와 스위스 치즈 모델의 안전사고 이론을 접목하여 실제 재난발생사례를 활용하여 노인시설의 화재대피에 대한 소방안전교육의 중요성을 검토하였으며, 국외 선진국의 노인관련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안전에 대한 개념과 정의, 안전취약계층인 소방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유아와 청소년 그리고 성인과 비교한 노인에 대한 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부산소방 119구급대의 65세이상 노인 이송현황 및 유형별 사고부상 등의 통계자료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시설을 방문하여 노인시설 종사자에게 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적정성과 추가로 필요한 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설문조사하였다. 결론: 분석결과와 논의를 통해 안전취약계층인 노인에 대한 표준화된 맞춤형 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 구축하여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을 보호하고 안전의식 문화를 확산해 나가는 등의 노인의 소방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Rapidly aging phenomenon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he lack of crisis response ability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elderly'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mid frequent social activities such as job growth.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it is time to prepare social problem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elderly, who had fewer opportunities to receive fire safety education in the process of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and 1970s. Methods: The main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statistical data review and analysis, surveys, and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as reviewed by combining the safety accident theory of the Swiss cheese model with the large fire evacuation in Miryang Sejong Nursing Hospital in 2018. Second,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status of transportation of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and accident injuries by type of Busan Fire Department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compared to infants, adolescents and adults.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ppropriateness of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additional necessary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senior citizens.s. Conclusion: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we established a standardized customized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safety, to protect the elderly in our society and spread a safety awareness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