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김현희(Hyeonhee Kim) 민족미학회 2010 민족미학 Vol.9 No.-

        The myth of creation tells us how world is arised. It is not a history but a story told by men and women in the world. Therefore, in reading myths, we can conceive the unconsciou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e myths of Jeju are very important in Korean Mythology, because Jeju-do has been alienated from the Korean political center like Crete in ancient Greece. Hesiodos tells us about the War of Gods in Theogonia. Chronos swallows his sons, and Zeus kills his father. Greek myths show us a kind of power game. There are two myths of creation in Jeju; ‘Cheonjiwang-Bonpuri’ and ‘Seolmudaehalmang’. ‘Cheonjiwang-Bonpuri’ tells us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the harmonized union of Chenjiwang from heaven and Chongmaengbuin in earth. Seolmundaehalmang is a Goddes who has created Tamra, Islands of Jeju. It has been produced by Seolmudaehlmang who played with clay like Dyonisos with mirror. She made the Hanra-Mountain, Oreum, Sangumburi and so on. Ancient Greek philosophy had originated from the Greek myths. On the other hand the myths of Jeju are associated with Taoism. The myth of creation has a relation with a view of time and space. Chronos(that means time in Greek) is time like a straight line, which becomes a basis of the western modern culture. However, the western are afraid of the time. Chronos swallows his son as if the future makes the past disappear. The oriental think that time and space are not separated. For us time and space are universe which is circular and repeated like waves.

      • 에로스와 필리아

        김현희(Kim Hyeonhee) 민족미학회 2015 민족미학 Vol.14 No.2

        에로스(eros)는 본능적 욕구에서 비롯되는 사랑을 의미하고, 필리아(philia)는 친구 간의 우애나 우정 혹은 벗사랑을 의미한다. 이 두 개념은 고대 희랍에서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었다. 피타고라스학파에게 필리아는 우주의 질서를 닮은 조화로운 영혼이 당연히 따라야 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공동체 생활을 통해 실현되었다. 플라톤의 대화편 『뤼시스』에서 필리아는 에로스와 마찬가지로 욕구(epitymia)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이후 『심포지온』에서는 욕구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에로스가 중심 주제로 등장한다. 플라톤의 에로스는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되지만, 점점 상승하여 미의 이데아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될 수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는 윤리학의 영역에서 논의된다. 그에게 필리아는 행복(eudaimonia)을 실현하는 하나의 요소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윤리적 삶은 사회적 정의와 동시에 개인의 행복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그의 윤리학에서 정의와 윤리적 덕은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 속에서 순환한다. 바로 그 순환을 매개하는 것이 필리아이다. 필리아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칼로카가티아(kalokagathia)의 실현을 위해 필수적이다. 칼로카가티아는 용기, 절제, 정의 등의 덕이 하나의 인격체 안에 모두 갖추어져 있어, 미와 선이 동시에 구현된 상태이다. 칼로카가티아로서의 삶이 실현될 때, 관조적 삶은 곧 실천적 삶이 되고, 실천적 삶은 곧 관조적 삶이 된다. 그리고 관조적 삶의 바탕인 지성적 덕과 실천적 삶의 바탕인 윤리적 덕의 연결지점에 필리아가 위치할 수 있다. 거기에는 항상 중용의 실천이라는 숙제가 남겨져 있다. Eros(the desirable love) and philia(the friendship or love between friends) were important concepts in ancient Greek philosophy. The Pythagorians considered that philia is feathered on harmonious soul being similar to cosmos. In Plato"s 『Lysis』 philia as well as eros were based on epitymia. Then his thoughts of love is focused on eros as epitymia in 『Symposion』. Eros begins with the love of beautiful body, and goes up gradually toward the love of beauty itself(Idea of beauty). In Aristotle, philia is an element for the realization of Eudaimonia. The life of an ethical man is intended not only to the social justice but also to the individual happiness. In ethics he made a circle starting from an individual arete to a social justice. It is philia that intermediates between the two. Philia takes an important place to realize a state of kalokagathia, in which one"s activity is practiced in braveness, temperance, and justice. A man who has remained in kalokagathia is noble and good. When the life of a man is in a state of kalokagathia, the introspective life is caused from the active life and vice versa. Between the two kinds of lives, philia may mediate and form a judgement in thinking and doing. It is a way of Aristotle"s meson, with which we find out in the most adequate way of our lives tode ti.

      • KCI등재

        중국어 3인칭 대명사에 대한 교육적 제언

        김현희(Kim Hyeon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고는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에 대한 한국 학습자의 인식개선을 통해 이와 관련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유형학적으로 볼 때 중국어는 3인칭 언어에 귀속된다. 반면에 한국어는 2인칭 언어에 귀속되는 것으로, 이 점에서 두 언어의 인칭 대명사 체계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2인칭 언어라는 속성으로 인해 한국어에는 전용 3인칭 대명사가 존재하지 않으며,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성분은 대체로 지시대명사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 이로 인해 “그, 그녀”는 사용빈도가 높지 않고,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3인칭 대명사는 대부분 “지시사 통합형”이다. 한편, 한국어는 화용상의 공손 전략에 의해 존대의 대상을 대명사가 아닌 명사로 조응하거나, 주어 생략이 잦은 담화적 특징으로 인해 선행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복잡한 체계로 인해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와 한국어 3인칭 대명사는 비대칭적 관계를 이룬다. 그러나 한국 학습자는 두 언어의 비대칭 관계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他-그]와 같은 단순 대응 위주의 중국어 구사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이로 인해 발생되는 오류는 통사 규칙에 대한 오해가 아닌, 이를 넘어서는 대상 언어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지 못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처럼 통사부와 인지부의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장기적인 교수 계획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고는 “他”를 처음 접하는 입문단계에서부터 중국어 3인칭 대명사와 관련된 인지적 요소를 개입시켜 교수해야함을 주장한다. 본고는 현재 가장 현실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가장 한국어적인 3인칭 대명사의 사용 및 한국어 담화에서 상용되는 조응방식-명사 및 생략-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sought a method to solve errors related to “Ta” by analyzing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Chinese third person pronoun “Ta”. First of all, errors related to “Ta”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an error that arises from not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a”, and the second is an error in operating “Ta” properly as a corresponding word in discourse. These two errors are not separate and share their roots. Typologically, Chinese belongs to the third person language in the system of personal pronouns. On the other hand, Korean belongs to the second person language, and in this respect, the personal pronoun system of the two language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irst of all, because Korean is a second-person language, there is no dedicated third-person pronoun. In fact, the components used as third-person pronouns in Korean are mostly derived from referential pronouns. For this reason, the first third-person pronoun that comes to mind in Korean, “he,” is not used very often, such as being actually used only in written language, and most of the third-person pronouns actually used are integrated referential types. On the other hand, in Korean, the object of respect is referred to as a noun due to the politeness strategy of phrasing, or the corresponding word is omitted because of the frequent omission. Due to such a complex system, the Chinese third-person pronoun “Ta” and the Korean third-person pronoun form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parallel [Ta-he] relationship. However, Korean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such asymmetrical relationships, so they remain in a one-dimensional expression such as [Ta-he] in speaking Chinese. As a result, Korean expressions such as “that person” cannot easily correspond to Chinese “Ta”, or they interfere with the rules of Korean discourse, creating a correspondence that is not suitable for Chinese discourse. These problems do not stem from a misunderstanding of syntactic rules, but rather from a failur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system of the target language. As such, problems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yntactic and cognitive units require long-term instructional planning.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by intervening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Chinese third-person pronouns from the introductory stage of encountering “Ta” for the first time. In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as the most realistic teaching method currently available, I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of actively exposing Korean third-person pronouns and correspondence methods commonly used in Korean discourse - nouns and omissions.

      • 씻김의 상상력

        김현희(Kim, Hyeonhee)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상상력은 중층적이다. 그것은 우리의 인식을 구성하기도 하고 꿈을 꾸게 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인식을 구성하는 상상력을 현실성의 구조에 갇혀있는 상상력으로 본다. 칸트의 인식론에서 상상력은 감각에 주어진 다양함의 소여를 형상적으로 종합하는 선험적 작용이다. 칸트는 상상력을 재생적 상상력과 산출적 상상력으로 나누는데, 이 중 미를 산출하는 능력으로서의 산출적 상상력이 19세기 낭만주의에서 말하는 창조적 상상력에 해당한다. 재생적 상상력은 다시 도식적 직관에 해당하는 상상력과 상징적 직관에 해당하는 상상력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들은 도식과 관념의 연합 등으로 인해 현실성의 구조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꿈에서의 상상력은 현실에서 억압된 무의식적 욕망의 충족에 기여하는데, 어떤 경우 소원성취를 은폐하여 상징으로서 나타나기도 한다. 꿈의 상징성은 인간 무의식의 원형을 드러내기도 하고 예지적이며, 창조적이기도 하다. 미를 산출하는 능력으로서의 창조적 상상력은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놀이에 의해 가능하다. 이 자유는 ‘관념의 연합’으로부터의 자유이고, 현실성의 구조로부터의 자유이다. 칸트에 따르면 이러한 창조적 상상력은 천재에게만 가능하다. 하지만 니체에 따르면 ‘아이되기’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정신적 변화의 상징으로서의 아이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일컫는다. 여기서 정신의 변화는 낙타-사자-아이의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한-신명-씻김의 과정에 대비될 수 있다. 중층성을 지닌 상상력은 우리를 세계와 만나게 하면서 동시에 세계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한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게 만든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삶도 정화되고 치유되면서 씻김이 일어나는데, 이 작용의 한가운데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상상력이 있다. Imagination is multi-layered. It consists of our cognition or makes us dream. The imagination that consists of our cognition is enclosed in the structure of reality. In Kant"s cognitive theory, imagination(Einbildungskraft) is a ‘transzendentale Handlung’ that figurely synthesizes the various given to senses. Kant divides imagination into ‘produktive Einbildungskraft’ and ‘reproduktive Einbildungskraft’. ‘Einbildungskraft’ that produces ‘the beautiful’ is the creative imagination in 19"th century Romanticism. ‘Reproduktive Einbildungskraft’ is further divided into ‘schematische Anschauungsart’ and ‘symbolische Anschauungsart’. These are not free from the structure of reality because of ‘Schema’ or ‘association of ideas’. Imagination in dreams help us fulfilling our desires oppressed in unconsciousness, some of which appears as symbols of disguising the wish-fulfillment. The symbols in dreams are predictive or creative. Those show us man"s archetypes of unconsciousness. We can imagine creatively when our ‘Einbildungskraft’ freely plays with ‘Verstand’. This freedom is from ‘the association of ideas’ and from ‘the structure of reality’. According to Kant only Genie can imagine creatively. However Nietzsche says that it is possible to be children. To be children is the symbol of soul-change. The three soul-changes, ‘camel-lion-child’ are counterparts of ‘Han-Shinmyeong-Sitgim’. Multi-layered imaginations make us meet the world, be free from the world, and create the new world. Therefore those imaginations are all the healing and purifying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