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적 믿음과 확실성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Recently, more scholars have stared to consider Wittgenstein’s last notebooks, published under the title On Certainty, as his third masterpiece, because of its richness and originality compared to his previous his writings. In this background, the increasing interest in On Certainty has manifested itself in efforts at understanding not only the work itself, but also its relevance for the previous works in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including philosophy of religion. For example, Iakovos Vasiliou observes that although there is little explicit mention of religious belief in On Certainty, Wittgenstein’s remarks elsewhere about the nature of religious belief are most intelligible when read in light of that works. For this, Vasiliou scrutinizes some key concepts, particularly ‘world-picture’, ‘system of reference’ and ‘conversion’ which are fundamental to both On Certainty and Culture and Value. However Graham Gordon criticizes Vasiliou’s arguments, mainly pointing out identification of world-picture and system of reference. In this essay, I therefore aim to examine whether Vasiliou’s attempts are valid with a straightforward reading of the texts concerned. These results also contribute to suggest a better solution to the recent debates between Iakovos Vasiliou and Graham Gordon. 『확실성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비트겐슈타인의 유고는 최근 들어서 『논리-철학 논고』와 『철학적 탐구』에 이어 그의 제3의 대표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비트겐슈타인이 직접 쓴 텍스트일 뿐 아니라, 이전시기와 구별되는 독창적이고 통일성을 갖춘 주제들을 다루는 완성도 높은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 최근 연구자들 사이에 증가하고 있는 『확실성에 관하여』에 대한 관심도 텍스트 자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비트겐슈타인의 전체 철학 안에서의 이 작품의 위치뿐 아니라 다양한 주제와 관련해서 이전 작품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관한 연구로까지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철학에 관한 연구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야코보스 바실리우는 「종교적 믿음에 관한 강의」와 『문화와 가치』에 나타난 종교적 믿음에 관한 흩어진 언급들은 『확실성에 관하여』의 조명아래에 읽었을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한다. 이를 위해 바실리우는 『확실성에 관하여』 그리고 『문화와 가치』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핵심 개념들, 특별히 ‘세계상’, ‘준거 체계’, ‘개종’ 등의 핵심 개념을 면밀하게 검토한다. 하지만 고든 그레이엄은 특별히 바실리우가 주장한 세계상과 준거체계의 동일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를 비판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관련된 텍스트를 엄격하게 분석함으로써 바실리우의 시도의 타당성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바실리우와 그레이엄 사이의 논쟁을 평가하고 더 나은 해석 방법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표현주의적 감정 이해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6 No.1

        비트겐슈타인의 표현주의적 해결책은 감정과 감정의 특징적인 행동 표현 사이의 개념적 관계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 개념적 관계 때문에 우리는 우리 자신과 타인에게 귀속시킬 수 있는 감정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론으로부터, 나는 감정을 신체적 감각과 동일시하는 느낌이론과 감정의 핵심적인 특성으로 마음의 행위를 강조하는 인지주의자들이 정확이 무슨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또한 나는 비트겐슈타인의 설명이 이 두 환원주의적 입장들의 불충분한 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기략들을 제공할 수 있음을 ‘상의 인지’와 ‘기준’ 등의 핵심개념을 방법적 도구로 사용함으로써 밝힐 것이다. Wittgenstein’s expressivistic solution lies in the discovery of th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emotion and its characteristic behavioral expression. This enables us to develop an emotional language which we can apply to ourselves as well as others. From this conclusion, I will show what is precisely wrong with feelings theories that identifies emotion with bodily sensations as well as what is wrong with cognitive theories of emotion which emphasizes acts of mind as an essential feature of emotions. I will also show that Wittgenstein’s account successfully provides resources to overcome these two above mentioned reductionist positions’ insufficiencies, using crucial terms such as ‘noticing an aspect’ and ‘criteria’ as methodological instrument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나타난 음악과 언어의 비교의 역할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0 No.1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role of comparisons between music and language in L. Wittgenstein’s Philosophy, referring to some enigmatic remarks on music in his both early and later writings.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of content, from the Tractatus to the Investigations, he consistently compares music and language. In these comparisons, music is used as an educational tool in order to let readers understand his philosophy of meaning more appropriately. In case of the Tractatus, music plays an effective role in explaining why proposi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an articulation of the elements. The similarities between musical theme and proposition induce the readers to turn their attention away from denotative function of language to structural and combinatory aspects of propositions. In the case of later writings, considering ‘understand of music’ as a type of ‘aspect-seeing’ serves to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eaning-experience’ in ‘understanding of language’. The similarities between understanding of music and that of language induce the readers to turn their attention away from the ‘primary meaning’ which means to say that one sentence can be replaced with other sentences, to the ‘secondary meaning’ which means to say that one sentence can not be replaced with any other sentences. From the outcome of this argument, the present work also provides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consider Wittgenstein’s accounts on music as a version of musical formalism. 이 논문은 전・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에 나타난 음악에 관한 수수께끼 같은 언급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철학에 나타난 음악과 언어의 비교의 역할에 대해서 해명하고자 한다. 비록 내용상 차이는 있지만, 전기에서 후기까지 비트겐슈타인은 음악과 언어 사이의 비교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비교에서 음악은 전・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론과 긴밀히 연결된 쉽고 친숙한 사례로 제시되고, 각각의 의미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교육적 도구로 쓰이고 있다. 전기의 경우, 음악은 명제를 요소들의 배열로 이해해야 하는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상적인 비교 도구이다. 명제와 음악적 테마와의 유사성은 독자들의 관심을 언어의 지시적 기능으로부터 명제의 구조적, 배열적 측면에도 돌리게 하는데 유익한 도구가 된다. 후기의 경우, ‘음악의 이해’는 ‘언어의 이해’에서 ‘낱말의 의미-경험’이 갖는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상적인 비교 도구이다. ‘음악의 이해’와 ‘언어의 이해’ 사이의 비교는 한 문장을 “다른 한 문장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뜻”으로 말하는 ‘일차적 의미’로부터 그 문장이 “다른 어떤 문장으로 대체될 수 없다는 뜻”으로 말하는 ‘이차적 의미’에로 독자들의 관심을 돌리게 하는데 유익한 도구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로부터, 이 논문은 음악에 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음악적 형식주의로 해석하려는 시도들에 대한 평가도 함께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윌리엄 제임스 비판에 대한 재해석

        김이균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Wittgenstein’s high regard for William James has been reported by some writers and by Wittgenstein himself, not only for his thoughts, but also for his human character. However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about James and these remarks are mostly the object of strong criticism. Why does Wittgenstein criticize James, whom he really admires, and how can we explain the contrasting reports about Wittgenstein’s attitude towards James? Is Wittgenstein’s explicit criticism of James really plausible or sufficient to evaluate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This work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xclusively focusing on consciousnes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will not merely focus on where Wittgenstein explicitly mentions James because these explicit citations are not necessarily fair indicators or, at least, could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Wittgenstein and James. Instead, James’ important texts on consciousness in his early period, especially the chapter ‘Stream of Thought’ in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hich Wittgenstein read, are 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James’ relevant ideas regarding the topic and to identify some comparable point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nd finally, to correctly evaluate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mostly criticisms) of James. Using the fruits of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Jam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Wittgenstein regarding consciousness and also that the main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stems from his inattentive reading of James’ basic contention. 비트겐슈타인이 윌리엄 제임스를 그의 사상뿐 아니라 인격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제임스를 강한 비판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한다. 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이 진심으로 경애하는 제임스를 비판했고, 이런 대조적인 그의 태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난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과연 두 철학자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평가하는데 타당하거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까? 이 연구 목표는 ‘의식’이라는 주제에 한정해서 이 질문들에 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제임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텍스트들이 두 철학자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한 공정한 지표가 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제임스가 의식에 관해 집필한 초기 저작들, 특별히 비트겐슈타인이 읽은 것으로 알려진 『심리학의 원리』의 제 9장 ‘사고의 흐름’(the Stream of Thought)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제임스의 주요 사상을 파악하고 두 철학자 사이의 비교 점을 찾아낸 뒤,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결실을 통해 필자는 ‘의식’과 관련하여 제임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이는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제임스의 주요 주장을 비트겐슈타인이 부주의하게 읽어낸 결과임을 입증할 것이다.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윤리학과 미학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2 No.1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Wittgenstein’s view of ethics and aesthetics 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by taking seriously two main claims regarding the theme: 1) “Ethics is transcendental.” 2) “Ethics and aesthetics are one” It is clear that the first claim is simply a logical consequence of Wittgenstein's notion of ‘absolute value’. However some commentators insist that Wittgenstein’s position cannot coherently be satisfied, since there is an unbridgeable gap between the demand for absolute value and the recognition that whatever subject achieves in the world is utterly without value. In the case of the second claim, some commentators attempt to show that the dictum itself is about similarity of ethics and aesthetic as subjects, considering way of seeing ‘sub specie aeternitatis’ as simply one of the features that both subjects have in common. My main contention is that all the above mentioned interpretations are fundamentally wrong, since the basic feature of et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 cannot be reduced to the facts. To prove this, I will show that ‘attitude’(Einstellung) towards the world seen sub specie aeternitatis is a type of ‘noticing an aspect’ experience. 이 논문은『논리-철학 논고』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윤리학과 미학의 기본 입장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 “윤리학은 선험적이다.” 2) “윤리학과 미학은 하나다.”라는 주제와 관련된 가장 핵심적인 두 선언을 집중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첫째 주장은 ‘절대적 가치’라는 비트겐슈타인의 개념의 논리적 귀결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몇몇 주석자들은 절대적 가치의 요구와 세계 내에서 주체가 성취하는 것은 무엇이건 절대적 가치를 지닐 수 없다는 요구 사이에 좁힐 수 없는 간극이 있기 때문에,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은 결코 일관성 있게 만족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둘째 주장의 경우, 몇몇 주석자들은 ‘영원의 상 아래서’ 보는 방식을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인 윤리학과 미학이 공유하는 특징으로 생각하면서 위의 선언 자체가 두 학문의 유사성에 관한 것임을 보이려고 시도한다. 이 논문의 핵심 주장은 윤리적 미학적 시각 모두 하나의 사실로 환원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해석들이 근본적으로 잘못 된 것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 주장은 영원한 ‘상 아래서 보여진’ 세계에 대한 ‘태도’가 다름 아닌 ‘상 주목하기’ 경험의 한 유형임을 밝히고 그것을 응용함으로써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중립적 일원론자인가?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John W. Cook argues that from 1916 until his death, Wittgenstein had embraced ‘neutral monism’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William Jame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ascription of ‘neutral monism’ to Wittgenstein is valid, I will draw a comparison between James’ and Wittgenstein’s views on consciousness, focusing on James’ later essays, which present his mature view on consciousness by adopting ‘neutral monism’.Other authors who have tri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have totally ignored this approach. Amo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excavate some significant features shared by the two philosopher’s positions, which make us conclude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later works of James may 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Wittgenstein’s view on consciousness. Although this evidence shows that Wittgenstein shares with James some very important ideas which serve to constitute James’ neutral monist views, it does not confirm that Wittgenstein was a supporter of neutral monism. Cook explicitly interprets Wittgenstein’s position in the Tractatus as Neutral monism,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olipsism’ and that of ‘simple objects’ in the tractarian sense. However, both terms are supposed to be understood as Wittgenstein’s logico-linguistic commitments. In the case of the post-tractarian period, Cook argues that Wittgenstein does not think that ‘a sense-datum is a different kind of object from a physical object’ (BB p. 64). However, what Wittgenstein means by this assertion is not to dismiss the physical object of dualistic view, which is something over and above sense-data, as Cook insists, but rather to simply warn against the objectification of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grammatical research for the words ‘I’ and ‘sense-datum’.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conclude that Wittgenstein maintains a neutral monist view, ontologically reducing physical objects to sense-data, as Cook insists. 쿡(John W. Cook)은 비트겐슈타인이 1916년부터 그의 생애까지 마지막까지 윌리엄 제임스가 발전시킨 ‘중립적 일원론’을 수용했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러한 쿡의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 지금까지 두 철학자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려 시도했던 저자들이 완전히 간과했던 제임스의 후기 논문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의식에 관한 제임스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비교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들로부터, 필자는 의식에 관한 제임스의 후기 입장이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게 하는 두 철학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중요한 국면들을 밝힐 것이다. 비록 이 증거들이 제임스의 중립적 일원론을 형성하는 주요 아이디어들을 비트겐슈타인이 공유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지만, 그렇다고 비트겐슈타인 역시 중립적 일원론자였음을 확인시켜주지는 못한다. 쿡은 『논고』 안에 나타난 ‘유아론’과 ‘단순 대상’ 개념의 의미를 오해하면서 비트겐슈타인이 입장을 중립적 일원론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이 두 개념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언어적 기획에 따라서 이해되어야 한다. 『논고』 이후의 경우, 쿡은 비트겐슈타인이 “‘감각자료’가 ‘물리적 대상’과 다른 종류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BB p. 64)는 것을 근거로 그가 중립적 일원론자임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 언명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이 뜻한 바는, 쿡의 주장처럼, 감각자료에 너머의 어떤 것으로서의 이원론적 관점의 물리적 대상을 기각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 ‘감각자료’, ‘물리적 대상’과 같은 낱말에 대한 문법적 탐구를 통해 의식의 대상화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쿡의 주장처럼, 비트겐슈타인이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대상을 감각자료로 환원하는 중립적 일원론을 견지했다고 결론내릴 어떠한 근거도 없다.

      • KCI등재

        인간의식의 전형적 특성인 ‘~으로 봄’(Seeing-as)의 능력 : 루드빅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을 중심으로

        김이균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8 인간연구 Vol.0 No.14

        '~으로 봄'(seeing as)에 대한 어법적 분석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은 의미-전환 내지 상(相)-전환의 경험이 가능하기 위해 우리 의식이 갖추어야 할 몇 가지 필수 조건들을 성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조건들은 또한 의식에 관한 현대 이론들 중에 나타나는 몇몇 지배적인 개념적 혼동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논점들을 제공함으로써 주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에 정당성을 더해준다. 인간 의식은 지속적이고도 역동적으로 의미-전환 내지 상(相)-전환을 경험한다. 이 경험들을 내재화시키면서 우리 의식은 주변의 사건들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목적과 관심에 따라 세계를 지각하고 선택한다. 하지만 이 경험은 동일한 사물이나 기호자체가 변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독특한 체험이기 때문에, 인간 의식은 순수한 감각적 현상으로도 감각적 인상과 그것에 대한 후속적인 해석의 단순한한 결합으로도 이해될 수 없다. 오히려 이 두 측면들은 의식 자체의 내재적 요소들로서 상호의존적인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대 심리철학에서 나타나는 일부 환원론자들처럼 인간 의식의 상태를 단지 인지적 측면이나 감각적 질의 측면으로만 설명하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없다. 이같은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은 소위 '강한 인공지능이론'을 의식의 차원에서 비판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논점들도 제공한다. 대다수의 인간들은 의미-전환 내지 상(相)-전환의 경험들을 자발적으로 표현할 뿐 아니라, 타인들의 특정 행동을 상(相)-보기(seeing aspect)내지 의미-경험(experience of meaning)의 표현으로 보거나 반응한다. 반면 자동기계는 이런 경험들을 자발적으로 표현할 수도 없고 타자의 행동을 그런 경험의 표현으로 보거나 반응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렇게 완전한 방식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없는 컴퓨터에 '의식(consciousness)을 귀속시킬 수 없다. By means of his grammatical analysis of ‘seeing-as’, Wittgenstein successfully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meaning (or aspect) change requires our consciousness to satisfy some necessary conditions for this capacity. These conditions also provide some examples which highlight the legacy of Wittgenstein’s views on the theme by listing relevant points which serve to rule out some dominant, conceptual confusion in contemporary theories on consciousness. Human consciousness continually and dynamically experiences meaning and aspect-changes. By internalizing the aspects of things or meaning of signs, human consciousness does not just passively perceive events in the environment, but rather actively perceives or selects the world with partial purposes and interests. Because experience of meaning or aspect is the peculiar experience of a sign itself appearing to change, our consciousness is neither a purely sensory phenomenon nor a mere combination between a pure sense impression and a following interpretation of it. Rather, these two aspects are mutually dependant as intrinsic features of a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itself. Consequently a conscious state does not merely appear to be cognitive or to have a sensorial aspect, as certain reductionists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 are inclined to explain our human consciousness. Wittgenstein’s position also provides some relevant points to criticize the idea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Most people not only express these experiences but also see, and react to a certain behavior of others as an expression of seeing aspect or experiencing meaning. An automaton, in contrast, cannot spontaneously express any experience of seeing aspect or meaning. Nor does it have the ability to see or react to others’ behavior as aspect-change-expressions, as human conscious beings normally do. Therefore, we cannot ascribe consciousness to a computer that cannot think and behave like a human being in a complete way.

      • KCI등재

        ‘세상의 영원성’에 관한 Thomas Aquinas의 사상

        김이균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Thomas Aquinas maintains an agnostic position on the issue of the world’s eternity;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is conclusion stems mainly from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senses of ‘eternity’: the strict sense of ‘eternity’ can be attributed to immutability which God alone possesses, and ‘eternity’ attributed to the world meaning temporal infinitude. From this distinction, it is clear that ‘eternity of the world’ does not mean co-eternal with God, but merely the world without temporal finitude from the past.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refute logical compatibility of the eternity and createdness of the world and also it is certainly true that, with his absolute omnipotence and free will, God could have created the world eternally. To consolidate his conviction for the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tries to rule out some counterarguments, especially those raised by Bonaven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opics such as ‘creatio ex nihilo’ and of ‘possibility of an actually infinite multitude’. Several scholars like, F. Van Steenberghen and B. M. Bonansea, strongly criticise Thomas’ arguments and consider Bonaventure’s position more plausible, pointing out some incoherences and irrelevances in Thomas’ texts. As a contrast to these scholars’ reviews, this paper shows that, although Thomas fails to identify crucial points of Bonaventure’s real contentions, Thomas’ arguments are still coherent and more plausible than Bonaventure’s. In the course of proving a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is also convinced of the harmony of reason and revelation. Although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omas highlight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ientia’, which has been mostly ignored by commentators, it is fitting for divine goodness to create the world which has not always existed. This is obviously in line with the truth of Christian Revelation. 토마스 아퀴나스는 세상의 영원성도 그것의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신(神)만이 소유한 불변성에 귀속시킬 수 있는 본래적 의미에서의 ‘영원성’(aeternitas)과 시간적 무제약성의 뜻으로 세상에 귀속시킬 수 있는 파생적 의미에서의 ‘영원성’을 명확히 구분한 결과다. 이 구분을 전제할 때, ‘세상의 영원성’(aeternitas mundi)은 결코 신과 함께 영원함(coaeternus)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과거로부터 시간적 제한 없이 실존해온 세상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세상의 영원성과 창조성이 논리적으로 양립 가능함을 부정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신은 자신의 절대적 전능성과 자유로운 의지로 ‘영원한 세상’을 창조할 수도 있었다는 것은 분명히 옳다. 자신의 확신을 강화하기 위해 토마스는 ‘영원한 창조’의 모순성을 주장하는 반론들, 특별히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와 ‘현실태의 무한적 다수성’과 관련된 보나벤뚜라의 반론들을 무력화시키려 한다. 그런데 방 스텐베르겐(F. Van Steenberghen)과 보난세아(B. M. Bonansea)와 같은 학자들은 토마스의 논지에 나타난 일관성과 부적절함을 지적하면서 보나벤뚜라의 입장이 더 설득력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비록 보나벤뚜라가 주장한 논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지만, 토마스의 주장은 여전히 일관성 있고 보나벤뚜라에 비해 보다 설득력 있는 입장임을 이 연구에서 논하게 될 것이다. ‘영원한 창조’의 비모순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토마스는 이 주제에 대한 이성적 진리와 계시 진리 사이의 조화를 확신한다. 비록 세상의 영원성도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주석가들이 도외시한 ‘적합성’(convenientia)의 관점에서 볼 때, 신이 항상 실존해오지 않은 세상을 창조했다는 것이 신의 선성(Bonitas)에 보다 적절함을 이성적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당연히 그리스도교의 계시 진리와 조화를 이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