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사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김충열(Choong-Yeol Kim)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4

        본 연구는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개념틀을 정립하고 유교정치사상사의 장기적 경향을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유학은 그 자체 내에 이상주의와 실용주의의 이원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양자는 긴장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 유학 내의 긴장 관계를 본 연구는 플라톤의 『국가』에서 빌려온 개념들을 사용하여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으로 표현하였다. 이 개념틀을 통하여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를 해석해 보면, 15세기는 대체로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이 균형상태에 있었고 16세기부터 윤리적 이상 쪽으로 경도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정치적 필요의 문제가 부활하여 다시 그 균형이 회복되는 경향을 보이며 18세기의 실용적 학풍의 유행으로 발전하였다. 19세기 전반기는 윤리적 이상 쪽으로의 보수적 반동이 있었던 시기인데, 동시에 유학의 쇠락기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를 이해하였을 때, 우리는 조선의 사상사가 느리지만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시기 사상사의 변화는 해당 시기의 역사적 상황들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동시에 유학의 정치사상에 내재하는 두 개의 다른 지적 경향의 반영이기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in Chosŏn, specifically its longitudinal inclinations, by means of a conceptual framework. Confucian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has a tension in itself owing to its contrasting elements of idealism and pragmatism. The present study names this “the tension between political necessity and an ethical ideal.” In interpreting Chosŏn’s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with this framework, a series of intellectual shifts are roughly in accord with the division of each century. In the 15th century the two were largely in balance, which inclin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o the side of ethical ideal. From the late 17th century, however, the political necessity resurged and the original balance gradually recovered, which gave rise to the popularity of practical studies in the 18th century.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nessed a conservative reaction against the practical studies.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political thinking in Chosŏn was therefore a slow but incessant process of change. The intellectual shifts reflect each century’s historical circumstances; they mirror,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in tension between the two inherent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 KCI등재

        1880년대 개화파의 세계관 탐구: 실학과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김충열(Kim, Choong Yeol)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1880년대 개화파의 ‘세계관’을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여 개화파의 세계관이 실학의 세계관과 연속적임을 규명한다. 실학과 개화사상의 연속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근대적 사상으로 일컬어지는 개화사상이 일본이나 서양과의 교류에 의해 촉발된 것이기 보다는 한국사상사 속에서 내재적이고 자주적으로 발생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견해에 대한 반대의견도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관’이라는 철학적 개념을 토대로 하여 조선의 유교정치사상사를 이해함으로써, 개화파의 세계관이 서세동점의 상황 속에서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학에서의 세계관 전환에 기대고 있으며, 19세기 후반의 역사적 격변을 반영하여 세계를 보다 더 사실적,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음을 주장한다. 성리학의 윤리적 세계관의 지배는 실학자들에 의해 분열되기 시작하였고, 실학 속의 실용적, 합리적, 경험적, 실증적 세계관은 개화파에게 계승되고 전면화되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reformist intellectuals’ (kaehwap’a) worldview (Weltanschauung) in the 1880s with respect to its continuity with Sirhak.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discussed the continuity between Sirhak and the reformists’ thought (kaehwa sasang), but their focus was limited to human connection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ir ideas/policies. This approach has limits in elaborating the continuity,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entire development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in Chosŏn. Moreover, a number of scholars have cast doubts on the continuity thesis. From the vantage point of worldview, we can say that Sirhak as a development of ‘political necessity’ ideas within Confucian political thought maintained practical, rational, empirical, and positivist worldviews as well as the traditional ethical worldview. This division of worldview within Sirhak , which reflected circumstances in Chosŏn in the 18th century, continued even in the period of the waning of Shirhak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reformists inherited the novel worldviews within Sirhak and strengthened them, while deciphering the world more realistically. So from the outlook of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thought in Chosŏn, the kaehwa sasang was in continuity with Sirhak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