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린더형 슬릿 방파제의 개발을 위한 수리모형실험

        김필성(Pill-Sung Kim),이중우(Joong-Woo Lee),김석문(Sug Moon Kim),김기담(Ki-Dam Kim),남기대(Ki-Dae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추계

        현재 항만 및 어항에 사용되는 방파제 구축을 위한 케이슨 및 단위블록이 개발되고 시공되고 있다. 이는 경제성 시공성 면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나, 기존 방파제의 문제점인 항내 해수오염 및 수산생물 감소 등의 환경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항내로 내습되는 파 에너지의 대부분을 반사시킴으로써 방파제 전면 해역의 파고가 증대되어 구조물의 피해가 발생하거나 선박의 안전한 계류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 방파제 구축을 위한 실린더형 슬릿 단위블럭을 조합한 방파제를 개발하여 해수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방파제 배후 해역의 정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위의 단위블럭의 안정성 및 파랑제어 득성검증을 위해 방파제가 실제로 설치될 해역의 해양환경을 적용하여 수리모형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파랑 스펙트럼 및 방파제 체제모형 형상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차례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순환형 구축용 단위블럭에 기초하여 보다 계량된 형태의 단위블럭 개발을 유도하고자 한다.

      • 양포항 복합해양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연안유동환경 분석

        김필성(Pill-Sung Kim),이중우(Joong-Woo Lee),김기담(Ki-Dam Kim),강석진(Suk-Jin Kang),이학승(Hak-Seu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공동학술

        최근 경제의 발전과 근무형태의 변화로 인한 여가활동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해안지역에 관광인프라 건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의 국제적 성장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한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안된 울산과 포항사이의 양포항에 복합해양관광휴양단지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한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안된 울산과 포항사이의 양포항에 복합해양관광휴양단지 구상안에 대한 주변수역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신뢰성 있는 수치모형 구현을 위해 3차원 수치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관광휴양단지 조성시 발생하는 파동 및 유동장의 변화, 표사 및 해저지형 등의 해양환경변화를 예측하여 구상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실린더 슬릿형 소파블록 방파제의 실해역 적용을 위한 수치실험분석

        박상길(Sang-Gil Park),이중우(Joong-Woo Lee),남기대(Ki-Dae Nam),김필성(Pill-S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10

        선행되었던 연구인 실린더 슬릿형 소파블록 방파제에 대하여 실해역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델 해석을 통해 항내정온도를 분석하였다. 남해의 소규모 어항에 대해 파랑작용 평형방정식을 이용하는 SWAN 모델을 구성하고 수리모형실험에서 분석된 실린더 슬릿형 방파제의 반사와 투과계수를 도입하였다. 항내의 정온도의 변화를 불투과성 방파제와 비교하여 다루고 새로운 구조물로 해수교환을 통한 해역수질환경의 개선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수치실험은 한국해양연구원의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 보고서 Ⅱ(2005)중의 심해설계파 제원을 사용하였으며, 대상해역의 1970년~2006년(37년간) 관측된 연최대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50년빈도 설계풍을 모델에 반영하였다. 미조항에서 서방파제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NE, NNE계열의 파랑의 내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투과성구조물의 특성이 수치모형에서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cylindrical slit type block breakwater to the field water, which was designed from the previous physical model study, it is analyzed the calmness of harbor area by the numerical model experiment. For a small fishery port in southern coast of Korea a SWAN model using the wave action balance equation was formulated.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induced by the physical model test were introduced to the numerical model. The model response with cylindrical slit type breakwater was compared with the impermeable breakwater case and the possibilit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water circulation by the new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numerical simulation, parameters of deepwater design wave from the prediction report II for overall deepwater design wave by KORDI were used and wind parameters from the 50years return period observed for 37years(1970~2006) were adopted in the numerical model. The response of west breakwater in Mijo port applying the NE and NNE waves, which were dominant in this area,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designed cylindrical slit breakwater was well presented in the numerical model.

      • 공회전 시간을 줄인 혁신적인 드릴 설계

        최두진(Doo-Jin Choi),김필성(Pill-Sung Kim),최준영(Jun-Young Choi),정성균(Seong-Kyun Cheong)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Long idling time of currently used commercial electric drill increases the risk of accident and waste of time until restarting. Moreover, the long idling time causes the overpower of motor and reduces the life of battery. In this study, the new drill to reduce the idling time was designed. The breaking system using magnetic and rear was newly developed and installed to the new drill. The result shows that the idling time was largely reduced. It seems that the newly developed drill reduces the risk of accident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 KCI등재

        온배수 및 염배수의 근역혼합특성 분석을 통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설계

        남기대(Ki-Dae Nam),이중우(Joong-Woo Lee),김강민(Kang-Min Kim),김기담(Ki-Dam Kim),김필성(Pill-S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8

        해양방류시스템을 계획할 때 우선목표는 방류수의 초기희석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류수와 주변수의 혼합현상, 특히 초기혼합영역인 근역에 대한 특성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최적의 방류시스템(outfall system) 구현을 위하여 근역(NFR)에서의 온배수 방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온 배수(heat discharge)와 염배수(brine discharge)를 동시에 방류 할 경우를 고려한 성과물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수와 영수를 동시에 고려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석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류수의 거동양상 특히, 근역에서의 혼합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은 표면방류, 단일확산관 방류, 다공확산관 방류를 해당해역의 법적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방류와 단일확산관 방류는 방류형식이 부적절하였고, 다공확산관의 경우 기하학적인 형상에 따라 결과가 조금 상이하였다. When planning outfall system, the first target of design is to maximize initial dilution of discharge effluent. To achieve the target eff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mixing phenomenon between ambient and discharged water should be analyzed. Especially the analysis at the Near-Field-Region(VFR) as initial dilution zone should be preceded Usually, the initial behavior of effluent through outfall system is rising toward the surface due to mixing with ambient water lor heat discharge and sinking toward the bottom due to the difference of density for brine discharge. After mixed with eddies accompanied by the ambient water, the plumes are showing the same density and internal current pattern by advection and diffusion. Until recently. lots of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optimum design of outfall system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studies of heat and brine dischar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is hoped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optimum design of outfal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