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장학단체의 설립과 운영 - 아사노 다사부로(淺野太三郞)의 천야육영회(淺野育英會)를 중심으로

        김자중(Kim Jajoong, 金慈中)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장학단체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그 성격을 아사노 다사부로의 천야육영회를 사례로 하여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야육영회는 아사노의 동정이라는 개인적 배경과 조선총독부의 지원이라는 사회적 배경 간의 결합에 의해 설립됐다. 그리고 양자의 연결고리는 “아래로부터의 침략”, “풀뿌리 침략”이라는 재조일본인의 존재양태와 ‘내선융화’라는 식민지 지배정책이었다. 즉 기본적으로 아사노는 조선총독부와 유착관계에 있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조선총독부는 천야육영회가 ‘내선융화’라는 문맥 하에서 운영되도록 했고 이 과정에서 아사노도 특별히 이를 부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때 아사노는 조선인과 일본인을 구별 없이 선발한다는 방침을 표방함으로써 ‘내선융화’에 호응하는 제스처를 취하기도 했다. 이를 보면 일제 식민지기에 천야육영회는 경제적 하위계층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이와 함께 ‘내선융화’에 부응하는 부정적인 역할도 했다고 할 수 있다. 즉 천야육영회는 ‘내선융화’의 미담으로서 식민지 지배를 더욱 공고히 하는 역할이 하기도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천야육영회의 성격은 이후 기타 재조일본인의 장학단체를 고찰하는 데에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ned to analyz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larship foundations established by Japanese settler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case of Asano Tasaburo’s Cheon-Ya Scholarship Found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eon-Ya Scholarship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Asano’s sympathy and support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other words, Asano and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and in such a situatio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Cheon-Ya Scholarship Foundation. This shows that Cheon-Ya Scholarship Foundation played a positive role in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e lower classe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but also played a negative role in responding to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의 장학단체의 설립과 운영 - 고등교육기관 재학자 대상의 단체를 중심으로 -

        김자중 ( Kim Jajoong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3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에 조선인 또는 조선인의 주도 하에 설립된 장학단체 중 주로 고등교육기관 재학자를 대상으로 한 것을 중심으로 그 설립과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 교육사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 식민지기에 장학단체의 설립 배경에는 고등교육기관 재학자의 과다한 연간 지출이 있었다. 즉 고등교육기관 재학자는 고액의 수업료를 지불해야 했으며 특히 기숙생·하숙생의 경우는 그보다 더욱 고액의 기숙사비·하숙비도 지불해야 했다. 그 결과 고등교육기회는 주로 도시 중상층과 지주의 자녀들과 같은 한정된 계층에게만 향유됐으며 특히 경제적 하위계층은 이로부터 거의 배제됐다. 이에 조선인은 경제적 하위계층에게도 고등교육기회를 제공하도록 장학단체의 설립 등을 촉구했다. 둘째 일제 식민지기에는 다수의 장학단체가 설립됐으며 이는 경제적 하위계층에게 고등교육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 이중 전국 단위 장학단체로는 성재육영회, 도 단위 장학단체로는 함남육영회·충남장학회·전북육영회·전남육영회가 설립·운영됐다. 이중 전국 단위 장학단체의 설립 주체는 식민지 조선사회의 자산가였으며 도 단위 장학단체의 설립 주체는 주로 조선인 도지사 또는 관리들이었다. 다만 도 단위 장학단체가 설립되는 데에는 특히 재정면에서 조선인 유지자의 기부 등과 같은 조력도 적지 않았다. 이를 보면 장학단체의 설립은 식민지 조선 사회가 경제적 하위계층에게 고등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전개한 적극적인 대응 중 하나였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 단위 장학단체는 표면적으로는 경제적 하위계층에게 고등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설립목적으로 제창했으나 이와 함께 그 이면에서는 ‘교화’라는 명목 하에 경제적 하위계층 중 학업능력 우수자를 체제 내화하는 것도 의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도 단위 장학단체가 조선인 도지사 또는 관리들의 주도 하에 설립됐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그것이 조선총독부의 행정기구인 도 당국에 의해 설립된만큼 그 운영에 조선총독부의 통제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 단위 장학단체는 도 관리들에 의해 운영됐으며 장학생 선발 과정에서 경제적 하위계층 중 소위 ‘사상문제’가 있었던 사람들을 배제하려 했다. 이와 같이 일제 식민지기 장학단체는 양면적인 성격을 갖고 있기도 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larship foundation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d to pay excessive annual expense such as expensive tuition, and board charges or boarding expenses in case of boarders. As a result, children of the middle classes in urban and landowners could get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but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could hardly get it. Therefore, some Korean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foundations for them. It was a factor in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foundations. Secondly, Korean established several scholarship foundation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it has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provided higher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Nation-leveled scholarship foundations such as Seong-Jae(省齊) scholarship was established by wealthy people, and the founders of province-leveled scholarship foundations such as Hamgyeongnam-do, Chungcheong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scholarship scholarship was established by Korean officials. But it is worthy of notice that Korean leaders of communities also donated a lot of money for the establishment of scholarship foundations. Thirdly, province-leveled scholarship foundations would have purposes to subject children of the lower classes as well as to provide higher education for them. Actually, province-leveled scholarship foundations was established by officials, and they didn’t want to select people with rebellious idea as scholarship students. In other words, scholarship foundations had ambivalence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조선의 고등교육체제의 성격

        김자중 ( Kim Jajoong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3

        본 논문은 일제 식민지기 조선의 고등교육체제의 성격을 버튼 클락의 ``고등교육체제``라는 개념과 이른바 ``고등교육체제의 유형론``을 차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제국 전체의 고등교육체제 내에서 ``위계``상 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체제는 ``내지``의 고등교육체제보다 하위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는 일제의 민족차별적 식민지 고등교육정책에 의한 것이었다. 즉 일제는 1910년대의 경우 ``내지``에서 제정한「전문학교령」을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1920년대 이후의 경우 ``내지``의 고등교육체제를 ``제국대학-대학-전문학교``로 구성한 것과 달리 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체제를 ``하나의 제국대학-전문학교``로 구성함으로써 양자 간에 ``위계``를 설정했다. 둘째 식민지 조선의 고등교육체제 내에서 ``위계``상 관학영역(경성제국대학·관공립전문학교)은 사학영역(사립전문학교)보다 상위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는 일제의 관학 우위의 고등교육정책에 의한 것이었다. 이는 주로 관사학 졸업자 간에 부여되는 자격의 차등분배에 의해 지지됐다. 즉 일제는 관학 졸업자에게 관리, 변호사, 의사, 중등교원 등과 같은 엘리트 전문직에 대한 취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여러 자격을 부여했지만 사학 졸업자에게는 특히 설립 초기에는 이와 같은 자격을 거의 부여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사학은 점진적으로 이와 같은 자격부여를 획득해 나아가야 했다. 셋째 재학자 수를 기준으로 고등교육체제 내에서 사학 영역의 비중이 점차 확대됐다. 즉 일제 식민지기에 전체 고등교육기관 재학자 수는 점차 증가했는데 특히 사학의 재학자 수가 관학의 재학자 수보다 더욱 크게 증가했다. 또한 관학은 주로 일본인 재학자의 증가에 의해, 사학은 주로 조선인 재학자의 증가에 의해 각각 재학자가 증가했는데 그 결과 1920년대 이후 관학은 다수의 일본인 재학자에 의해, 사학은 1910년대와 변함없이 다수의 조선인 재학자에 의해 점유됐다. 1920년대 이후 사학의 비중 확대는 일제의 관학 증설에 대한 억제, 사립전문학교 설립에 대한 제한적 허용정책과 조선인의 고등교육 진학욕구의 고조를 비롯한 사립전문학교의 설립, 학과 증설, 정원 증원이 중첩된 결과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education system of Korea was placed lower than that of the mainland of Japan at the hierarchy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the entire Japanese Empire. This was caused by national discriminatory policies on the higher education. Japanese Empire set up the hierarchy between them by not applying Specialized School Law in Korea in the 1910s, and by establishing higher education system consisted of just one Imperial University and Specialized Schools in Korea since 1920. Secondly, Public sector(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Government Specialized School, Public Specialized School) was placed higher than Private sector(Private Specialized School) at the hierarchy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This was caused by the superiority of public policies on the higher education. It was supported by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qualifications to graduates. Japanese Empire qualified governments school graduates as elite profession such as government official, lawyer, doctor, secondary school teacher, but it didn`t qualify private school graduates. Therefore private schools had to struggle to gain these privilege gradually. Thirdly, in terms of number of student, share of private sector was increasing in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This was the result of policies on higher education that controled to establish government schools and allowed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and korean`s desire for higher education admission, establishing Private Specialized Schools and new departments, increase of an entrance quota.

      • KCI등재

        근대 “교사” 개념의 수용과 변천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용진 ( Yongjin Hahn ),김자중 ( Jajoong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3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하는 ‘교사(敎師)’라는 개념이 근대 시기에 어떻게 수용되고 변천하였는가를 개념사라는 역사연구방법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 개념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데, 제II장에서는 전통시대에 ‘교(敎)’와 ‘사(師)’, 그리고 ‘교사’의의미를 점검해 보고, 제III장에서는 근대에 들어오며 ‘교사’라는 용어의 실제적 쓰임과 관련하여 개념적 수용과 변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 이후 등장한 ‘교사’ 개념은 주로 외국인 군사 교관을 지칭하였다. 둘째, 훈련도감에 교사대(敎師隊)가 설치된 1598년 이후에는 내국인도 군사 조련을 담당하는 ‘교사’로 불리지만, 그 사회적 지위는 그다지 높지 않았다. 셋째, 근대 시기에 들어와 교사 개념은 군사 교관 이외에도 선교사를 교사라고 호칭한 것을 비롯하여 외국어학교 교사, 전선(電線) 교사, 의학교 교사 등 다양한 전문 기술을 가르치는 외국인을 지칭하게 된다. 넷째, 갑오개혁 이후 군사 분야에서는 내국인도 교사로 불렸지만, 대부분의 근대 학교에서는 한국인은 교육법령에 의거하여 ‘교관’과 ‘교원’로 불리고, ‘교사’는 여전히 외국인을 지칭하였다. 다섯째, 1900년 이후 ‘교사’ 개념은 법률적 용어와는 별도로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의 통칭으로 학부 및 언론, 교육학 교재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concept of ‘Kyo-Sah(敎師)’ as a conceptual history in modern Korea. The meaning of ‘Kyo-Sah’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Kyo-Sah’, which was use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generally designed as a ‘foreign military trainer’. Second, after founding the Kyo-Sah-Dae(敎師隊) in Military Camp that defended the capital city, the Korean military trainers were also called ‘Kyo-Sah’ since 1598, but their social status is not high enough. Third, the concept of ‘Kyo-Sah’ includes not only a foreign military trainer but also a foreign language teacher, telegraphy cable teacher, medical professor and missionaries in modern times. Fourth, Korean military trainers were called ‘Kyo-Sah’ after the Gabo Reform, but the Korean modern schools`` teachers are called ‘Kyo-Kwan(敎官)’ and ‘Kyo-Won(敎員)’ instead of Kyo-Sah for foreign teachers by Education Act. Fifth, ‘Kyo-Sah’ was used as general word for teachers regardless of educational regulation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media and in textbooks of education since 19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