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뮤니티 디자인을 활용한 도심재생모델 구축에 있어 가로경관요소와 이미지 분석 연구

        김형보(Kim HyungBo) 한국주거환경학회 2016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4 No.2

        This research concerned on the streetscape elements and image analysis for urban center regeneration model by community design. This study revealed that an importance of scenes of cities are getting more crucial owing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cities. These phenomenon which are associated with view of the street have had an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se have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rather than positive ones due to dealing with scenes of the cities without enough preparing because of tending to consider only a design of an individual case and epidemicity when signboards and buildings are designed. However, the factor of views of the cities which is one of elements of them play a critical role. In order to cope with these negative factors, the developed countries are taken for instance by using 'Google Earth' data and then features and techniques of scene of the cities are analysed and evaluated by analysis and comparisons of them.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features and faculties of each cities and factors of views of avenue by concreteness of them which are based on an image of the street that are abstracted from developed countries. As presenting the plans of improvement of them, the study will make progress of competition.

      • KCI등재

        지오태그(Geo Tag)를 활용한 도시경관 자원 발굴

        황선미(Hwang, Sunmee),김형보(Kim, Hyungb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촬영한 사진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경관계획의 약점을 보완하고,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올린 사진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선호 경관을 조사 및 고찰하고자 하였다. 경관자원 발굴을 위하여 Open API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추출된 데이터를 점 데이터로 변환한 후 커널밀도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경관자원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도출된 데이터를 부산시의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관광실태조사 등 기존 자료들의 데이터들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 등의 방식으로 수립되어오던 경관계획 과정에 지오태그 데이터를 연계하여 다수의 이용자 의견을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구득하여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정책수립 과정에서 시민 의견 수렴 및 반영 과정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방법론이 경관계획을 비롯한 다양한 정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and consider the user’s preferred landscape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photos taken by ordinary people to supplement weaknesses in existing landscape plans and analyze the data of photos uploaded voluntarily by users. A database using Open API data was built for the excavation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extracted data was converted into point data. Then, this study determined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resources through kernel density analysis. The derived data were compared with existing data such as the Busan Metropolitan City Landscape Design Guidelines and the Tourism Survey in terms of accuracy and validity. Existing urban landscape planning has been conducted through expert advice and survey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to utilize geotag data to obtain the opinions of multiple users in less time and at less cost and to reflect them in urban landscape plann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reflecting citizens" opinions in the course of policy-making continue to be strengthened, and we expect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various policy processes, including urban landscape planning.

      • KCI등재

        경관 차폐거리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유진(Oh, Yujin),조용성(Cho, Yongsung),김형보(Kim, Hyungbo)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6

        경관은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 아래서 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구로 자산적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공동주택의 가구수가 증가하면서, 세대별 경관환경이 주거환경 효용 가치의 주요 변수로 부각되면서, 주택매매가격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경관의 가치를 측정하는 기준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평가 기준으로, 경관 차폐거리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경관요소를 가진 대상지를 선정하고, 가격지수 조정 후, 변수 조사를 진행하여 유효한 영향 변수를 추출하였다.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선별된 영향 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검토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차폐거리가 가까울수록 주택가격은 하락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적인 관점에서 거리에 따른 차폐 정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용가치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 두 부분에서 본 연구는 차폐율, 천공율을 주요 변수로 한정한 선행 연구들에 비해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경관 가치 판단 요소로써 경관의 객관적인 가치 측정과 쾌적하고 아름다운 경관 조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Landscape has become an asset value by the desire of those who want to live in a pleasant and beautiful environment.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households in apartment complexes increases, the landscape environment for each household is highlighted as a major variable in effective value of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ing the fluctuations in housing sales prices. However, the standard for measuring the value of the landscape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landscape shielding distance on housing prices as a new evaluation criterion. First, we selected a target with the same landscape elements and adjusted the price index.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deriv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closer the landscape shielding distance to the landscape, the lower the housing pric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shielding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a three-dimensional point of view and derived the difference in utility value accordingly. These points differentiate this study from previous studies, in which shielding ratio and ratio of visible sky were limited as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new aspect of the measuring value of the landscape that will help to make objective value measurement of landscape and create pleasant and beautiful landscape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