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탈북민의 분단적대성 연구

        김종곤 ( Jonggo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이 글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정 탈북민 커뮤니티 게시판의 담론 유형을 분석하고 분단 적대성의 감정이 유통·재생산되는 행위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담론분석 결과 ‘반북·반공 담론’, ‘국가주의 담론’, ‘종북 담론’이 핵심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담론들에는 분노, 원한, 증오와 같은 부정감정이 지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게시판의 글들은 정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를 분석하면 ‘위기 담론’이 적대적 감정의 원형을 이루고 있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적대적 감정과 상호인과적 관계를 맺고 있는 일련의 담론들은 이미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것이라는 점에서 탈북민의 고유한 특징으로 보기 힘들다. 오히려 탈북민들이 분단의 감정공동체에 참여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남쪽의 분단의 신체와 동일화시키면서 나온 결과물일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이 글은 탈북민들의 분단 적대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공략되어야 할 지점은 몇몇 개인이 아니라 분단국가의 사회문화적 토양이라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ypes of discourses on the specific community bulletin board of North Korean Refugee with Big Data analysis, and to grasp behavior aspects that the antagonism of division is distributed and reproduced. Analysis showed that Anti-Pyongyang·Anticommunism, Nationalism, Pro-North Korea are composed of the core of their discourses. And we know that emotions of denial such as anger, grudge, hatred are dominantly combined with these discourses. And textes of board have the feature which are very sensitive to state of affairs, After analyzing this, we also know that the ‘Crisis Discourse’ is the original form of antagonistic emotion. But a series of discourses hav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the antagonistic emotion is not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defector because it has been present for many times in South-Korea. On the contrary, it is most likely that those discourse are products coming from particip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in emotional community and equating their own identity with the body of division. So,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arget point for mitigating antagonism of division is not some individuals but sociocultural ground of divided nation.

      • KCI등재

        북녘출신자를 향한 혐오 -탈인간화의 전략과 주체의 (재)배치-

        김종곤 ( Jonggon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2

        이 글은 오늘날 북녘출신자를 향한 혐오(표현)을 단지 부도덕하고 범법적인 행위라고 비판하는 것을 넘어 그것이 가능한 본원적인 조건과 그 효과를 탐구하는 데에 주요 목적이 있다. 이에 이 글은 첫째, 북녘출신자에 대한 혐오(표현)은 호명 권력이 이들을 지배의 구조적 관계에 종속/예속시키는 효과를 내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북녘출신자에 대한 호명이 변화해온 역사를 짚어본다. 그리고 이들이 분단 권력과 자본주의적 권력에 의해 처음에는 영웅이었다가 오늘날에는 취약성의 이름으로 호명되는 동시에 탈인간화의 얼굴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남녘출신자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런 이유로 이 글은 둘째, 북녘출신자들이 어떻게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지를 ‘망상의 사회적 게임’이라는 은유적 개념에 바탕하여 논의하였다. 무엇보다 그러한 게임이 가능한 이유를 분단의 논리를 체화한 동시에 신자유주의적 광풍으로 인해 장소상실의 박탈감을 안고 있는 남녘출신자들의 실존적 조건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북녘출신자는 남녘출신자의 삶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몫을 손쉽게 편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그러한 망상의 사회적 게임이 둘 간의 차이를 통해 위계질서를 형성하고 사회적 위치를 (재)배치한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남녘출신자는 우월한 사회적 위치를 확보함으로 써 스스로의 동일성을 구축하는 동시에, 그들의 삶을 불안정하고 빈곤하게 하는 분단과 자본의 지배적 구조에 대해서는 정작 이의를 제기하지 않게 된다. 그렇기에 마지막으로 이 글은 북녘출신자에 대한 혐오(표현)은 단지 특정 그룹을 어떻게 대우하느냐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한국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정치·경제·문화의 구조가 지닌 폭력성에 바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폭력성을 은폐/봉합하는 과정 전반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and their effects that enable hate (speech) toward North Korea migrants today.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change in the name of North Korea migran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hate (speech) for North Korea migrants has the effect of subordinating/subjugating them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it reveals that they were initially heroes by division power and capitalist power, but today they are called the name of vulne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ed as the faces of dehumanization. However, this is a limited explanation in that it did not consider ‘social relations’ with South Korean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secondly discussed how North Korea migrants are subject to hatred in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metaphorical concept of ‘social game of delusion’. Above all, such games were found to be due to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South Koreans who internalized the logic of division, faced with a neoliberal craze, and had a sense of deprivation of place. North Korea migrants not only pose a potential threat that could jeopardize the lives of South Koreans, but also become targets of defrauding their economic share.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such a social game of delusion continuously introduce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nd (re)arranges its social position while forming a hierarchical order. Ultimately, South Koreans confirm their identity by securing differences from North Korean migrants and superior positions, and do not object to the dominant structure of division and capital that they should actually take issue with.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hate (speech) for North Korea migrants is not limi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a specific group, but is not only based on the violence of the structur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as a whole, but also implies the process of concealing/sealing the violence.

      • IPv6 기반의 LTE/SAE 시스템에서 SMS 지원방안 연구

        김종곤(Jonggon Kim),전유찬(Youchan Jeon),김명유(Myeongyu Kim),박진우(Jinwoo Park) 한국통신학회 2009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본 논문에서는 IPv6 기반의 3GPP LTE/SAE 시스템에서 SMS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 및 전달 방식을 제안한다. SMS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션을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낮은 데이터 용량 및 지연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단문 메시지는 IPv6의 Next Header 필드를 사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네트워크 엔터티 SMIP-GW를 추가하여 SMS의 등록 및 해제를 UE와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등록 및 해제 절차를 위한 새로운 RP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 시스템에 큰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IPv6 기반의 LTE/SAE 에서 SMS를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지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mall Screen Mobile 환경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Reading Aids의 연구

        김종곤(Jonggon Kim),최선향(Sunhyang Choi),민영삼(Youngsam Min)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PC 화면 기반으로 개발된 기능들이 모바일의 작은 화면으로 옮겨짐으로 인해 큰 화면의 정보를 작은 화면에 동일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모바일 기기 화면상에 많은 가로 스크롤이 발생하게 되었다. 가로 스크롤로 인해 모바일 기기의 작은 화면으로 문서를 읽을 때 현재 읽고 있는 줄의 위치를 놓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줄 이탈 오류로 인해 문서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Line Marker를 제안 하였으며, 실험을 통해서 Line Marker가 없는 조건, 이동하는 Line Marker 조건, 고정된 Line Marker 조건에 따른 문서의 읽기 속도와 읽기 방식에 따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There are many attempts to transfer many applications from PC to mobile which has small screen, cause of a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To display the whole information of the PC on the tiny screen, it makes many Horizontal Scroll. Horizontal Scroll in mobile screen makes people to miss where they are reading easily and such a frequent error makes readability of the information in mobile screen low. We suggest a Line Marker to help readability of the mobile screen high.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s of Line Marker such as fixed or moved or not exists and the factors of the reading time and satisfaction.

      • 드론을 이용한 1 인칭 텔레프리젠스 시스템

        이홍복(Hongbok Lee),김종곤(Jonggon Kim),김세운(Sewoon Kim),이준행(Junhaeng Lee),박광현(Kwanghyun Park)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논문은 드론의 시야를 1 인칭으로 공유하는 텔레프리젠스 시스템을 다룬다. 드론에 부착한 카메라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현실 장비(VR 기기)로 전송된다. 또한 카메라는 드론의 비행방향과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움직임을 추적하여 움직임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였다. 드론은 적절한 크기와 효율적인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직접 디자인하여 3D 프린터로 출력하였다. VR 기기는 구글 카드보드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버산업, 헬스 케어 등 다양한 곳에 응용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a realistic telepresence system using a first person view (FPV) drone. Video camera attached to the drone is transmitted in real-time to user wear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In addition, the camera has a wide field of view by moving to track the user ’ s head movements independently of the flight direction of the drone. Drone was designed directly for the appropriate size and efficient storage space. And it was printed using a 3D printer. Display for virtual reality was implemented using the Google cardboard and Android smartphones. The project can take advantage of the entertainment field. Furthermore, it will be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silver industry, health care.

      • 자동차용 1500MPa급 초고강도강의 레이저 용접 특성에 관한 연구

        최진강(Jinkang Choi),김종곤(Jonggon Kim),신승민(Seungmin Shin),김철희(Cheolhee Kim),이세헌(Sehun Rhee)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10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Vol.13 No.3

        In this study, fundament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arious strength of UHSS (Ultra High Strength Steel) by CO2 laser. And then, butt and lap joint laser welding with boron alloyed steel and Al-Si coated boron alloy steel have been done by changing laser beam feature, existence of gap and existence of coating layer to know welding characteristics of those materials. As a result, in case of fundamental experiment with various strength steel, hardening was found in the weld metal of all tested materials and softening was found at the heat affected zone of SGAFC 1180. In case of laser butt welding of UHSS, mechanical properties was improved by using small laser beam diameter and Al-Si coating layer caused fracture of weld metal. In case of laser lap welding of UHSS, Al-Si coating layer resulted in forma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 at the fusion boundary where fracture occurred. Al-Si coating layer caused lowering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 me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