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방공무원의 성별 정보격차와 컴퓨터 자기효능감

        정철현 ( Cheol Hyun Jeong ),김종업 ( Jong Up Ki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현대사회와 문화 Vol.30 No.-

        성별 정보격차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남성이 여성보다 컴퓨터 이용도가 높다고 한다. 그러나 지방공무원 144명을 설문조사한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여성공무원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남성공무원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연구와는 달리 여성공무원이 남성공무원보다 업무관련 일로 컴퓨터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인터넷 사용용도에 있어서도 게임과 인터넷 뱅킹을 제외한 채팅, 전자우편, 인터넷 검색, 인터넷 쇼핑에서 여성공무원의 이용도가 남성공무원보다 높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이론에서 중요시한 사회경제적 변수와 ‘컴퓨터 경험‘보다 활용격차를 보여주는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컴퓨터 이용도와 인터넷 이용도에 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지방공무원의 경우 컴퓨터 활용능력을 키우기 위한 정보화교육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gender differences in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for local public officials in Korea. An overview of existing research draws to the conclusions that males make mor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with higher levels of computer self-effi cacy. This study analyzed questionnaire data from a sample of 144 local public offi cials. The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offi cials use more computers and the Internet. Moreover, female officials report higher level of computer usage for government tasks. Us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omputer and Internet use are gender and computer self-effi cac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산업 정책수단의 효과 비교연구

        정철현(Jeong, Cheol Hyun),박영일(Park, Young Il),김종업(Kim, Jong Eop)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2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은 창의력, 상상력을 원천으로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상품인 문화콘텐츠의 기획, 제작, 가공, 유통, 소비와 연관된 산업이다. 1990년대 후반, 문화콘텐츠가 21세기 국가 성장 동력이며 문화콘텐츠가 곧 국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그에 따라 1999년『문화산업진흥기본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문화산업은 그 동안 규제의 대상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진흥정책의 대상이 되었다. 정부의 수출 진흥정책 시행 이후 문화산업 수출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2010년 문화산업 수출액은 약 30억 달러에 이르렀는데, 이는 수출 진흥정책이 시행되기 이전인 2001년과 비교하면 5배 이상의 성과이다. 이처럼 문화산업의 성장에는 지난 10년간 추진되어 온 문화산업 수출 진흥 정책의 영향도 크므로, 그 효과에 대한 검토와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문화산업 수출 진흥정책 수단의 유형과 효과, 측정 방법, 그리고 정책 수단간의 효과는 차이가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 장르 중 게임, 방송, 애니메이션, 음악, 만화, 캐릭터 산업을 대상으로 수출 진흥의 정책수단을 직접지원 수단과 간접지원 수단으로 구분하고, 그 정책수단과 정책 성과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정책수단 간의 효율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Cultural industry refers to the various businesses that produce, distribute, market or sell products that belong categorically in creative arts. Such products could include clothing, decorative material for homes, books, movies, television programs, or music. Cultural industry is a very large category for certain types of businesses recently. Nowadays, in the era of culture trade, it is important to know, how cultural competitiveness can be gained in the global culture trade market. Therefor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lso supported cultural industries for export promotion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export promotion policy for cultural industries. The study divided the policy into direct support and indirect support means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ir means. The study presented that the indirect support means is more effective than the direct means for the export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The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