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북언어 정책 기관의 성격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검토 - 국립국어원과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김주성(Gim, Joo-su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0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6

        이 글은 국립국어원과 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남북언어 정책 기관의 성격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국립국어원은 국가기관의 권위와 안정성, 종합적인 관리 역량 등을 바탕으로 남북언어 담론을 풍부하게 하면서 거시적인 정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언어규범과 같은 부문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합의를 이루는 데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였고, 남북관계 상황이 바뀌면 교류가 단절되는 등의 문제를 보였다. 이것은 기관의 국가주의적 성격이 적극적인 합의나 교류에 부담감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겨레말큰사전은 국가로부터의 자율성을 통해 유연성을 발휘하여 악화된 남북관계 상황 속에서도 교류 통로를 유지해 왔으며 남북언어 정책의 미시적인 합의들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반면 ‘사업회법’의 한시성이 근본적으로 사업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고, 제한된 시간 동안 사전편찬에만 매달리게 만듦으로써 겨레말 연구 부문에 대해서는 낮은 성과를 낳아 기관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South-North Korean language policy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Gyeoremal-keunsajeon. Through this, we could know that the language policy of the government agencies is not just as effective in the South-North Korean language policy field. It is hard to say that one particular institution is the top performer in all areas. Instead, efficient sector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institution. It is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dominates at the macro level based on the authority, stability,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capabilities of the state institution and the Gyeoremal-keunsajeon dominates at the micro level through its autonomy from the state.

      • KCI등재후보

        탈북민 한국어 방언 연구에 관한 거시화용론적 제안

        김주성(Gim, Joo-Su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4 No.1

        탈북민 한국어 방언 연구는 화행의 특징을 밝히는 데 집중되어 있는데 대체로 남과 북사이의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설문을 통해 수행되어 왔다. 그 내용은 탈북민은 직접 요청과 거절을 선호하고 간접 화행을 덜 사용하며 사과, 감사, 칭찬을 부담스러워 하고 잘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탈북민 화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탈북민 방언의 거시화용론적 평가와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주로 비교 화용론적 입장에서 연구되어 온 탈북민의 방언사용 문제는 권력의 불평등과 남북 관계 갈등에서 오는 남한 사회의 문제’ 측면에서 접근하려는 노력이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언어적 차이는 집 단 간만 아니라 동일한 개인에게 있어서도 일반적이므로 다름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상호작용의 성공과 갈등 현장을 보여주는 일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research on the Korean dialect of the North Korean migrants has focused on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act, and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content is that the migrants prefer direct requests and refusals, use less indirect speech acts and do not express apology, thanking, or praise.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a macro-pragmatic evaluation and alternatives of the migrants’ dialect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using the dialect of the migrants, which have been mainly studied in the comparative pragmatic perspective, should be complemented with efforts to approach the issue of South Korean society coming from the inequality of power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Second, the linguistic difference is common to the same individual as well as to the group.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not only to the difference but also to the display of the success and conflict scenes of the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북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을 중심으로

        김주성(Gim, Joo-Sung)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2 No.1

        이 글은 북한의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에 나타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남북 한국어학-조선어학 분야 교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제와 연구자등의 정보를 정리한다. 본고에서는 남북의 언어학이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토대로, 우선 남한 한국어학계가 북한의 언어사상리론 분야를 적극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상대를 설득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한 어미류의 단어 지위 인정 문제 및 시점과 관련하여 남북 언어학 교류가 그러한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북한 조선어학의 분야 중 발전 가능성이 예상되는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영역에 남한의 견인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밖에도 남북이 함께 논의할 만한 언어학의 주제들을 보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 언어 통합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orth Korean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Joson Omun (Korean linguistics)”, and summarizes the topic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needed to prepare for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is paper,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linguistics of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be mutually complementary,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n linguistics should persuade their opponents by actively understanding the field of linguistic ideolog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exchange of linguistics between the two Koreas will provide a momentum to recognize the ending as a word. And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xpected to develop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Also I tried to help the future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integration policy by showing the subjects of linguistics which the two Koreas can discuss together.

      • KCI등재

        연해주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현지에서의 단기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강승혜 ( Kang Seung Hae ),김마리나 ( Kim Marina ),김주성 ( Gim Joo-sung ),류지현 ( Ryoo Jihy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연해주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현지에서의 단기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승어 교육에 대한 연해주의 한국어 교육 관련 사회단체와 고려인 부모 세대의 필요 및 고려인 청소년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였고 관련 교재와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교수요목 설계에 참고함으로써 학습 내용의 적절성과 전문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해주의 고려인 청소년이 계승어와 그 문화에 대한 초급 수준의 학습을 통해 러시아 국민이자 한민족으로서의 복합적이고 안정된 정체성 구성을 시도하고 한국어로 삶의 의미와 이익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수 있도록 정규 교육과정에 대한 참여 동기를 부여한다.”라는 단기 교육과정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교수요목 설계에 있어서는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황 중심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각 상황에 연해주 현지 정보를 반영하였으며 학습자 정체성과 직접 관련된 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주제 중심 교수요목을 토대로 연해주 고려인의 복합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Koryosaram youths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MPR) through needs analysis. To this end, the needs of social organizations, Koryosaram parents, and youth learners in MPR were analyzed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nd related textbook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reference in the syllabus design. Based on this, we set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Koryosaram youths in MPR attempt to construct a complex and stable identities as Russian citizens and Korean people through beginner-level learning about the heritage language and its culture. Besides, it motivates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so that they can continuously pursue the meaning and benefits of their lives through the Korean language.” Among the syllabus design, a situational syllabus was selected to increase the authenticity of language use, and local information of MPR was reflected in each situation. In addition, for 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the learners’ identity, a theme-based syllabus was selected and aimed to help Koryosaram in MPR construct a complex identity.

      • KCI등재

        지리적 적절성을 기반으로 한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

        공나형(Kong Na-hyung),주향아(Ju Hyang-a,),김주성(Gim Joo-sung),손동욱(Sohn Dong-wook),손현정(Son Hyun-jung) 한국사회언어학회 2013 사회언어학 Vol.21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Korean linguistics as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foreign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we look into Korean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KIIP) to find out how foreign migrant workers can learn Korean language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 migrant workers, we adopt linguistic typological metho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sing GIS, we present the spread of the foreign migrant workers popul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enforcing the KIIP program. We also show some possibiliti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foreign migrant workers such as the flexibility of class schedules, revision of textbooks and compensation of government. (112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